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이림(尹爾霖)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총론

[1642년(인조 20)∼1701년(숙종 27) = 60세]. 조선 후기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사헌부(司憲府)장령(掌令)과 사헌부 지평 등을 지냈다. 자는 택경(澤卿)이고, 호는 기암(寄菴)이다. 본관은 파평(坡平)이며, 거주지는 서울이다. 아버지는 통덕랑(通德郞)윤진웅(尹震雄)이고, 어머니 안동 권씨(安東權氏)는 예빈시(禮賓寺) 정(正)을 지낸 권광렬(權光烈)의 딸이다. 할아버지는 군자시(軍資寺) 판관(判官)을 지낸 윤민첨(尹民瞻)이며, 증조할아버지는 용안현감(龍安縣監)을 지낸 윤종린(尹宗麟)이다.

현종~숙종 때의 활동

1660년(현종 1) 사마시(司馬試) 생원과(生員科)에 합격하였는데, 그때 나이가 19세였다.[『방목(榜目)』] 1669년(현종 10) 식년(式年) 문과(文科)에 을과(乙科)로 급제하였는데, 그때 나이가 28세였다.[『방목』] 성균관(成均館)에 분속(分屬)되었다가 수성찰방(輸城察訪)과 어천찰방(魚川察訪)이 되었고, 형조 좌랑 및 예조 좌랑을 거쳐 김제군수(金堤郡守)로 나갔다. 이후 성균관(成均館)직강(直講)과 문천군수(文川郡守), 성균관 사예(司藝), 풍천부사(豊川府使), 예빈시 정, 이천부사(利川府使) 등을 역임하였다. 과거에 급제하였으나, 그는 한미한 집안 출신이었으므로, 그를 보거(保擧 : 보장하여 천거하는 것)하여 주는 사람이 없어서 청요직(淸要職)에 오르지 못하다가 늦게야 오를 수 있었다.[『도곡집(陶谷集)』 권3 「사헌부지평윤공묘갈명(司憲府持平尹公墓碣銘)」 이하 「윤이림묘갈명」]

1697년(숙종 23) 12월 사헌부(司憲府)지평(持平)이 되었는데, 그때 나이가 56세였다.[『숙종실록(肅宗實錄)』숙종 23년 12월 17일] 당시 정권은 서인(西人)과 남인(南人)으로 분열되어 있었으나, 그는 어느 당파에도 속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사헌부(司憲府)에서 발론(發論)을 할 때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는다고 동료들이 그를 탄핵하여 관직을 떠났다. 1699년(선조 25) 다시 사헌부 지평에 임명되었으나, 그때에도 견디지 못하고 대관(臺官)의 관직을 스스로 사직하여 체직이 되었다.[『숙종실록』숙종 25년 10월 7일]

그 뒤에 전라도도사(全羅道都事)로 나갔다가, 군자시(軍資寺) 정을 거쳐 통례원(通禮院) 우통례(右通禮)를 지냈다. 개성부경력(開城府經歷)을 지내다가, 1701년(숙종 27) 관직에 있을 때 세상을 떠나니, 향년이 60세였다.[『방목』, 「윤이림묘갈명」]

성품과 일화

그가 벼슬하던 현종과 숙종 대에는 조정의 관료가 서인(西人)과 남인(南人)으로 분열되어 있었다. 그리하여 효종(孝宗)과 효종의 왕비인 인선왕후(仁宣王后)가 세상을 떠났을 때, 인조(仁祖)의 계비(繼妃)인 장렬왕후(莊烈王后)의 복제(服制)를 둘러싸고 각각 <제1차 예송논쟁>과 <제2차 예송논쟁>이 일어났다. 이때 서인과 남인은 치열하게 당쟁을 벌였으므로, 관리들은 시세(時勢)에 따라 권력을 잡은 쪽으로 붙쫓아서 출세의 연줄을 잡으려고 하였다. 윤이림(尹爾霖)은 성품은 사리의 분별과 옳고 그림의 시비 분별이 매우 분명하였으므로, 당파 싸움과 관리들의 작태를 더럽게 여기고 어느 당파에도 발을 담그지를 않았다. 그러므로 그는 남들에게 시사(時事)를 말하지 않고 술이나 마시면서 세월을 보낼 따름이었다. 이에 그는 세상과는 더욱 조화가 되지 않으니, 그를 아는 사람들은 매우 안타까워하였다.

후에 사헌부 지평에 오르면서 청요직에 올랐으나, 당시는 당파에 속하지 않고 양심을 가진 사람이 대관의 자리에 있을 수가 없는 형편이었다. 관리들은 대관의 자리에 오르지 못하여 안달하였음에도 결국 그는 스스로 청요직을 버렸다.

묘소와 후손

묘소는 경기도 교하현(交河縣) 와초동(瓦草洞)에 있고, 도곡(陶谷)이의현(李宜顯)이 지은 묘갈명(墓碣銘)이 남아있다.[「윤이림묘갈명」]

부인 음성 박씨(陰城朴氏)는 음성(陰城) 박준원(朴浚遠)의 딸이다. 자녀는 3남 1녀를 두었는데, 1남은 윤재관(尹在寬)이고, 2남은 윤재성(尹在誠)이며, 3남은 윤재중(尹在重)으로 현감(縣監)을 지냈다. 1녀는 어유관(魚有寬)에게 출가하였다.[「윤이림묘갈명」]

참고문헌

  • 숙종실록(肅宗實錄)
  •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 국조방목(國朝榜目)
  • 도곡집(陶谷集)
  • 약천집(藥泉集)
  • 송자대전(宋子大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