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대(墩臺)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성벽 위에 석재 또는 벽돌로 쌓아 올려 망루(望樓)와 포루(砲樓)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누대(樓臺).

내용

돈대의 형태는 원형과 방형 두 가지가 있으며, 내부에는 2~3단의 마루를 만들고 외부를 향한 벽면에 각 층마다 작은 안혈(眼穴)을 내어 대포·총·화살을 쏠 수 있도록 하였다. 돈대 설치의 기록은 『조선왕조실록』 곳곳에서 나타난다. 1679년(숙종 5) 병조 판서 김석주(金錫冑)의 건의에 따라 강화에 48개소의 돈대가 설치되었는데, 『여지도서』에 그 명칭과 함께 위치가 그려져 있다. 1796년 완공된 수원성 성곽의 서북·남·동북의 세 곳에 돈대가 설치되었는데, 이를 공심돈(空心墩)이라 불렀으며, 수원성에서만 볼 수 있는 특이한 시설물이다. 현재는 서북 공심돈만이 남아 있다. 이러한 공심돈은 서양 중세 봉건제후 성의 일부인 탑과 유사한데 수원성 성역에 참여했던 정약용이 「기기도설(奇器圖說)」을 연구한 것으로 미루어 서양 성곽을 본뜬 것으로 짐작된다.

용례

黃監軍還島 回帖曰 (중략) 乘此時而選將練卒 每三十里 建一亭障‧墩臺 撥兵分戍 火藥‧砲銃‧盔甲‧器械 製造犀利 奴賊不敢東向 而窺左足(『인조실록』 14년 10월 24일)

참고문헌

  • 배성수, 「肅宗初 江華島 墩臺의 축조와 그 의의」, 『朝鮮時代史學報』27, 2003.
  • 이민웅, 「18세기 강화도 수비체제의 강화」, 『韓國史論』34,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1995.
  • 池均晩, 「17세기 강화 墩臺 축조에 관한 건축사적 연구」,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