청계사(淸溪寺)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태종대 88개 자복사 가운데 하나로, 경기도 의왕시 청계동청계산에 있는 절.

개설

청계사(淸溪寺)는 신라 때 창건한 것으로 추정되며, 고려 원 간섭기인 1284년(고려 충렬왕 10) 평양부원군(平壤府院君)조인규(趙仁規)가 사재를 들여 중창하고 원찰(願刹)로 삼았다. 조선 태종 때 천태종의 자복사찰(資福寺刹)로 지정되었고 연산군 때 선종의 본산이 되었다. 1789년(정조 13) 사도세자의 원찰로 지정되었고, 정조 때와 고종 때에 중창, 중건되었다. 1955년 비구니 아연이 중창한 이후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1983년 9월 청계사가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6호로 지정되었다.

내용 및 변천

(1) 창건

창건 시기는 명확하지 않고 신라 때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청계사의 실질적인 역사는 고려 원 간섭기인 1284년 평양부원군(平壤府院君)조인규(趙仁規)가 막대한 사재를 들여 중창하고 자신의 원찰로 삼은 데서 시작한다. 이후 조인규 후손들이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고 후원했다.

(2) 조선전기

1407년(태종 7) 12월, 광주(廣州: 현 경기도 의왕시) 청계사가 천태종의 자복사찰로 지정되었다(『태종실록』 7년 12월 2일). 당시 조선시대의 불교 종파는 이전 11개(혹은 12개)에서 조계종(曹溪宗), 천태종(天台宗), 화엄종(華嚴宗), 자은종(慈恩宗), 중신종(中神宗), 총남종(摠南宗), 시흥종(始興宗) 등 7개 종파로 정리되었는데, 광주 청계사는 천태종에 소속된 자복사찰이었다. 자복사찰은 나라의 안녕과 고을의 복을 빌기 위하여 지정된 사찰이었으므로, 조선초까지 청계사가 상당한 위상을 유지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연산군(燕山君) 때 사찰 폐쇄령이 내려졌을 때 봉은사(奉恩寺)를 대신해 정법호지도량[正法護持道場]이 되어 선종 본찰의 기능을 수행했다.

(3) 조선후기

1689년(숙종 15) 3월 산불로 대부분의 건물이 불타자 성희가 중건했다. 1789년(정조 13) 사도세자(思悼世子)의 원찰로 지정되었고 원감(園監)을 두어 관리하도록 했다. 원찰은 죽은 사람의 명복을 비는 기능을 수행하였다. 1798년(정조 22) 조무의의 시주로 중창했다. 1876년(고종 13) 3월 화재로 수십칸의 건물이 불타자 1879년 음곡이 중건했다.

(4) 근현대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절은 명맥을 유지하는 정도에 머물렀지만, 경허(鏡虛)가 출가하여 득도하였고, 만공(滿空)이 주석하면서 선풍을 날리기도 했다. 1955년 비구니 아연(娥演)이 주지로 취임하여 중창을 시작하여 월덕, 탄성, 월탄 등이 불사를 이어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1983년 9월 청계사가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6호로 지정되었다. 2000년부터 종상이 주지로 부임하여 요사와 사역 정비 불사(佛事)를 시작하였다. 현재 전각으로 극락보전과 요사를 비롯한 10여 채의 건물이 있다. 대한불교조계종 용주사의 말사이다.

문화재

청계사동종(淸溪寺銅鍾, 보물 제11-7호)은 1701년(숙종 27)에 조성되었다. 한동안 서울 봉은사에 봉안되어 있다가 1975년 다시 청계사로 옮겨와 봉안되고 있다. 조선후기의 대표적인 범종으로 평가받는다.

청계사목판(淸溪寺木版,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35호)은 현재 18부 466판이 남아 있다. 조선시대 1622년(광해군 14)에 판각한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이 213판으로 가장 많다고 한다.

청계사신중탱화(淸溪寺神衆幀畫,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74호)는 1844년에 그려진 것이다.

참고문헌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봉은사본말사지(奉恩寺本末寺誌)』
  • 권상로, 『한국사찰전서』, 동국대학교출판부, 1979.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