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안역(用安驛)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시대 충청도 지역의 역도 중 하나인 연원도에 속한 역으로, 오늘날의 충청북도 충주시 신니면에 위치해 있었음.

개설

고려전기 전국의 525개 역을 22개 역도(驛道)로 편성하는 과정에서, 용안역(用安驛)은 광주도(廣州道)에 소속되었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세조대에 역제(驛制)를 41역도-543속역 체제로 개편할 때 연원도(連原道)를 구성하는 역 가운데 하나가 되었다. 충청도 충주목에 위치하였으며, 용원역(用原驛)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설립 경위 및 목적

역(驛)은 중앙 집권 체제를 유지하고, 중앙과 지방의 행정 명령 계통을 확립하기 위한 육상 교통 기관으로 설치되었다. 왕명(王命) 및 긴급한 군사 기밀의 전달, 사신의 왕래에 따른 영송지대(迎送支待) 등을 주로 담당하였으며, 그밖에 진상품이나 공부(貢賦)의 운송 및 왕래인(往來人)의 규찰 등을 맡아보았다. 충주의 용안역도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고려시대부터 개경과 영남 지역을 연결하는 중간 지점에 설치되었다.

조직 및 역할

역참에는 역역(驛役)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 역리(驛吏)와 역노비(驛奴婢) 등을 포함한 다양한 역민(驛民)이 편성되어 있었으며, 역의 재정에 충당하기 위해 역위전(驛位田) 또는 마전(馬田)이 지급되었다. 조선 영조 때 편찬된 『여지도서(輿地圖書)』에 따르면, 용안역에는 역리 103명, 역노 81명, 역비 3명, 발장(撥長) 1명과, 대마(大馬) 2필, 기마(驥馬) 7필, 복마(卜馬) 7필 등 총 16필의 역마가 배속되어 있었다. 찰방역(察訪驛)은 충주의 연원역(連原原)이다.

변천

『고려사(高麗史)』 참역(站驛) 조에 따르면 용안역은 고려시대 광주도에 소속된 15개 속역 가운데 하나로, 충주의 음성(陰城)에 위치해 있었다. 초기의 역명(驛名)은 요안역(謠安驛)이었다가 나중에 용안역(用安驛)으로 바뀌었다. 정확한 설치 시기는 알 수 없지만, 고려의 역제가 22역도-525속역 체제로 정비된 1061년(고려 문종 15)에서 1136년(고려 인종 14) 사이에 광주도에 속하게 된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초에는 전국적인 역도-속역 체계를 마련하는 과정에서 연원도의 속역으로 편제되었다. 『세종실록』「지리지」에는 충주의 연원역‧가흥역(可興驛), 괴산의 단월역(丹月驛)‧인산역(仁山驛), 연풍의 안부역(安富驛), 음성의 감원역(坎原驛) 등과 함께 연원도에 소속된 것으로 기재돼 있다. 그 뒤 1460년(세조 3) 전국의 역을 정비할 때 충청도의 율봉도·연원도·황강도의 일부 역을 통합하여 율봉도로 삼았는데, 용안역은 이때 율봉도에 속하였다.

1462년(세조 8)에는 각 도의 역참을 파하고 역로를 정비하여 찰방(察訪)역승(驛丞)을 두면서 다시 연원도를 분리하였다. 그 과정에서 용안역은 연원역‧단월역‧황강역(黃江驛)‧수산역(水山驛)‧안음역(安陰驛)‧안부역‧신풍역(新豊驛)‧인산역‧감원역‧장림역(長林驛)‧영천역(靈泉驛)‧오사호역(吾賜乎驛)‧천암역(泉南驛) 등과 함께 연원도에 소속되었다. 이후 조선시대 전기의 역제가 완비된 『경국대전(經國大典)』 체제에서는 황강도와 통합된 연원도에 속하였다.

『대동지지(大東地志)』에 따르면, 용안역은 관아 서쪽 45리 지점에 위치해 있었다. 오늘날의 행정 구역으로는 충청북도 충주시 신니면 용원리 외룡마을에 해당한다.

참고문헌

  • 『고려사(高麗史)』
  • 『여지도서(輿地圖書)』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대동지지(大東地志)』
  • 조병로, 『한국근세 역제사연구』, 국학자료원, 2005.
  • 충주시, 『충주시지』, 충주시, 2001.
  • 오일순, 「고려시대 역제의 변동과 잡색역」,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
  • 정요근, 「고려전기 역제의 정비와 22역도」, 『한국사론』45, 2001.
  • 정요근, 「고려·조선초의 역로망과 역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