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성문과(謁聖文科)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왕이 성균관 문묘에 참배하여 작헌례를 올린 후에 실시하는 문과 시험.

개설

1414년(태종 14)에 처음 실시되었다. 왕이 친림(親臨)하여 성균관의 명륜당에서 거행하였다. 단 한 번의 시험으로 급락을 결정하고 시험 당일에 합격자를 발표하였다. 조선시대에 설행된 알성문과는 모두 97회이며, 778명의 급제자가 배출되었다.

내용 및 특징

알성시는 왕이 성균관 문묘에 나아가 공자(孔子)의 신위에 작헌례(爵獻禮)를 한 다음 실시하는 시험으로 초시가 없으며 당일 합격자 발표인 방방(放榜)을 하였다. 알성시가 처음 실시된 1414년(태종 14)에는 성균관 유생뿐 아니라 4품 이하의 관원으로 시험 보기를 원하는 사람들에게도 응시 자격을 주었는데 응시자는 모두 540여 명이었다. 대책(對策)을 시험하였고 방방은 다음 날 하였다(『태종실록』 14년 7월 13일)(『태종실록』 14년 7월 17일).

일반적으로 알성은 국상(國喪) 3년을 마친 뒤나, 태묘(太廟)에 부묘(祔廟)한 뒤에 하는 것이 관례였다. 알성을 하고 나면 으레 알성시를 설행하였다. 알성문과는 부자나 형제간이라도 상피할 필요가 없었고, 사관(四館)에서 녹명(錄名)하는 일도 없었다(『현종실록』 1년 10월 17일)(『숙종실록』 22년 8월 22일).

1회의 제술시험으로 당락을 결정하였다. 성균관 유생뿐 아니라 지방의 유생들에게도 응시 자격을 주었기 때문에 전국에서 수만 명의 유생들이 몰려들어 큰 혼잡을 이루었다. 시험장 관리가 어려워 불상사가 일어나기도 하였다. 시험 시간이 촉박하여 응시자는 실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었고, 시관은 제대로 능력을 측정할 수 없었다. 1739년(영조 15) 알성시에 응시자는 16,000명이나 되었다(『영조실록』 15년 3월 19일). 그러한 폐단을 없애기 위하여 1694년(숙종 20) 알성시에 초시를 실시하자는 주장이 제기되었으나 시행되지 않았다.

시험 장소는 성균관의 명륜당이었으며, 인원이 많을 때에는 춘당대(春塘臺)·경무대(景武臺)에 설치되었다. 선발 인원은 왕의 품지에 의하여 정하였다. 실제 『국조문과방목』에 의하면 15세기에는 많게는 20~30명, 적게는 3~4명을 뽑기도 하였으나 16세기 이후에는 몇몇 사례를 제외하고는 10명 이하를 선발하였다.

시험 과목은 『속대전』에 대책(對策)·표(表)·전(箋)·조(詔)·제(制)·논(論)·부(賦)·잠(箴)·명(銘)·송(頌) 중 1편으로 되어 있으나 실제로 숙종 연간에는 표(表)를 많이 출제하였다(『숙종실록』 19년 8월 6일).

시관은 시험 당일에 방방하기 때문에 다른 전시(殿試)에 비하여 수가 많았다. 『속대전』에 의하면 독권관(讀卷官) 10명, 대독관(對讀官) 20명이었다.

변천

처음에는 성균관 유생들에게만 응시 자격을 주었으나 나중에는 외방의 유생들에게도 자격을 주었다. 합격자 발표는 시험 다음 날에 하였으나 1477년(성종 8)부터는 시험 당일에 하였다.

참고문헌

  • 『속대전(續大典)』
  •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 조좌호, 『한국과거제도사연구』, 범우사, 1996.
  • 원창애,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박사학위논문, 1997.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