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진흥회(佛敎振興會)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914년 이회광의 주도로 설립된 친일 성향의 불교 단체.

개설

친일 불교인 이회광이 중심이 되어 설립한 불교진흥회(佛敎振興會)는 불교 진흥을 목표로 하였지만, 실제로는 일본 천황의 교화를 표방한 1910년대 불교계의 대표적인 친일 단체였다. 나중에 불교진흥회는 불교옹호회(佛敎擁護會), 불교협성회(佛敎協成會) 등으로 명칭을 바꾸어 활동했지만 별다른 성과는 없었고 불교 잡지 『불교진흥회월보』를 발행했다.

설립 경위 및 목적

불교진흥회는 1914년 불교 진흥을 설립 목적으로 내걸고 친일 성향의 승려와 재가신도가 중심이 되어 결성된 단체이다. 1914년 8월 10일 발기 준비 모임을 갖고 임시 회주로 이회광(李晦光)을 선출하고, 11월 5일에 조선총독부의 인가를 받아 출범했다. 같은 해 11월 21일 각황사(覺皇寺: 현 서울 조계사)에서 30본산 주지 29명과 재가신도 다수가 참석하여 발기인 대회를 개최하여, 이회광을 발기인 대표로 선출하고, 고문에 권중현, 여규형 등이 추대되었다. 불교진흥회가 발족하게 된 데에는 이회광과 강대련(姜大蓮) 사이에 종권을 둘러싼 친일 경쟁이 그 배경이 되었다고 보는 시각이 우세하다. 불교진흥회는 명목상 불교를 진흥하여 한국인을 모두 불교에 귀의하게 할 목적에서 설립되었다고 하였지만, 실제는 친일 단체였음이 설립 취지서에 분명하게 나타나 있다. 설립 취지서 서두에서 "위로는 천황의 교화를 보필하고 아래로는 국민들의 복을 도모하며, 불교를 진흥하여 동포들로 하여금 모두 불교에 귀의하게 하고자 하는 데 있다."고 명시했다. 즉 단체 설립의 1차 목표가 일본 ‘천황의 교화를 보필’하는 데 있었던 것이다.

당시 상왕으로 물러나 있던 고종과 순종은 불교진흥회가 창립된 이듬해인 1915년 각각 일금 100원씩 총 200원을 하사했다(『순종실록부록』 8년 7월 5일).

조직 및 역할

불교진흥회는 1914년 12월 28일 임시회를 개최하고, 12월 30일에 설립 총회를 개최하였다. 총회에서는 불교진흥회 회주에 해인사 주지 이회광, 부회장에 강대련을 선출하고, 재가신도로는 김홍조, 신우균, 박두영, 장지연, 최동식, 김영진, 윤태홍, 이능화, 이상화, 윤직구, 양건식 등 다수가 참석했다. 불교진흥회는 본부를 경성부 수송동 82번지 각황사에 두고 지방의 각 본산에 지부를 두고 행정 전반을 관할하는 이무부(理務部), 인사 관리를 맡은 인사무부(人事務部), 회계 및 재정을 담당한 재무부(財務部)를 두었다. 불교를 진흥시킬 목적으로 전국 30본산의 본말사에서 불교전문과를 졸업한 30세 이상의 우수한 승려를 선발하여 불교진흥회에서 운영하는 포교사 양성소로 보낼 것을 시행 세칙에 명시하였다. 30본산이란 1911년 일제가 조선사찰령을 제정하여 조선 전국의 사찰을 30개 구역으로 구분하여 각 구역마다 하나의 본산을 두고 나머지 사찰을 말사로 삼은 조치에서 비롯된 것이다.

불교진흥회의 회원은 승려에 국한되지 않고, 남녀 재가신도도 참여할 수 있었다. 승속을 망라한 불교계의 인사들이 참여한 단체로 주된 활동은 법회를 통한 교리 전파와 총독부의 시책 홍보에 있었다.

불교진흥회는 1915년 3월부터 12월까지 기관지로 『불교진흥회월보』를 발행하였고, 편집 겸 발행인은 이능화였다. 회보의 간행은 재무부에서 담당하였고, 잡지의 구성은 논설, 교리, 사전(史傳), 학술, 문예, 잡저, 소설, 회록, 관보초, 휘보 등으로 되었다. 잡지는 단순히 불교진흥회의 기관지의 성격을 넘어서 불교계와 문화계의 상황을 살필 수 있는 불교 교양지의 성격도 띠었다.

변천

불교진흥회는 총독부의 지시에 따라 1917년 2월 불교옹호회로 바뀌었다. 불교옹호회는 이완용, 조중응, 권중현, 한창수 등 주로 일본으로부터 작위를 받은 귀족과 재조선 유력 일본인으로 구성되었다. 평의원으로 미시마 타로[三島太郞], 오카모토 게이지로[岡本桂次郞], 시라이 도모노스케[白井友之助] 등이 참여했다. 이들은 일본 경제계의 주요 인물로 "불교진흥회가 원만한 발전을 보지 못하고 있어 이를 폐지하고, 새로이 불교를 옹호하고 신앙적인 수양을 쌓아 불교를 흥성하게 하고 충량한 제국신민이 되기 위해 불교옹호회를 세운다."고 하였다.

불교옹호회는 친일의 거두들과 조선에 거주하고 있던 일본의 주요 인물들이 중심이 되어 창설된 불교 외호 단체였다. 불교옹호회는 1922년 불교협성회로 명칭이 바뀌었다가 별다른 활동을 하지 못하고 해산되었다.

1914년과 1917년에 각각 설립된 불교진흥회와 불교옹호회는 불교계의 친일 활동을 위해 구성되었으나 큰 성과를 내지 못하고 폐지되었다. 불교도들의 자발적인 참여가 없었기 때문이다.

1910년대 불교계에 불교진흥회, 불교옹호회라는 친일 단체가 성립하였다는 사실은 향후 불교계의 친일적 활동이 전개될 것을 암시하고 있었다.

참고문헌

  • 김순석, 『백년 동안 한국불교에 어떤 일이 있었을까?』, 운주사, 2009.
  • 임혜봉, 『친일불교론』, 민족사,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