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일장(白日場)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시대 교육 진흥책의 하나로, 유생들을 모아 필기시험을 시행하고 성적에 따라 시상하던 것.

개설

백일장이 설행되면 과거 시행 형식대로 시험을 관리·감독하는 시관(試官)이 임석한 가운데 시제(試題)를 내걸고 글을 짓도록 하여 그 성적에 따라 시상하였다. 시제는 시(詩)와 부(賦)를 위주로 하였으나 논(論)·표(表)·책(策) 등을 내는 경우도 있었다.

1414년(태종 14)에 태종이 성균관에 가서 문묘에 참배한 후 유생들에게 시무책 문제를 내려 제한 시각을 오후 5시로 한정해 놓고 대책문을 제출하도록 한 것이 백일장의 시초였다고(『태종실록』 14년 7월 17일) 한 것으로 볼 때, 낮[백일(白日)]에 답안 작성을 마치는 제술시험을 통칭하여 백일장이라 했던 것 같다.

낮에 시행한다는 형식적인 면으로만 보면 간단한 듯하지만, 백일장은 조선시대 시행된 주요한 교육 활동으로서 당시의 인재 양성 및 선발 체제를 이해하는 데에 빼놓을 수 없는 것이다.

내용 및 특징

조선시대 교육평가는 구술시험[考講]와 필기시험[製述]으로 나눌 수 있는데, 백일장은 순제(巡題, 旬題)와 더불어 조선조의 학교에서 시행된 대표적인 필기시험의 하나였다.

백일장이나 순제는 일정 기간 기숙하면서 공부하는 거재(居齋) 또는 거접(居接)과 달리 숙식을 제공하지 않아 비용이 훨씬 적게 들었다. 백일장은 당일 정해진 장소에 모여 한 번에 치는 시험이었고, 순제는 시제(試題)를 미리 내주면 각자 집에서 작성하여 정해진 기일에 제출하는 재택시험이었다.

지방에서 백일장이나 순제를 시행하는 주체는 크게 학교와 관으로 나뉘었다. 향교와 서원 등 학교에서 주최하는 경우가 있고, 관에서 관내 유생을 대상으로 시행하는 경우가 있는데, 학교에서 주최하는 경우에도 관의 협력을 요청하는 경우가 많았다. 향교나 서원 자체적으로 출제하고 평가하는 경우도 있지만, 유생들은 수령이 출제하고 평가하는 것을 더 선호하였다.

수령에게 시제를 출제해 줄 것을 요청하면, 수령이 시제를 출제하고, 고평(考評)하여 등위를 매기고, 성적이 우수한 자에게 지필묵을 시상하였는데, 순제의 경우는 몇 차례의 성적을 합산하여 등위를 매겼다.

이런 권학 차원의 백일장 이외에 선사백일장(選士白日場)도 있었는데, 이는 조선후기에 낙육재(樂育齋)[경상도의 영학(營學)]나 희현당(希顯堂)[전라도의 영학] 등 도 단위 교육기관에 거재할 유생을 선발하는 시험이었다. 선사백일장에 참여하는 유생은 각 군의 수령으로부터 추천을 받았다.

이는 도내의 우수한 유생을 선발하여 영학에 거재시키는 것인데, 각 군에서도 향교나 서원에 거재할 유생을 뽑기 위하여 백일장을 시행하는 경우가 있었다.

조선후기 지방관을 지낸 인물들이 남긴 일기를 보면, 백일장이나 순제의 시행 또는 선사백일장에 참가할 유생 추천 및 시행 사례를 다수 접할 수 있었다.

참고문헌

  • 『교번집략(嶠藩集略)』
  • 『경상도고성부총쇄(慶尙道固城府叢鎖)』
  • 『경상도자인현일록(慶尙道慈仁縣日錄)』
  • 『경상도정선군일록(慶尙道旌善郡日錄)』
  • 『경상도함안군총쇄(慶尙道咸安郡叢鎖)』
  • 『신안집략(新安集略)』
  • 『완영일록(完營日錄)』
  • 『용만집략(龍灣集略)』
  • 『응공록(膺公錄)』
  • 『재교집략(再嶠集略)』
  • 『전라도지도군총쇄(全羅道智島郡叢鎖)』
  • 『종관일록(從官日錄)』
  • 윤희면, 『조선시대 서원과 양반』, 집문당, 2004.
  • 김경용, 『장서각수집 교육·과거관련 고문서 해제(권1)』(장서각연구총서2), 민속원, 2008.
  • 김경용, 「이헌영의 興學활동 기록과 「달성향교강회록(達成鄕校講會錄)」」, 『한국교육사학』 제28권 제1호 , 한국교육사학회, 2006.
  • 김경용, 「용산서원의 거접(居接)활동 기록과 그 의미」, 『교육사학연구』 제16집, 한국교육사학회, 2006.
  • 윤희면, 「조선후기 소수서원의 교육사례」, 『역사교육』 제92집, 역사교육연구회, 2004.
  • 김자운, 「조선시대 소수서원 강학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14.
  • 박수정, 「조선시대 지방교육행정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