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경사(長慶寺)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시대 남한산성 내에 건립한 7개의 승영사찰 중 하나.

개설

장경사(長慶寺)는 경기도 광주시남한산(南漢山)에 있는 절이다. 1624년(인조 2)에 남한산성(南漢山城)을 축성할 때 산성의 방어를 위해 성내에 건립한 승영사찰(僧營寺刹)이었다. 장경사는 남한산성의 동문(東門, 좌익문) 인근에 자리하며 병자호란(丙子胡亂) 당시 청군(淸軍)을 물리친 곳으로 잘 알려져 있다. 1907년 군대해산으로 일제에 의해 남한산성 내의 승영사찰 대부분이 파괴되었지만, 장경사는 비교적 피해가 적어 사찰 본래의 모습을 보존하고 있다.

내용 및 특징

1624년 조선 조정은 이괄(李适)의 난을 겪은 후 축성의 중요성이 부각되자 벽암각성(碧巖覺性)을 8도도총섭(八道都摠攝)으로 삼고 전국의 승군(僧軍)을 동원해 남한산성을 축성하였다. 산성은 1626년(인조 4) 4월에 2년 5개월의 공사 끝에 완공되었는데, 축성 당시 이전부터 있던 망월사(望月寺)와 옥정사(玉井寺) 외에 장경사, 국청사, 개운사, 한흥사, 천주사, 동림사, 남단사 등 7개의 사찰을 새로 건립하였다. 그 7개 사찰 중 하나가 장경사였다. 장경사를 비롯한 산성 내의 7개 사찰은 축성에 동원된 승려들이 거처하며 숙식을 해결하는 군막(軍幕) 사찰의 성격을 띠었다. 장경사 역시 1624년 남한산성 축성 때 승군의 숙식과 훈련을 위해 건립한 사찰이었다. 그리고 축성 후에는 승군이 주둔하며 산성의 방어와 함께 군사훈련을 받았다.

장경사에는 역사적 사실과는 무관하지만 창건에 얽힌 설화가 전해오고 있다. 남한산성의 한 고갯길에 있는 바위에서 바둑을 즐겨 두는 도승 검단 선사가 있었다고 한다. 그는 근처에 사는 한 소년과 바둑을 즐겨 두며 친하게 지냈다. 그런데 어느 날 소년은 병든 어머니의 약재를 구해야 했기에 선사와 바둑을 둘 수 없게 되었다. 선사는 소년에게 어머니 곁에서 간호하도록 하고, 자신이 직접 약재를 구하러 길을 떠났다. 마침내 선사가 7일 만에 약재를 구해 돌아왔지만, 소년의 어머니는 이미 사망했고 소년은 더 이상 찾을 수 없었다. 이에 선사는 소년에 대한 그리움을 담아 바둑을 자주 두던 고갯길 바위 옆에 절을 짓게 되었는데, 그 절이 바로 장경사였다.

장경사는 남한산성의 4문 중 하나인 동문(東門, 좌익문)에서 동북쪽 약 500m 가량 떨어진 망월봉의 중턱에 자리하고 있다.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 때 장경사는 어영별장이기축이 승군을 독려하여 성 동쪽을 침입한 청군(淸軍)을 물리친 곳으로 잘 알려져 있다.

장경사는 남한산성 내의 다른 사찰과 함께 전국의 사찰에서 소집된 의승군(義僧軍)이 중심이 되어 운영되었다. 『남한지(南漢誌)』에 따르면 승군총섭(僧軍總攝)의 지휘 아래 함경도와 평안도를 제외한 전국 350여 명의 의승(義僧)이 의승입번제(義僧立番制)에 따라 매년 2개월씩 윤번(輪番)으로 사찰에 복무하였다. 전국의 사찰에 할당된 수의 승려가 교대로 산성을 방위하는 이 제도는 많은 폐단을 가져와 1756년(영조 32)에 폐지되었다. 대신 의승방번제(義僧防番制)에 의해 당번이나 번을 서지 않는 대가로 10~22냥의 방번전(防番錢)을 납부하고 산성 사찰에서 복무하는 것을 면제받았다. 이후 산성의 방위는 연간 17냥을 지급받는 방번승(防番僧)이 전담하였다. 1785년(정조 9) 의승의 방번전이 절감되는 조치가 내려지는 등 우여곡절이 있었지만, 승군에 의한 사찰 운영은 1894년(고종 31) 갑오개혁으로 승군제가 폐지될 때까지 지속되었다.

변천

1907년 8월 군대해산령 때 남한산성의 9개 승영사찰은 사찰 내에 무기고와 화약고가 있다는 이유로 폭파되어 사찰 대부분이 파괴되었다. 다만 장경사는 산성 내의 다른 사찰에 비해 그 피해가 적어 본래의 모습을 어느 정도 보존할 수 있었다. 그러나 1975년 화재로 소실되었고 이후에 다시 중창되었다.

현재 장경사에는 조선후기 다포계 양식의 팔작지붕으로 된 3칸 동향(東向) 건물의 대웅전이 있다. 그리고 요사채 3동과 진남루(鎭南樓), 칠성각, 대방(大房) 등이 있다. 최근 장경사는 갑오개혁 이후 승영사찰의 폐사와 함께 중단되었던 의승군 수륙재(水陸齋)의 복원을 위한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현재 장경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직할교구 본사인 조계사(曹溪寺)의 말사이다.

문화재

장경사가 위치하고 있는 남한산성은 1963년 사적 제57호로 지정되었고, 2014년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 『가람고(伽藍攷)』
  • 『남한지(南漢誌)』
  • 대한불교조계종 불교사회연구소 편, 『한국호국불교의 재조명』1·2, 대한불교조계종 불교사회연구소, 2012.
  • 전보삼, 『남한산성과 팔도사찰』, 대한불교진흥원, 2010.
  • 박용숙, 「조선후기 승역에 관한 고찰」, 『논문집』31, 부산대학교, 1981.
  • 여은경, 「조선후기 산성의 승군총섭」, 『대구사학』32, 대구사학회, 1987.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