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성(五聲)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중국 음악과 조선시대 궁중음악에서 사용된 궁(宮)·상(商)·각(角)·치(徵)·우(羽)의 5음(音)을 가리키는 음악 용어.

개설

궁·상·각·치·우 5종의 음을 일컫는 통칭으로 사용되거나, 궁·상·각·치·우의 5음으로 구성된 음계(音階)를 의미한다.

내용 및 특징

중국에서 기원한 오성(五聲)은 궁, 상, 각, 치, 우의 5음을 가리키는 음악 용어로 대한민국에도 수용되어 궁중음악 관련 범주에서 빈번하게 논의되었다. 이는 동양에서 음률 계산법으로 사용한 삼분손익법(三分損益法)에 의해 탄생된 12음 중 앞부분에 산출된 5개 음에 해당된다. 오성은 기본음으로 간주되었고 이변(二變), 십이율(十二律), 사청성(四淸聲)과 함께 음률의 기초 개념을 나타내는 용어로 자리하였다(『세종실록』 15년 11월 27일).

오성이라는 어휘는 『서경(書經)』에 처음 등장하는데, 순(舜)임금이 오성·육률(六律)을 듣고서 정치 상황을 가늠하려 했다. 이를 기반으로 오성에 관한 상징과 담론은 점점 더 팽창하였고, 확장된 이론이 『악학궤범(樂學軌範)』「오성도설(五聲圖說)」에 수록되었다.

『악학궤범』「오성도설」에는 궁·상·각·치·우를 방위, 오행, 계절, 감정, 성격, 색깔, 감각, 인성, 냄새, 맛, 장기(臟器), 계급, 숫자, 실 꼬임 등과 연계하여 분류한 후 그 내용을 그림과 설명으로 제시하였다. 즉 궁에는 중앙, 흙, 여름, 무거움, 황색, 믿음[信], 단맛[甘], 향기, 비장(脾臟), 생각, 왕, 두려움, 5와 10, 81사(絲)를 배치하였다. 상에는 서쪽, 금(金), 가을, 노여움, 흰색, 말[言], 비린내, 매운맛, 폐(肺), 의로움[義], 신하, 민첩함, 4와 9, 72사를 배치하였다. 각에는 동쪽, 나무, 봄, 기쁨, 청색, 공경, 노린내, 신맛, 간(肝), 어짐[仁], 백성, 경(經), 3과 8, 64사를 배치하였다. 치에는 남쪽, 불, 여름, 즐거움, 붉은색, 시각[視], 마음, 그을음[焦], 쓴맛, 예의[禮], 일[事], 지나침[迭], 2와 7, 54사를 배치하였다. 우에는 북쪽, 물, 겨울, 슬픔, 흑색, 청각, 지혜, 썩은 내, 짠맛, 콩팥, 물건[物], 억누름, 1과 6, 48사를 배치하였다.

한편 오성은 변치, 변궁 두 음률과 함께 7음계를 구성하여 아악(雅樂)을 기보할 때 음높이를 나타내는 용도로 활용되기도 하였다. 아악보에 쓰이는 이 기보법을 궁상자보(宮商字譜)라고 한다. 이는 세종대 아악 정비 사업의 결과물이 담긴 『세종실록』「악보」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변천

오성을 왕·신하·백성·일·물건 등으로 상징화한 체계는 중국에서 확장되었고, 조선전기에 적극 수용되어 악서(樂書)에 그 내용이 폭넓게 수록되었으며, 궁중음악의 토대 이론으로 작동하였다. 그러나 조선후기에 이르러 최한기(崔漢綺) 같은 학자는 오성의 상징 체계를 부정하였다.

참고문헌

  • 『서전집주(書傳集註)』
  • 『악학궤범(樂學軌範)』
  • 『시악화성(詩樂和聲)』
  • 김수현, 『조선시대 樂律論과 詩樂和聲』, 민속원, 2012.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