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방춘(李芳春)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임진왜란 당시 송응창과 이여송을 따라 참전한 명의 장수.

개설

이방춘은 요위(遼衛) 사람으로서 본래 이성량(李成樑)의 가인(家人)이었다. 낙상지(駱尙志)·사대수(査大受)와 함께 뛰어난 용맹으로 유명했다. 이방춘이 임진왜란 당시 명에서 맡았던 정식 관직은 참장(參將)이었다. 중협대장이여백의 지휘를 받아 여러 전투에 참여하였는데, 특히 평양성 전투에서 크게 활약해서 평양 회복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던 장수였다.

활동 사항

임진왜란 당시 조선에 처음으로 파견되었던 명군은 조승훈(祖承訓) 등이 인솔하는 요동군(遼東軍)이었다. 1592년(선조 25) 7월 당시 명군은 3천 명의 병력을 동원해 평양성을 공격했지만 일본군의 매복 작전 때문에 크게 패했다. 이후 명에서는 조선에 사신을 보내 10만 대군을 파병하겠다고 약속했다. 하지만 1592년(선조 25) 11월까지도 명군은 조선으로 출동하지 않고 있었다. 이 기간 동안 명은 조선에 대한 대규모 출병을 준비하고 있다가, 마침내 대군을 조선으로 파견했다. 명에서는 병부 시랑 송응창을 경략군문(經略軍門)으로, 도독동지(都督同知)이여송을 제독군무(提督軍務)로 삼았다. 그리고 이들은 4만 3천 명 규모의 명군을 인솔하고 조선으로 출동했다. 이때 이방춘은 부총병임자강(任自强), 유격(遊擊)고책(高策), 전세정(錢世禎), 척금(戚金), 주홍모(周弘謨), 방시휘(方時輝), 고승(高昇), 왕동(王洞) 등과 함께 중협대장이여백의 지휘를 받았다(『선조수정실록』 25년 12월 1일).

명군이 평양성을 공격할 당시 이방춘은 이여백과 함께 평양성의 서문인 보통문(普通門)을 공격했다(『선조실록』 26년 1월 11일). 이방춘은 평양성 전투 중 왼쪽 목에 불화살을 맞아 독기(毒氣)가 쌓여 온몸에 종기가 났다. 이 때문에 진중에 머물면서 병을 치료했는데, 한때 병세가 대단히 위중해 조선의 군신들이 안타깝게 여겼으나 회복되었다(『선조실록』 26년 1월 24일).

1593년(선조 26)에는 이여송의 지시에 따라 척금·고책과 함께 포수 3천 명을 인솔하고 개성부(開城府)로 이동해 주둔했다(『선조실록』 26년 3월 13일). 정유재란 때에도 참전하여 울산(蔚山)에서 벌어진 전투에 참전했다. 하지만 임진왜란 종전 무렵에는 진군(進軍)하기 어렵다는 이유를 들어 일본군과의 전투를 회피하는 일이 많았다. 더욱이 진중에 기생을 데리고 들어와, 그를 따라 편장(褊將)과 군사들도 다투어 여자를 데리고 옴으로써 진중이 매우 문란해졌다(『선조실록』 31년 11월 2일).

참고문헌

  • 『기재사초(寄齋史草)』
  • 『명신종실록(明神宗實錄)』
  • 『양조평양록(兩朝平壤錄)』
  •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 『정한위략(征韓偉略)』
  • 『재조번방지(再造藩邦志)』
  • 『상촌선생집(象村先生集)』
  • 한명기, 『임진왜란과 한중관계』, 역사비평사, 1999.
  • 김경태, 「임진전쟁 강화교섭 전반기(1593.6~1594.12), 조선과 명의 갈등에 관한 연구」, 『한국사연구』166, 한국사연구회, 2014.
  • 손종성, 「임진왜란시 대명외교 - 청병외교를 중심으로」, 『국사관논총』제14집, 국사편찬위원회, 1990.
  • 손종성, 「3. 강화회담의 결렬과 일본의 재침」, 『한국사』29, 국사편찬위원회, 1995.
  • 이현종, 「16세기 후반기 동아(東亞)의 정세」, 『한국사』12, 국사편찬위원회, 1977.
  • 최소자, 「임진란시 명의 파병에 대한 논고」, 『동양사학연구』11, 동양사학회, 1977.
  • 최영희, 「임진왜란 중의 대명사대에 대하여」, 『사학연구』18, 한국사학회, 1964.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