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도(六韜)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시대 무과의 복시에서 응시자가 강서에서 선택하는 무경칠서 중 한 책.

개설

『육도(六韜)』는 무경칠서(武經七書) 가운데 한 책이었다. 무경칠서는 『손자(孫子)』·『오자(吳子)』·『사마법(司馬法)』·『위료자(尉繚子)』·『이위공문대(李衛公問對)』·『삼략(三略)』·『육도』 등 총 7권의 병서를 지칭한다. 『육도(六韜)』는 무경칠서에 속하는 다른 책과 더불어 무과(武科)의 복시(覆試)에 응시하려는 응시생들의 교과서로 통하였다.

편찬/발간 경위

『육도(六韜)』는 태공망 여상(太公望 呂尙)의 저서로, 육도의 육(六)은 문도(文韜)·무도(武韜)·용도(龍韜)·호도(虎韜)·표도(豹韜)·견도(犬韜) 등 6가지 책략을 뜻하였다. 도(韜)는 활을 간직해 두는 활집을 말하는데, 이 책에서는 군사적으로 비밀 책략이라는 뜻을 의미하였다.

활집의 사용법, 곧 전략(戰略)의 교묘함과 졸렬함은 전쟁의 승패를 가름하는 것이므로 심사숙고를 거듭하여야 할 것임을 강조하였다. 또한 경세제민(經世濟民)의 술(術)과 부국강병(富國强兵)의 실(實)도 아울러 거두는 것임을 말하고자 한 것이다. 이 책은 주왕조의 문왕과 무왕이 태공망 여상에게 묻고, 여상이 그것에 대해 답변하는 형식을 취하였다.

그러나 『육도』는 태공의 말이 아니라 후세의 위작이라는 것이 정설로 되어 있었다. 이 책은 위서임에도 불구하고 무경칠서 중의 하나로 선정되어, 유가에서 사서오경(四書五經)과 같은 지위를 차지하였고, 병가의 경전으로서 소중하게 여겨졌다.

『육도』의 특징은 군사적인 문제에만 국한하지 않고, 나라를 다스리는 제왕의 도리를 폭넓게 다루었다는 것이다.

조선전기에는 무과 시험에(시험에서) 무예와 강서(講書)가 병행되었으나,(를 병행하였으나,) 조선후기에는 무예만으로 무인을 선발하였다. 『육도』는 조선전기 무과의 복시에서 강서 과목으로 채택된 무경칠서 중 하나였다(『태종실록』 2년 1월 6일). 이러한 병서를 시험 보는 목적은 장수로서 지략을 갖추게 하기 위해서였다.

서지 사항

무경칠서의 7번째 책에 해당하는 『육도』는 총 6권으로 이루어졌으며, 문도부터 견도에 이르기까지 총 6편으로 구성되었다.

구성/내용

『육도』는 모두 6편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표제를 간추려 보면 대략 다음과 같다.

1편 문도는 태공과 문왕 사이의 이야기로부터 시작하여 정치 작전의 대원칙을 논술하였다.

2편 무도는 정치 제도상의 방침과 책략에 대하여 논술하였다.

3편 용도는 군사 전략학에 대하여 논술하였다.

4편 호도는 군사 전술학에 대하여 논술하였다.

5편 표도는 특수 지형에서의 전투에 대하여 논술하였다.

6편 견도는 특수 작전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참고문헌

  • 『경국대전(經國大典)』
  • 『속대전(續大典)』
  • 『대전통편(大典通編)』
  • 『대전회통(大典會通)』
  • 『삼략(三略)』
  • 국방부전사편찬위원회, 『무경칠서』, 국방부전사편찬위원회, 1987.
  • 김기동, 『중국병법의 지혜』, 서광사, 1993.
  • 곽낙현, 「무경칠서를 통해서 본 조선전기 무과시취에 관한 연구」, 『동양고전연구』 34집, 2009.
  • 장학근, 「선초 무경칠서의 도입 배경」, 『동서사학』 2, 1996.
  • 심승구, 「조선전기 무과 연구」, 국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4.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