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다치(亐多赤)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고려후기 겁설관 중 하나로 국왕의 호위를 담당한 친위군.

개설

문지기를 뜻하는 몽골어 우다치(үүдэч)의 한어 표기로, 우달적(于達赤)으로도 표기된다.

담당 직무

고려후기 겁설관으로 홀치[忽赤], 우달적(迂達赤), 속고치, 조라치[詔羅赤], 팔가치[八加赤] 등이 설치되었는데, 이들은 주로 궁궐의 숙위, 왕의 의복, 여행 등에 관한 업무 및 각종 잡무를 수행하였다. 특히 우달적은 국왕의 주위에서 호위하는 업무를 담당하였으며, 홀치, 속고치 등과 더불어 애마(愛馬)로 불렸다.

변천

몽골제국에는 케식([怯薛], Kheshig)이란 호위군이 있었는데 창설 초기에는 모두 550명이었는데 점차 수가 늘어나면서 몽골 군대의 중심이 되었다. 쿠빌라이 칸 시기에 와서 케식의 수는 12,000명에 달하였다. 케식은 시위인 투르가우드(turqa’ud), 숙위인 헵테울(kebte’ul), 궁수인 호르치(qorči) 등 세 부대로 구성되었다. 케식은 일반적으로 대칸을 호위하는 것 외에도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였다. 고려는 몽골제국 케식 제도를 받아들여 관직을 새로 설치하였다.

『조선왕조실록』에는 우다치가 1번 등장하는데, 태조이성계의 아버지인 환조와 그의 조카 교주(咬住)의 일화를 언급한 데서이다[『태조실록』 총서 22번째기사].

참고문헌

  • 『원조비사(元朝秘史)』
  • 『고려사(高麗史)』
  • 몽골과학아카데미 어문학연구소 편, 『몽골어 대사전』, 소욤보 프린팅, 2008.
  • 白鳥庫吉, 「高麗史に見えたる蒙古語の解釋」, 『東洋學報』18-2, 1929.
  • Paul Pelliot, “Les mots mongols dans le Korye sa”, Journal Asiatique, 217-2, 1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