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찬관(參贊官)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고려말~조선시대 경연(經筵)에서 지사(知事)동지사(同知事)를 보좌한 정3품 당상의 관직.

개설

참찬관(參贊官)과 관련된 기록은 고려 공양왕 때 처음 보이는데, 정원은 4명이었으며 모두 대언(代言) 곧 승지였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1392년(태조 1) 7월에 관제를 개편할 때 고려말의 제도를 계승하여 정3품 참찬관 5명을 두었다. 태종 때는 승지가 6명으로 늘어나면서 참찬관도 6명이 되었다. 그 뒤 성종 때 설치된 홍문관의 부제학이 정3품으로 참찬관을 겸하게 됨에 따라, 『경국대전』에는 정원 7명으로 법제화되었다. 7명의 참찬관은 승정원의 승지 6명과 홍문관의 부제학 1명이 겸직하였다.

담당 직무

참찬관은 정3품 당상의 관직으로 정원은 7명이었는데, 도승지(都承旨)·좌승지(左承旨)·우승지(右承旨)·좌부승지(左副承旨)·우부승지(右副承旨)·동부승지(同副承旨) 등 승정원의 여섯 승지와 홍문관의 부제학이 겸임하였다. 승지는 왕명의 출납을 담당한 중요한 관직으로, 겸춘추(兼春秋)지제교(知製敎) 등을 겸하였다. 부제학은 홍문관의 업무를 총괄하는 것 외에 춘추관 수찬관(修撰官)과 지제교를 당연직으로 겸하면서, 왕의 학문 연구와 역사 편찬, 교서 작성 등에 관련된 일을 수행하였다. 또한 삼사(三司)의 일원으로서 언론 활동에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참찬관은 경연에서 남쪽 줄에 앉아 강경의 임무를 담당하였는데(『세종실록』 즉위년 8월 21일), 고위직 관원들이 겸직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무엇보다 승정원의 여섯 승지와 홍문관의 실질적인 책임자인 부제학이 참찬관을 겸하였다는 점에서 볼 때, 경연관으로서 왕에게 경서를 강론하는 임무뿐 아니라, 학문 연구와 역사 편찬, 언론 활동 등에서도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

변천

조선시대의 경연관 제도는 고려시대의 제도를 기초로 하였다. 따라서 조선 왕조 개창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에 관제를 제정할 때는 고려의 제도를 거의 그대로 계승하였다. 이때 마련된 경연관은 시중 이상의 영사 1명, 정2품 지사 2명, 종2품 동지사 2명, 정3품 참찬관 5명, 종3품 강독관 4명, 정4품 검토관 2명, 정원 미상의 정5품 부검토관 등이었다.

그 뒤 1420년(세종 2)에 집현전이 설치되면서, 집현전 관원들에게 경연관을 겸하도록 하는 전임 경연관 제도가 마련되었다(『세종실록』 2년 3월 16일). 1438년(세종 20)에는 집현전 관원의 정원을 20명으로 조정하여 10명은 경연관, 나머지 10명은 서연관을 겸하도록 하였다(『세종실록』 20년 11월 7일).

세조 연간에는 『경국대전(經國大典)』을 편찬하는 과정에서 경연관 겸직제 운영에 변화가 나타났다. 특히 1456년(세조 2)에는 집현전 학사 출신들이 연루된 단종 복위 운동이 발각되면서 집현전이 혁파되었고, 경연 역시 정지되었다. 경연을 전담한 부서인 집현전의 혁파와 더불어 1460년(세조 6)에는 영경연사, 지경연사 등의 경연관도 일시적으로 없어졌다(『세조실록』 6년 5월 22일). 이후 성종 때인 1478년(성종 9)에 이르러 학술 및 언론 기관의 기능을 갖춘 홍문관이 설치되면서 집현전의 기능이 회복되었다.

경연관의 운영 과정에서 정1품 영사는 세 의정이 겸하였고, 참찬관 이상은 중신(重臣) 가운데서 선임하였다. 정4품 시강관 이하는 홍문관 관원들이 겸직하였다. 또한 문·무 2품 이상의 관원 중에서 별도로 경연 특진관(特進官)을 선임하기도 하였다. 즉 영사·감사·판사·지사·동지사 등 2품 이상의 고관이 겸하는 관리직과, 참찬관·직제학·박사·판교 등 3품 이하의 중하위 관원들이 겸하는 실무직으로 겸관 운영의 실체를 살필 수 있다.

참찬관은 고종대까지 이어졌는데, 고종 연간에는 경연 관련 관원으로서의 참찬관 이외에도 외교관으로서 참찬관이라는 직제가 마련되었다.

참고문헌

  • 『경국대전(經國大典)』
  • 이성무, 『조선초기 양반연구』, 일조각, 1981.
  • 권연웅, 「성종조의 경연」, 『한국문화의 제문제』, 시사영어사, 1981.
  • 권연웅, 「세종조의 경연과 유학」, 『세종조문화연구』 1, 1982.
  • 권연웅, 「조선 영조대의 경연」, 『동아연구』 17, 1989.
  • 권연웅, 「조선초기 경연의 재이론」, 『역사교육논집』 13·14합, 1990.
  • 권연웅, 「조선초기 경연의 간쟁론」, 『경북사학』 14, 1991.
  • 남지대, 「조선 초기의 경연」, 『한국사론』 6, 1980.
  • 이상옥, 「경연에 나타난 경학과 제왕」, 『우석대논문집』 4, 1970.
  • 이영춘, 「조선시대의 겸직제도」, 『청계사학』 4, 1987.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