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직악(社稷樂)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직단(社稷壇)에 제례(祭禮)를 올릴 때 수반되는 기악·노래·춤.

개설

사직악(社稷樂)은 국토의 신과 오곡의 신을 모신 사직단에 제사 지낼 때 연주되는 기악[樂]·노래[歌]·춤[舞]을 의미한다. 제사 절차에 따라 기악·노래·춤을 연행하여 신령을 불러들임으로써 신과 인간의 조화를 추구하였다.

연원 및 변천

고려시대의 사직악은 1116년(고려 예종 11) 송나라에서 대성아악(大晟雅樂)이 유입된 후 아헌·종헌·송신의 절차에서만 향악(鄕樂)을 사용하였고, 나머지 절차에서는 아악을 연주하여, 향악과 아악을 혼용하는 방식으로 운용되었다. 그러다가 조선 세종대에 아악 정비 사업을 단행하면서 『주례(周禮)』를 근거로 아악 일색으로 정리된 후 조선조 내내 변함없이 유지되었다.

절차 및 내용

사직악은 사직 제례의 의식 절차에 따라 연행되었다. 음악이 연주되는 절차는 신을 맞이하는 영신, 폐백을 올리는 전폐, 찬을 올리는 진찬, 첫 번째 술잔을 올리는 초헌, 두 번째 술잔을 올리는 아헌, 마지막 술잔을 올리는 종헌, 제기를 거두는 철변두, 신을 보내는 송신이다.

사직 제례악을 연주하는 악대는 등가와 헌가, 이상 두 종류가 있다. 사직 제례는 지기(地祇)에 대한 제사이므로 북향하는 종묘제례와 달리 남향하여 설치된다는 점이 주목된다. 전폐, 초헌, 철변두의 절차에서 등가가 연주하였고 영신, 진찬, 아헌, 종헌, 송신의 절차에서는 헌가가 아악을 연주하였다. 헌가는 대한제국기에 황제국의 위상에 맞추어 궁가(宮架)라는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등가와 헌가의 악기 편성은 시대별로 출입이 있다. 역대 왕대별 사직 악대 중 성종대의 것이 가장 방대하다. 성종대 등가에는 절고(節鼓) 2, 특종(特鐘) 1, 특경(特磬) 1, 축(柷) 1, 어(敔) 1, 금(琴) 6, 슬(瑟) 6, 노래[歌] 24, 관(管) 2, 약(籥) 2, 화(和) 2, 우(竽) 2, 생(笙) 2, 소(簫) 2, 훈(壎) 2, 지(篪) 2, 적(篴) 2가 편성되었다. 성종대 헌가 악대는 진고(晉鼓) 2, 영고(靈鼓) 3, 영도(靈鼗) 3, 축 1, 어 1, 관 10, 약 10, 생 10, 우 10, 소 10, 적 10, 지 10, 부 10, 훈 10, 편종 9, 편경 9, 황종종 1, 대려종 1, 태주종 1, 협종종 1, 고선종 1, 이칙종 1, 남려종 1, 무역종 1, 응종종 1, 황종경 1, 대려경 1, 태주경 1, 협종경 1, 고선경 1, 이칙경 1, 남려경 1, 무역경 1, 응종경 1로 구성되었다. 이 중 영고와 영도는 지기에 제사할 때 구비해야 하는 특수 악기로, 사직제의 『주례』「춘관(春官)」 대사악(大司樂)에 전거를 두고 있다.

등가와 헌가가 연주하는 아악 선율은 동일한 선율을 이조(移調)하여 사용하였다. 영신에서는 임종궁(林鐘宮)·유빈궁(蕤賓宮)·응종궁(應鐘宮)·유빈궁의 순서대로 연주하였다. 전폐·초헌·철변두의 절차에서는 응종궁을, 진찬·아헌·종헌에서는 태주궁을, 송신에서는 송임종궁을 연주하였다. 사직 제례에서 연주된 이러한 선율은 아악의 구성 원리를 준수하였다. 즉 7음계, 한 곡은 총 32음, 음악의 시작음과 끝음이 일치하는 기조필곡(起調畢曲), 가사 1자에 음 1개가 배치되는 일자일음식(一字一音式, [syllabic style])의 원칙이 내재되어 있었다.

사직 제례에서 사용하는 노래[樂章]는 등가에 편성된 24명의 악인(樂人)에 의해 불려지므로 전폐·초헌·철변두의 절차에서만 등장하며 응종궁의 선율에 그 가사를 배합한 형태였다. 응종궁과 어울린 전폐례의 노래 가사는 “땅은 두터워 만물을 실으니 한 없이 광대하도다. 우리 백성에게 곡식을 먹이시니 만세토록 길이 신뢰하도다. 단이 엄정하고 제물이 향기롭고, 공손히 폐백을 받드니, 제사가 심히 갖추어졌도다[坤厚載物 其大無外 立我蒸民 萬世永賴 有儼其壇 有椒其馨 惟恭奉幣 我祀孔明].”이다.

사직제에서 연행된 춤은 일무(佾舞)이다. 줄지어 서서 그 대열을 이탈하지 않고 춤추는 특성으로 인해 붙여진 이름이다. 조선시대에는 제후국의 위격에 맞춰 육일무(六佾舞)를 춤추다가 대한제국기에는 황제국의 위상에 어울리는 팔일무(八佾舞)로 격상되었다. 일무는 다시 문무(文舞)무무(武舞)로 나뉘는데 문무에서는 약(籥)과 적(翟)을, 무무에서는 방패[干]와 도끼[戚]을 두 손에 각각 잡고 춤추었다.

참고문헌

  • 『주례(周禮)』
  •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 『악학궤범(樂學軌範)』
  • 『사직서의궤(社稷署儀軌)』
  • 『춘관통고(春官通考)』
  • 『대한예전(大韓禮典)』
  • 이재숙, 『조선조 궁중의례와 음악』,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 김문식·송지원, 「20세기 국가제례의 변천과 복원」, 『서울 20세기 생활·문화변천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1.
  • 송지원, 「사직대제의 樂·歌·舞」, 『사직대제』, 민속원, 2007.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