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신(巫神)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무속의 신앙 대상.

개설

한국의 무속은 수많은 신을 숭배하는 다신신앙(多神信仰)이다. 이들 신은 각각의 영역에서 우주와 인간의 삶을 지배한다. 그러므로 인간들은 이러한 신령에 의존하여 자신들의 길흉화복을 조절하려고 한다.

내용 및 특징

무신(巫神)이란 굿에서 모시는 신, 무신도에 봉안된 신, 동제의 제신(祭神), 집안의 가신(家神)을 말하는데, 명칭의 종류로는 모두 273종에 달하며, 계통으로는 자연신 계통과 인간 기원신 계통이 있다. 자연신이란 자연을 인격화한 것으로 천신·일월성신(日月星辰)·풍신·지신·산신·수신(水神)·문신(門神) 등이 여기에 속하며, 인간 기원신이란 사후 신령으로 받들어진 신으로 왕신·장군신·조상신 등이 그것이다. 이들 신령은 각각 관장하는 고유의 영역이 있어, 그 영역에서 인간의 삶에 영향을 미친다. 그것은 주로 풍요와 다산과 같은 인간의 생존과 직결되는 영역이고, 사랑이나 문학과 같은 가치의 영역을 관장하는 신령은 없다. 따라서 무속의 신 관념은 공리적이라 할 수 있다.

무속의 신들은 서로 간에 위계질서가 있어 크게 4계층으로 분류된다. 즉 천신을 최고신으로 하여, 중층에는 천신 계통, 그 다음으로는 지신이나 산신 계통이 포진하고 있으며, 하층에는 걸립신이나 잡귀 등이 있다. 그러나 서열이 그렇게 뚜렷하지는 않기 때문에 무속의 신들 사이에는 서열이 없다는 견해도 있다. 또 무신은 선신(善神)과 악신(惡神)의 구분이 분명하지 않아 모시기에 따라 선신도 될 수 있고 악신도 될 수 있다. 그러나 무서운 고통을 주는 방법으로 자신의 존재를 드러내는 수가 많기 때문에, 선신이라 하더라도 숭배하는 마음보다 공포의 대상으로 여겨진다.

변천

무속의 전개 과정이 제대로 밝혀져 있지 않으므로, 무신의 변천도 논의하기 어렵다. 그러나 고대에는 천신이 최고신으로 확고한 위치에 있었고 이에 따라 제천 의례가 가장 중요한 의례였으나, 후대로 가면서 천신 신앙과 제천 의례가 점차 빛을 잃어간다. 그리고 외래 종교가 수용되면서 외래 종교 신들이 무속 신앙 체계 속에 들어오게 되며, 인간의 생활이 복잡해지고 새로워지면서 차(車)대감과 같은 새로운 문화 영역을 담당하는 신들이 생겨나고 있다.

의의

무신은 인간의 생존에 관계한다. 이 점에서 가치나 이상의 실현을 추구하는 종교에 비해 저차원이라고 할 수 있겠지만, 다른 종교가 충족시킬 수 없는 역할이 있다. 조선시대에 음사(淫祀)로 배척받으면서도 무속이 현대까지 존속될 수 있는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다.

참고문헌

  • 김태곤, 「신관」, 『한국무속연구』, 집문당, 1981.
  • 임석재, 「한국무속연구서설」, 『한국민속학논문선』Ⅲ, 일조각, 19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