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광소과(增廣小科)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증광시로 시행된 생원진사시.

개설

증광시는 왕의 즉위 기념, 태자의 탄생, 왕비·왕세자의 책봉, 세자의 입학 등 국가에 경사가 있을 때 시행하는 시험이었다. 소과(小科)는 생원진사시의 별칭이었다. 문과를 대과(大科)라 한 데 대비한 말이었다. 소과는 초시와 복시 두 단계의 시험이 있었다. 합격자에게 성균관에 입학할 자격을 주었다. 생원시 합격자는 생원, 진사시 합격자는 진사라 불렀다.

제정 경위 및 목적

증광시는 1401년(태종 1년)에 즉위 기념으로 설행한 것이 처음이었다. 조선전기에는 왕의 즉위 원년에만 시행하였다. 즉위 이외의 경사로 증광시가 설행된 것은 선조대부터였다. 후기로 가면서 설행 명분이 늘어났고, 크고 작은 경사에 증광시를 설행하였다. 소과는 학문을 장려하기 위한 시험으로 합격자에게는 성균관 입학 자격을 주었다.

내용

증광시는 왕의 즉위 기념, 태자의 탄생, 왕비·왕세자의 책봉, 세자의 입학·가례(嘉禮), 원자(元子)·원손(元孫)의 탄생, 존호(尊號)를 올리는 등과 같이 나라에 경사가 있을 때 실시하였다. 경사가 합쳐질 때는 대증광이라 하여 인원을 늘려 뽑았다. 조선전기에는 왕의 즉위 원년에만 시행하였으나, 1589년(선조 22)에 종계(宗系)를 바로잡은 것을 종묘에 고하고 대사면을 내렸는데, 이를 개국과 같은 경사라 하여 증광시를 설행하였다. 1590년(선조 23)에는 정여립(鄭汝立)의 난을 평정한 후 책훈하고 존호를 올렸는데, 이를 즉위와 같은 경사라 하여 또 증광시를 실시하였다.

이후 증광시 설행의 이유가 늘어났고 설행 빈도도 높아졌다. 이러한 현상은 법전에도 반영되었다. 『경국대전』에는 증광시에 관한 언급이 없었는데 『속대전』에는 증광시뿐 아니라 대증광시까지 법제화하였다. 조선조 500여 년간 설행된 증광시는 67회이었다.

소과는 초시와 복시 두 단계로 이루어졌다. 초시는 서울과 지방의 각 도에서 실시하는데 서울에서 보는 초시를 한성시(漢城試)라 하고, 팔도에서 도별로 보는 시험을 향시(鄕試)라고 하였다. 초시의 정원은 한성시에서 생원·진사 각각 200명이고, 향시에서 각각 500명이었다. 향시는 도별로 차등을 두었다. 경기도 60명, 충청도 90명, 전라도 90명, 경상도 100명, 강원도 45명, 평안도 45명, 황해도 35명, 함경도에 35명이 배정되어 모두 700명을 뽑았다.

시험 과목은 초시와 복시가 동일하였다. 생원시는 오경의(五經義)와 사서의(四書疑)를 시험 보았고, 진사시는 부(賦)·시(詩)·명(銘)·잠(箴)을 시험 보았다. 진사시를 먼저 보고 하루 거른 뒤 생원시를 실시하였다. 시험 과목과 시험 날짜가 다르지만 시험 절차와 방법은 같았다.

초시에 합격해야 서울에서 실시하는 복시에 응시할 수 있었다. 복시에서 100명을 최종 합격자로 선발하였는데, 1등 5명, 2등 25명, 3등 70명의 세 등급으로 나누어 합격시켰다. 합격자를 발표하는 출방(出榜)을 하고, 이어서 왕이 참석하는 방방의(放榜儀)에서 합격증서인 백패(白牌)를 수여하였다. 방방에는 생원·진사가 함께 참석하였다.

변천

1392년(태조 1)에 감시(監試)를 혁파하고 생원시만 실시하는 바람에 소과 중에 진사시는 조선초 60여 년간에는 실시되지 않았다. 진사시는 몇 차례에 걸쳐 실시와 폐지를 거듭하다가 1453년(단종 1)에 부활되었다. 이후 1894년(고종 31) 과거제가 폐지될 때까지 진사시는 항상 생원시와 함께 설행되었다.

참고문헌

  • 최진옥, 『조선시대 생원진사연구』, 집문당, 1998.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