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촌(吾村)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시대 함경도 경성부에 설치한 군사시설인 보(堡).

개설

함경도는 조선초기부터 진보를 설치하여 이민족의 침입에 대비하고 지역사회의 안정을 도모하였다. 오촌보가 소속돼 있는 경성부(鏡城府)는 1411년(태종 11) 3월에 경원진(慶源鎭)이 폐지된 후 경성에 새롭게 진을 설치하여 길주(吉州) 이남의 군사들로 부방하게 하면서 군사지역으로 주목받기 시작하였다. 그 뒤 세종대에 종성(鐘城)·온성(穩城)·회령(會寧)·경원(慶源)·경흥(慶興)·부령(富寧) 등 육진 지역이 개척되면서 본격적으로 방어체제가 정비되었다. 경성부에는 어유간보(魚游澗堡)·주을온보(朱乙溫堡)·삼삼파보(森森坡堡)·오촌보(吾村堡)·보로지책(甫老知柵)·보화덕책(甫化德柵)·근동보(芹洞堡) 등의 군사시설이 운영되고 있었는데, 오촌보는 이 중에서도 경성부 서쪽을 방어하는 진보였다.

위치 및 용도

경성부 중심에서 서쪽으로 20리(약 8㎞) 떨어진 곳에 위치하였다. 오촌보와 같은 진보는 기본적으로 함경도 최전방과 내지의 요충지에서 실질적인 방어를 담당하는 군사시설이었다. 진보는 적 침입 시 일차적인 방어처로서 각지에 있는 봉수와 파수를 관리하였다. 오촌보는 오촌보 서봉봉수(西峯烽燧)와 남봉수(南烽燧) 등을 운용하고 있었다. 오촌보가 소속된 경성부는 육진(六鎭) 지역의 후방을 책임지는 곳으로서 육진이 군사적 침입을 당했을 경우 서울로 가는 길목을 차단하고 적의 공세를 지연시키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특히 오촌보는 북쪽에서 침입하는 외적이 경성부나 서울로 내려가는 길목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여 방어체제에서 매우 중요했으며, 교통의 요충지로 조선초기부터 오촌역이 설치되어 운영되었다.

변천 및 현황

『태조실록』에 경성군의 오로촌참(吾老村站)을 오촌참(吾村站)으로 고친다는 내용이 있다[『태조실록』 7월 2월 2일 2번째기사]. 조선초기부터 교통의 요충지로 주목받고 있었다는 사실을 잘 알 수 있다. 단종대에는 오촌에 구자(口子)가 설치되면서 군사적 시설로 변모하였고, 조선후기에는 권관이 관장하는 보의 형태로 변화하였다.

형태

석성으로 둘레가 1,291척(약 391m), 높이가 6척(약 1.8m)이었다. 종9품 권관이 관장하는 보의 형태로 운영되었다.

관련사건 및 일화

1460년(세조 6) 여진족 100여 기가 경성부 오촌구자(吾村口子)에 들어와서 별차(別差) 전 만호송헌(宋憲) 등 6인을 죽이고, 남녀 모두 9인을 사로잡고 소·말 39마리를 노략질해간 사건이 발생하였다. 군영에 있던 진무김인성(金引成)이 추격하였으나 눈이 내려서 잡지 못하고 돌아왔다(『세조실록』 6년 2월 24일).

참고문헌

  • 『대전회통(大典會通)』
  • 『여지도서(輿地圖書)』
  • 『만기요람(萬機要覽)』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강석화, 「조선후기 함경도 육진지역의 방어체제」, 『한국문화』36, 규장각한국학연구소, 2005.
  • 고승희, 「함경도 내지 진보의 변화」, 『한국문화』36, 규장각한국학연구소, 2005.
  • 노영구, 「조선후기 함경남도 간선 방어체계」, 『한국문화』36, 규장각한국학연구소, 2005.
  • 오종록, 「조선초기 양계의 군사제도와 국방체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