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수(列宿)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하늘에 벌려 있는 별자리 일반을 지칭하거나 28수(宿) 별자리를 통칭하는 말.

개설

열수(列宿)는 글자 의미 그대로 ‘늘어선 별자리’란 뜻이다. 대개는 동양의 표준 별자리인 28수 별자리가 적도 주천(周天)을 따라 빙 둘러 늘어선 모습을 일컫는 특정 관용어이나, 하늘의 별자리 전체를 뭉뚱그려 일컬을 때도 있다.

내용 및 특징

적도를 따라 이동하는 별자리 체계를 특정한 28개 별자리로 선별하여 28수 체제로 완비한 것은 진한 교체기 무렵이다. 열수라고도 부르는 28수는 성립 당시에 천구(天球)의 적도 주변에 벌려 있던 28개의 별자리로 구성되었다. 춘하추동의 계절별 별자리 순서에 따라 크게 네 개의 묶음으로 나눈 뒤 여기에 동서남북 사신(四神)의 이미지를 투영하였다. 따라서 봄에는 동방 청룡 7수가 남쪽 하늘 적도 주변에 출현하고, 여름에는 북방 현무 7수가, 가을에는 서방 백호 7수가, 겨울에는 남방 주작 7수가 남쪽 하늘에 나타나는 것으로 체계화하였다. 말하자면 계절별 별자리를 일목요연하게 인식하기 위하여 청룡·백호·주작·현무와 같은 사신 이미지를 부여하였던 것이다. 이 순서를 따라 28개의 28수가 사방 주천 360°를 적절하게 포열한 형국을 이루었으며, 해와 달과 행성은 이 28개 별자리를 1년 혹은 1달에 걸쳐 차례로 운행한다는 관측 도식이 성립되었다. 주천열수(周天列宿)란 이런 관점에서 흔히 쓰이는 표현이다.

『태종실록』에서는 이러한 28수의 주천열수 관점을 잘 보여준다. 이날 달이 금성을 범한 것에 대해 왕이 일관(日官)을 불러 말하였다. 왕은 『문헌통고(文獻通考)』를 근거로 하여 28수가 하늘에 늘어서[布列] 있고 여러 나라[列國]는 각기 열수의 분도(分度) 안에 있어, 만약 성변(星變)이 있으면 그 분도 내에 해당하는 나라가 근심한다고 하였는데 우리나라는 미성(尾星)기성(箕星)의 분도 내에 위치하고, 또 달이 목성을 범하는 것은 매우 잦으니, 이러한 성변에 대해 기양(祈禳)할 필요는 없다고 하였다(『태종실록』 11년 1월 5일). 여기서는 열수의 의미를 28수가 하늘에 넓게 벌려 있는 것으로 말하고 있으며, 각 열수마다 나라가 대응되는 구조로 인식하고 있다. 열수의 수장(首長)으로 각항(角亢) 별자리를 언급하고 있다. 『이아』에서 수성(壽星)은 각항 별자리라고 하였는데(『세종실록』 8년 5월 19일), 숫자는 각항에서 기산되는 것이니 곧 열수의 장은 수성이라는 논리이다.

열수는 고을 수령(守令)을 뜻하는 상징적 의미로도 널리 쓰였다. 사간원에서 상소를 올린 내용에, 수령은 백성을 가까이 하는 직임이니 백성의 편안함과 근심[休戚]이 수령에게 매여 있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한나라 광무제가 “낭관(郎官)은 위로 열수에 응하고 나가서는 백리(百里)를 다스리니, 진실로 적당한 사람으로 수령을 삼지 않으면 백성이 이 앙화(殃禍)를 받는다.” 하였다는 전거를 제시하고 있다(『태종실록』 4년 8월 20일)). 여기서 백성을 직접 다스리는 위치에 있는 지방 수령들을 천상의 열수 별자리로 비유하고 있다.

수령은 고려와 조선시대에 지방 행정 조직인 주부군현(州府郡縣)에 파견한 지방관을 지칭한다. 고려시대 수령은 3품 이상의 경(京)·도호부(都護府)·목(牧)과 5품 이상의 방어진(防禦鎭)·지주부군(知州府郡), 7품 이상의 현진(縣鎭)으로 구분되었다. 이런 기초 행정 단위의 수장인 수령이 마치 하늘 별자리의 기초 단위가 되는 28사(舍) 열수와 유사하다고 인식한 것이다. 이와 같이 수령을 열수로 비유하는 인식은 이후로도 계속 보인다. 사간원에서 말하기를, 낭관은 위로 열수에 응하는 것이므로 정과(正科)를 거쳐 벼슬길에 나왔더라도 낭관으로 임명하는 것은 경솔히 할 수가 없고 반드시 신중히 가려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중종실록』 36년 5월 7일)(『명종실록』 7년 8월 18일).

이렇게 지방 수령을 열수에 응한 낭관으로 인식하고 있는데, 이것에서 더 나아가 문관 중 정랑(正郞)좌랑(佐郞)의 직임은 열수의 정기를 응한 중요한 벼슬이라는 뜻에서 응수관(應宿官)이란 개념을 창출하였다. 사헌부에서 응수관은 직임이 중요하여 신중히 가려서 문관으로 차임하여 왔다고 하였고『선조실록』 37년 윤9월 1일 4번째기사], 사간원에서 형조 정랑강욱은 출신이 미천하여 응수관에 합당치 않다고 언급하였다(『선조실록』 38년 8월 10일).

열수를 수령이 아닌 재상(宰相)으로 비유한 경우도 보인다. 재상과 대신(大臣)도 위로 열수에 응하여 나라를 도와 다스리는데, 하물며 왕은 위로 황천(皇天)을 이고 아래로 억조창생(億兆蒼生)을 조림(照臨)함에랴 하였다(『태종실록』 9년 4월 23일). 군주는 하늘 그 자체이고, 재상과 대신은 하늘의 질서를 지키는 열수에 응한다는 것이다.

참고문헌

  • 『사기(史記)』 「천관서(天官書)」
  • 『한서(漢書)』 「예문지(藝文志)」
  • 『한서(漢書)』 「천문지(天文志)」
  • 『여씨춘추(呂氏春秋)』
  • 『회남자(淮南子)』
  • 『천문류초(天文類抄)』
  •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 김일권, 『(동양 천문사상) 하늘의 역사』, 예문서원, 2007.
  • 김일권, 『고구려 별자리와 신화: 고구려 하늘에 새긴 천공의 유토피아』, 사계절, 2008.
  • 김일권, 『우리 역사의 하늘과 별자리: 고대부터 조선까지 한국 별자리와 천문 문화사』, 고즈윈, 2008.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