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학(蒙學)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시대 역학(譯學) 중 하나인 몽고어.

내용 및 특징

조선시대 역학(譯學)으로는 몽학(蒙學)과 함께 한학(漢學)·왜학(倭學)·여진학(女眞學)이 있었다. 1393년(태조 2)에 사역원(司譯院)을 설치하고 어학 교육을 실시하였다(『태조실록』 2년 9월 19일). 역학이 1393년에 설치된 병학(兵學)·율학(律學)·자학(字學)·역학·의학(醫學)·산학(算學), 즉 육학에 포함된 것으로 보아 몽학도 한학과 함께 국초부터 설치되었을 것으로 여겨진다(『태조실록』 2년 10월 27일). 1410년(태종 10)에 전 봉어(奉御)주언(周彦)과 전 중랑장(中郞將)송희명(宋希明)을 몽어 훈도관(訓導官)으로 삼았다(『태종실록』 10년 1월 14일). 『경국대전』「예전」 ‘생도조’에 의하면 몽학생도(蒙學生徒)의 정원은 다른 역학생도에 비해 가장 적은 10명이었다. 다른 역학생도를 보면 한학 35명, 여진학 20명, 왜학 15명으로 한학의 비중이 높았다. 다른 어학과 달리 몽학 교육은 서울의 사역원에서만 실시하였다. 몽학생도는 지방에서 1년에 5명씩 세공(歲貢)하게 하였다. 몽고라는 국가가 없는 상황에서 몽학 교육에 힘쓴 것은 최강성 국가였던 몽고가 다시 발흥할 수 있기 때문에 대비하고자 한 것이었다. 몽고와 실제적인 외교가 없었기 때문에 몽학은 한학, 왜학, 여진학[청학] 중에서 제일 부진했다(『정조실록』 10년 4월 22일). 사역원에는 정9품 몽학훈도 2명을 두었다.

역과 초시 합격자 정원을 전공별로 보면 한학이 23명으로 가장 많고, 몽학은 왜학·여진학과 함께 각 4명이었다. 한학과 달리 향시는 실시되지 않았다. 최종 시험인 복시의 합격자 정원은 한학 13명, 몽학은 왜학·여진학과 함께 각 2명을 선발하였다. 식년시와 증광시의 선발 인원은 동일하였으며, 대증광시는 한학·몽학·왜학·청학에서 각 2명을 더 선발하였다.

시험 방법은 사자(寫字)와 역어(譯語)가 있었다. 사자는 글씨를 베껴 쓰는 것을 말하는데, 외국어시험에서는 원어문자(原語文字)를 베껴 쓰는 시험을 보았다. 사자 시험 과목은 『왕가한(王可汗)』, 『수성사감(守成事監)』, 『어사잠(御史箴)』, 『고난가둔(高難加屯)』, 『황도대훈(皇都大訓)』, 『노걸대』, 『공부자(孔夫子)』, 『첩월진(帖月眞)』, 『토고안(吐高安)』, 『백안파두(伯顔波豆)』, 『대루원기(待漏院記)』, 『정관정요(貞觀政要)』, 『속입실(速入實)』, 『장기(章記)』, 『하적후라(何赤厚羅)』, 『거리라(巨里羅)』 등이었다. 그리고 역어시험은 갑국문자를 을국문자로 번역하는 것으로 『경국대전』을 번역하였다. 식년시와 증광시의 시험 과목은 동일하였다.

변천

몽학의 사자 시험 과목은 『속대전』에서 『노걸대』·『첩해몽어』만 남기고 나머지는 폐지하였고, 『대전통편』에서 몽고어 학습서 『몽어유해(蒙語類解)』를 추가하였다.

참고문헌

  • 『經國大典』
  • 『續大典』
  • 『大典會通』
  • 『譯科榜目』
  • 『通文館志』
  • 강신항, 『한국의 역학』,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 이남희, 『조선후기 잡과중인 연구』, 이회문화사, 1999.
  • 송기중, 「『경국대전』에 보이는 역학서서명에 대하여」, 『국어학』14 , 1985.
  • 이남희, 「조선후기 잡과교육의 변화와 특성」,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13-1 , 2014.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