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관(言官)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국정에 대해 논하고 왕과 관료들의 잘못을 비판하는 언론 담당 관직.

개설

일반적으로 언관(言官)이라 하면 고려와 조선의 대관(臺官)과 간관(諫官), 즉 대간(臺諫)을 가리킨다. 고려의 어사대(御史臺)와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의 낭사(郎舍), 조선의 사헌부(司憲府)사간원(司諫院), 그리고 조선 성종대 이후로는 홍문관(弘文館)이 관행적으로 언론을 담당하면서 언관으로 인식되었다. 고려와 조선의 대관은 시정(時政)을 논하고 풍속을 교정하며 관료들의 불법과 비리를 적발·탄핵하는 업무를 관장하고 간관은 왕에 대한 간쟁(諫諍)을 담당하고 있었으나, 실제적인 업무에서는 서로 중첩되는 측면이 있었다. 조선시대 홍문관의 언론은 대체로 국정 현안과 관련하여 전문성을 가미한 내용의 언론을 개진하면서 사헌부와 사간원의 언론을 지원하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내용 및 특징

고려시대 중서문하성의 낭사는 왕에 대한 간쟁과 봉박(封駁)을 맡았으며, 어사대의 경우 시정을 논하고 풍속을 교정하며 관료들에 대한 규찰과 탄핵을 담당하였다. 하지만 낭사와 어사대는 서로의 영역을 자유롭게 넘나들며 왕과 신료들의 잘못을 적발하고 국정에 대한 의견을 개진하였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사헌부와 사간원이 고려의 직제를 이어받아 시정에 대해 논하고 왕과 신료들의 불법과 비리를 적발하는 업무를 담당하였다.

조선 성종대 이래로는 홍문관도 언관으로서의 기능을 담당하게 되었는데, 제도적으로 보장된 것은 아니었으나 관행적으로 언론을 제기하는 과정에서 언관으로서의 지위를 확보해나갔다. 홍문관원들은 경연(經筵)이 끝난 후 국정 현안에 대한 언급을 통해 언관으로서의 면모를 갖추었고, 점차 국가 의례나 북정(北征)과 같은 중대 사안에서 전문성을 가미한 상소를 올려 조정의 공론(公論)을 대표하는 위상을 확보하였다.

『경국대전』에 규정된 언관에는 사헌부 대사헌·집의·장령·지평·감찰, 사간원 대사간·사간·헌납·정언, 홍문관 부제학·직제학·전한·응교·부응교·교리·부교리·수찬·부수찬이 있었다.

홍문관의 언관화(言官化)는 청요직(淸要職) 전반의 공조(共助) 체계를 구축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즉 청요직의 인물들에 대한 비평을 중시하여 서경(署經)을 수행할 때에 이를 반영함으로써 청요직이 상호 보조를 맞추어나가도록 종용하였다. 한편, 대간 논의의 합의 장치인 완의(完議) 과정에서 피혐(避嫌)을 적절히 활용하여 불일치 의견을 배제하고 왕에게 자신들의 입장을 보다 강력하게 피력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아울러 홍문관원의 동료 평가를 기반으로 하는 홍문록(弘文錄)의 작성을 통해 자체적인 인선(人選)을 시도하다가, 마침내 이조(吏曹) 전랑(銓郞)의 낭관권(郎官權)을 확보하여 청요직의 인선을 청요직 스스로가 담당하는 기제를 확보하는 데까지 이르게 되었다. 이처럼 사간원·사헌부·홍문관의 언론 삼사(三司)는 청요직 전반의 입장을 대변하는 언관으로서의 기능을 담당하며 조정 내에서의 위상을 확대시켜 나갔다.

변천

고려시대에는 어사대와 중서문하성의 낭사가 각각 대관과 간관으로서 언론을 담당하며 언관으로 활동하였다. 조선시대에는 사헌부와 사간원으로 명칭과 직제가 조정되면서 그 역할을 계승하였다. 조선 성종대 이후로는 홍문관도 언관으로서의 기능을 담당하였으며 사헌부·사간원과 함께 언론 삼사로 기능하였다.

참고문헌

  • 『고려사(高麗史)』
  •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 『경국대전(經國大典)』
  • 『필원잡기(筆苑雜記)』
  • 『용재총화(慵齋叢話)』
  • 박용운, 『고려시대 대간 제도 연구』, 일지사, 1980.
  • 최승희, 『조선 초기 언관·언론 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4.
  • 김재명, 「조선 초기의 사헌부 감찰」, 『한국사연구』 65, 1989.
  • 남지대, 「조선 성종대의 대간 언론」, 『한국사론』 12, 1985.
  • 박재우, 「고려 초기의 대간 제도」, 『역사와 현실』 68, 2008.
  • 송웅섭, 「조선 성종대 전반 언론의 동향과 언론 관행의 형성: 성종대 언론 발달의 요인과 관련하여」, 『한국문화』 50, 2010.
  • 송웅섭, 「성종대 대간 피혐(避嫌)의 증가와 그 의미」, 『조선시대사학보』 62, 2012.
  • 송춘영, 「고려 어사대에 관한 일연구」, 『대구사학』 3, 1971.
  • 이재호, 「이조 대간의 기능의 변천」, 『(부산대학교)논문집』 4, 1963.
  • 이홍렬, 「대간 제도의 법제사적 고찰: 근조(近朝) 초기를 중심으로」, 『사총』 5, 1960.
  • 최승희, 「조선 초기의 언관에 관한 연구」, 『한국학논집』 1, 1973.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