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달합합번(阿達哈哈番)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청대 공신에 대한 세습 작위 가운데 하나.

개설

청대 공신(功臣)에 대한 세습 작위 가운데 하나인 아다하 하판([阿達哈哈番], adaha hafan)의 한자 음역어이다. 아다하 하판은 공(公)·후(侯)·백(伯)·자(子)·남(男)·경차도위(輕車都尉)·기도위(騎都尉)·운기위(雲騎尉)·은기위(恩騎尉) 등 청대의 공신에 대한 9개 봉작을 의미하는 ‘잘란 시라라 하판([世襲官], jalan sirara hafan)’의 여섯 번째에 해당하는 경차도위의 초기 명칭였다. 아다하 하판 등의 잘란 시라라 하판은 1647년에 처음 제정되었는데, 아다하 하판은 다시 정3품의 1등부터 종3품의 2등 및 3등으로 구분되는 세습 봉작이었다. 건륭제시대에 경차도위로 명칭을 바꾸었다.

담당 직무

청대 공신들에게 하사한 세습 봉작으로 관직과는 별도로 주어졌다.

변천

청대의 공신에 대한 9개 봉작은 순치 연간인 1647년에 정해졌다가 건륭 연간인 1736년에 한자식으로 개칭하는데, 이때 아다하 하판은 경차도위로 바뀌었다. 이후에 공식 문서에는 경차도위가 되지만, 만문에서는 여전히 아다하 하판으로 기록하였다. 아다하 하판은 다시 1~3등까지 세 등급으로 구분되었으며 모두 세습되었다.

1684년 명성왕후(明聖王后)김씨의 죽음을 치제하기 위하여 파견된 청의 사신 삭주(索柱)와 1721년 숙종(肅宗)의 죽음을 치제하기 위하여 파견된 청의 사신 사가단(査柯丹)은 모두 아다하 하판으로 기록되었다(『숙종실록』 10년 5월 27일)(『경종실록』 1년 2월 12일). 반면, 1736년 아다하 하판이 경차도위로 개칭된 이후인 1800년 진하사(進賀使)의 서장관(書狀官)으로 북경을 방문하고 돌아온 유정(柳畊)의 문견 별단(聞見別單)에는 아다하 하판 대신 경차도위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음이 확인된다(『정조실록』 24년 5월 6일).

참고문헌

  • 『청사고(淸史稿)』
  • 『대청회전(大淸會典)』
  • 『청실록(淸實錄)』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