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도지봉(峰道只烽)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시대 제1봉수로의 직봉에 속하던 강원도의 봉수로, 18세기 중엽 이전에 신설되어 1895년(고종 32)까지 운용됨.

개설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에 따르면 조선시대 제1봉수로의 직봉에 속한 봉수였다. 봉도지봉은 함경도 경흥부 서수라진 우암(牛巖)에서 처음 오른 봉화가 강원도철령(鐵嶺)에 이를 때 그 신호를 받아 소산(所山)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였다.

설립 경위 및 목적

봉도지봉은 강원도관찰사가 관할하였다. 봉도지봉에 관한 『조선왕조실록』의 기록은 1770년(영조 46)에 병조 참지(參知)신일청(申一淸)이 올린 상소에서 찾아볼 수 있다. “봉수장(烽燧狀)에 따르면 단천(端川)의 증산봉(甑山峰)에서 안변(安邊)의 철령까지는 날씨가 맑아서 준거(準據)가 안 되는 날이 하루도 없으나, 강원도 회양(淮陽)에서 봉도지(峰道只)까지의 봉화는 모두 침침하다고 하였다. 유사(有司)를 보내 그 봉수로(烽燧路)의 원근을 살펴서 봉수를 더 설치하거나 혹은 급히 달려가 소식을 전하는 치보(馳報)로 알리게 해달라”고 건의하는 내용이다.

변천

1894년(고종 31) 갑오개혁을 계기로 봉수제가 폐지되고, 이듬해에 군부의 주청(奏請)에 의해 각지의 봉대와 봉수군이 폐지됨에 따라 철폐되었다(『고종실록』 32년 윤5월 9일).

참고문헌

  •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 김주홍, 『북한의 봉수』, 서경문화사,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