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례(瞻禮)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천주교회에서 거룩한 날로 정한 축일의 옛말.

내용

조선 천주교회가 창설된 이후 신자들은 교회에서 주일(主日)이라고 정한 일요일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의미의 축일(祝日)들을 모두 첨례(瞻禮)라는 한자식 표기로 표현하였다. 이 중에서 7일마다 돌아오는 주일의 의미를 조선에서는 잘 이해하지 못했으므로 ‘7일’이라고만 기록하였다. 이들 첨례를 날짜 순서대로 기록한 일종의 교회 달력이 첨례표인데, 사옥 때 이를 몸에 지니고 있다가 체포된 신자들에 대한 기록도 나타난다.

1794년(정조 18) 말 중국인 신부 주문모(周文謨)가 입국한 뒤로는 첨례 때 예배를 드리거나 천주교의 거룩한 제사인 미사[彌撒]를 봉헌했기 때문에 첨례가 때로는 예배·미사의 의미로도 사용되었다. 또 조선에서 첨례를 위한 특정 장소인 경당(經堂) 즉 작은 천주당이 마련된 것도 주문모 입국 이후였다. 그러나 1801년(순조 1)의 신유사옥으로 인해 초기의 경당은 없어졌고, 1836년(헌종 2) 이후 프랑스 선교사들이 입국하면서 새로운 장소에 경당이 마련되었다.

용례

罪人丁若鍾 一直以邪學謂正道 作天主晝像 間七日瞻禮以爲 天主大君也大父也 不知事天 生不如死(『순조실록』 1년 2월 26일)

참고문헌

  • 『사학징의(邪學懲義)』
  • 『추안급국안(推案及鞫案)』
  • 崔奭祐, 「『邪學懲義』를 통해서 본 初期天主敎會」, 『교회사연구』2, 19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