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이 책은 조선 정조 때 이덕무(李德懋)·박제가(朴齊家)·백동수(白東修) 등이 왕명에 따라 편찬한 종합무예서이다.

개설

이 책은 정조의 명에 따라, 이덕무·박제가·백동수 등이 편찬했으며, 『무예통지』·『무예도보』·『무예보』라고도 한다. 임진왜란 이후 실전 군사훈련용 무예서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1598년(선조 31) 『무예제보(武藝諸譜)』가 간행되었고, 1759년(영조 35) 18기에 관한 도보인 『무예신보(武藝新譜)』가 간행되었다.

이 책은 『무예제보』·『무예신보』에 기예 6기를 더해 24기를 만들고, 도보를 붙여 조선의 무예를 집대성했으며, 1790년(정조 14)에 완성했다. 손쉽게 기예를 익혀 국방에 만전을 기하려는 의도로 도보를 중심으로 자세한 설명을 실었다.

권수에는 정조가 찬한 「서문」과 「범례」·「병기총서(兵器總敍)」·「척모사실」·「기예질의(技藝質疑)」·「인용서목(引用書目)」의 순으로 실려 있다. 1790년에 언해본을 따로 별권으로 간행했다.

편찬/발간 경위

임진왜란 이후 군사의 무예훈련의 필요성에 따라, 1598년(선조 31) 한교(韓嶠)가 편찬한 『무예제보』와 영조시대 사도세자가 완성하여, 1759년(영조 35)에 간행한 『무예신보』를 보완 집대성한 것이다. 『무예도보통지』에는 『무예제보』의 6기(技)에 12기를 더하여 완성한, 『무예신보』의 18기에 다시 6기를 더하여, 24기의 무예를 정리·수록하였다.

이 책의 체재는 첫머리에 이 책의 간행 동기를 밝힌 정조의 서(序), 범례, 군문(軍門)의 설립과 병서(兵書)의 편찬 등에 관한 「병기총서」는 물론 이 책을 편찬하는 데 표준으로 삼은 『기효신서(紀效新書)』의 저자 척계광(戚繼光), 『무비지(武備志)』의 저자 모원의(茅元義)에 관한 전기(傳記)인 「척·모 사실(事實)」, 병기에 관한 질의문답인 「기예질의」, 참고 서적 145종을 기록한 「인용서목」 등이 있다.

본문에는 24기를 수록하였고, 책 끝에는 무기에 필요한 옷의 그림과 설명을 한 관복도설(冠服圖設)과 영(營)에 따라, 다른 기법의 비교표인 고이표(考異表)가 부록으로 포함되어 있다. 24기 중 『무예도보통지』에 추가된 것은 기창(騎槍) 등 마상무예 6기인데, 이것은 화기의 발달과 함께 기동성 있는 경무장 기병의 질주공격이 중시되는 전술과 관련이 있었다. 무기에 관해서는 중국식과 우리나라식을 뚜렷이 구분하고, 알기 쉽게 일일이 그림과 함께 설명을 하고 있다.

이 책은 당시의 무예서들이 전략과 전술 등 이론을 위주로 한 것들인 데 비하여, 24기의 전투기술을 중심으로 한 실전훈련서이며, 변화된 전쟁 양상에 따른 새로운 전술에 적합하게 군사를 훈련시키기 위한 군사훈련용 병서(兵書)다.

서지 사항

4권, 부록(附錄) 1권, 합 5책으로 구성되어 있고, 목판본이다. 도(圖), 사주쌍변(四周雙邊)이고, 반엽광곽(半葉匡郭)은 20.7×14.1cm이다. 10행 20자의 유계(有界), 상백어미(上白魚尾)를 갖추고 있고, 크기는 31×18.9cm이며, 국립중앙도서관,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다.

구성/내용

이 책은 서문에서는 정조가 이 책을 간행하게 된 동기를 간략히 밝히고 있다. 이에 따르면, 당시 우리나라에는 창이나 검의 병기는 없이 궁술(弓術)만 있었다. 임진왜란 뒤 선조 때 곤봉(棍棒)·장창(長槍) 등 여섯 가지 기예를 다룬 『무예제보』가 편찬되었으며, 영조 때에는 여기에 죽장창(竹長槍)·예도(銳刀) 등 12기를 더하여, 『무예신보』를 간행하였고, 다시 마상(馬上)·격구(擊球) 등 6기를 더하여, 도합 24기로 된 도보를 만든 것이라고 하였다.

「병기총서」에서는 군문(軍門)의 건치(建置), 병서(兵書)의 편찬, 내원(內苑)에서의 시예(試藝) 등을 연대순으로 간술하고 있다. 이는 조선 초부터 이 책의 편간까지의 전투기술사 또는 병기사(兵技史)로서 큰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척·모 사실」에서는 이 책을 편찬하는 데 표준으로 삼은, 『기효신서』와 『무비지』의 저자인 척계광과 모원의의 소전(小傳)을 다루었으며, 「기예질의」는 한교가 병기에 관하여 명나라의 허유격(許遊擊)과 문답한 것을 모은 것이다.

「인용서목」에는 『기효신서』·『무비지』 등 참고한 책 145종을 기록하여, 조선의 무기(武技)와 외래의 무기가 어떻게 융합, 흡수되었는가를 한 눈에 알 수 있게 하고 있다.

24기로 된 본문의 구성을 보면, 권1에는 장창· 죽장창·기창(旗槍)·당파(鏜鈀)·기창(騎槍)·낭선(狼筅) 등 여섯 가지, 권2에는 쌍수도(雙手刀)·예도·교전(交戰) 등의 왜검(倭劍) 세 가지, 권3에는 제독검(提督劍)·본국검(本國劍)·쌍검·마상쌍검·월도(月刀)·마상월도·협도(挾刀) 및 요도(腰刀)와 표창(鏢槍)을 사용하는 등패(藤牌) 등 여덟 가지, 권4에는 권법(拳法)·곤봉·편곤(鞭棍)·마상편곤·격구·마상재(馬上才) 등 여섯 가지로 모두 23종으로 구분되어 있다. 그러나 등패의 사용에서 요도와 표창을 분리하여, 24기로 보는 것이다. 책 끝에 있는 관복도설은 무기에 필요한 옷의 그림과 설명을 한 것이고, 고이표는 영(營)에 따라 다른 기법의 비교표이다.

의의와 평가

이 책은 당시의 무예서들이 전략과 전술 등 이론을 위주로 한 것들인 데 비해 24기의 전투기술을 중심으로 한 실전 훈련서로, 당시의 무예와 병기에 관하여 종합적인 조감을 할 수 있는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또한 본문 외에 당시의 역사·사회 문제를 종합적으로 조감할 수 있는 각종 자료가 모아져 있어 그 진가를 더하고 있다.

참고문헌

  • 곽낙현, 「≪武藝圖譜通志≫에 수록된 도검자세에 관한 고찰-雙手刀(쌍수도), 銳刀(예도), 提督劍(제독검), 本國劍(본국검)을 중심으로-」, 『한국체육사학회지』 제19호, 한국체육사학회, 2007.
  • 김종윤, 「武藝圖譜通志의 雙手刀의 起源과 傳承 그리고 復元에 관하여」, 학술발표자료 학술행사 제8회 국스포츠인류학회 학술대회, 한국스포츠인류학회, 2009.
  • 송일훈, 「정조대왕 무예관의 거시적 관점으로 본 ≪武藝圖譜通志≫의 복원·재현 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56호 상권, 한국사회체육학회, 2014.
  • 전영식, 「조선 정조시대의 武藝圖譜通志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 최복규, 「武藝圖譜通志 무예 분류의 특징과 그 의미」, 『한국체육학회지』 제44권 제4호, 한국체육학회, 2005.
  • 최복규, 『<武藝圖譜通志> 편찬의 歷史的 배경과 武藝論』,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