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사(禪師)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수행력이 높은 승려의 존칭 또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선종 승려에게 내려 준 승계.

개설

선사(禪師)는 선종의 조사를 가리키는 호칭이었으나, 고려시대부터 조선전기까지 승정이 유지되던 시기에는 승려 법계의 하나로 쓰여졌다. 승계(僧階)로서의 선사는 대선사 바로 아래의 승계로, 사찰의 주지에 임명되거나 승록사(僧錄司) 등에서 승직을 담당하였다. 승정 체제가 폐지된 이후에는 수행력이 높은 승려나 선종의 승려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유래

중국에서는 황제가 덕(德)이 높은 승려에게 내리는 존칭이었다고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신라시대에 선종이 전래되면서 선종의 조사(祖師)를 가리키는 호칭으로 사용되었으며, 당대의 고승을 높여 부르는 말로 쓰이기도 하였다. 고려시대에 승정 체제가 정비된 이후에는 승계의 하나가 되었다. 승과(僧科)에 합격한 선종 승려가 도달할 수 있는 최고 승계인 대선사의 바로 아래가 선사였다. 조선초기에도 선종 승계의 하나로 대선사 다음 가는 승계로 쓰였으며, 선교양종(禪敎兩宗) 체제가 혁파된 이후에는 일반적으로 선종 승려를 가리키거나 승려를 높여 부를 때 사용되었다.

변천

고려시대에는 승과가 실시되면서 승계와 승직을 제수하는 일련의 승정 체계가 정비되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선종과 교종으로 나누어 승계를 수여하는 제도가 마련되었다. 승과에 합격하면 처음으로 대덕(大德)의 승계를 받았고, 이후 대사(大師)-중대사(重大師)-삼중대사(三重大師)의 순서로 승차하였다. 그 뒤 선종의 경우에는 선사를 거쳐 대선사로 승진하였고, 교종은 수좌(首座)를 거쳐 승통(僧統)이 되었다. 승계를 제수할 때는 간관(諫官)서경(署經)을 거쳐 왕이 고신(告身)이라는 일종의 임명장을 내려 주었는데, 이는 일반 관원의 경우와 마찬가지였다. 또한 『고려사』에 따르면, 각각의 승계에 따라 그에 해당하는 별사전(別賜田)을 지급 받은 것으로 보인다. 고려시대에 승계가 있는 승려는 관원에 준하는 대우를 받았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조선시대 전기까지 계속된 것으로 추정된다. 1477년(성종 8)에 대선사였던 손한우(孫旱雨)가 환속(還俗)한 뒤 벼슬을 내려달라고 요청하자 이를 둘러싼 논의가 있었다. 그는 세종 때의 『경제육전(經濟六典)』에 환속한 사람 중 벼슬을 하고 싶어 하는 사람이 있으면 가계(家系)와 능력을 살펴본 뒤 승직에 준하여 서용한다는 내용이 있다며, 이를 근거로 제시하였다. 이때 예조에서 올린 관문(關文)을 통해 조선시대 전기의 대선사는 동서반(東西班) 4품에 준하는 승계였음을 알 수 있다(『성종실록』 8년 1월 20일). 따라서 선사는 그보다 낮은, 5품 이하의 관직에 해당하는 승계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

조선전기에 선교양종 체제가 운영되는 상황에서 선사는 기본적으로는 관교(官敎)를 수여하는 방식, 즉 왕이 승계를 제수하는 방식으로 임명되었다. 그러나 고려시대처럼 승과를 거쳐 대덕에서부터 연차와 명망을 쌓아 차례로 승차해야만 선사가 될 수 있었던 것은 아니다. 관청 건물이나 다리를 세운 공으로 선사나 대선사에 제수되기도 하였다(『세종실록』 11년 8월 7일). 또 성종 연간에는 도첩이 있는 50세 이하의 승려를 찾아내 한 달 동안 부역을 시키고, 그 대가로 선사나 대선사의 직첩을 주어 군역에 보충하기로 하자는 제안이 나오기도 했다(『성종실록』 14년 8월 21일).

선사는 고려시대 이래 승계의 하나였으나, 승려를 군역이나 요역에 동원하고 그 대가로 도첩 또는 선사의 직첩을 내리는 일이 성행하면서 승계를 지닌 고승이라는 본연의 의미가 사라져 버렸다. 그에 따라 조선시대 후기에는 주로 선종 승려, 또는 승려 일반을 높여 부르는 일반적인 존칭으로 사용되었다(『순조실록』 21년 7월 23일).

담당 직무

고려시대부터 조선초기까지 사찰의 주지는 국가의 공식 승정에 포함되는 승직(僧職)으로 운영되었는데, 사찰의 규모에 따라 주지로 파견되는 승려의 승계가 달랐다. 선사는 대선사 바로 아래의 승계로, 사찰의 주지에 임명되거나 승록사(僧錄司) 등에서 승직을 담당하였다.

참고문헌

  • 『고려사(高麗史)』
  • 『조선금석총람(朝鮮金石總覽)』上,下
  • 허흥식, 『고려불교사연구』, 일조각, 1997.
  • 원영만, 「고려시대 승관제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 최재복, 「조선초기 왕실불교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10.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