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사사(金沙寺)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황해남도 용연군 연지봉 남쪽 낙가산(洛迦山)에 있던 절.

개설

황해도 용연의 몽금포(夢金浦) 백사장을 따라 북쪽으로 가면 승선봉(勝仙峰) 서북쪽에 연지봉(蓮池峰)이 있고 이 산의 남쪽에 절이 있었는데, 이 절이 금사사(金沙寺)이다. 이 지역은 바닷가의 모래가 바람에 의하여 육지쪽으로 날아가 쌓여 이루어진 낮은 언덕인 해안사구(海岸砂丘)로 유명하다. 일찍이 『신증동국여지승람』에 금사사의 바닷가는 모두 금빛 모래밭인데 바람이 불 때마다 혹은 동쪽에 언덕이 생기고, 혹은 서쪽에 언덕이 생겨 좌우로 갑자기 이동함이 일정하지 않다고 하였다. 조선전기에는 진언대장경(眞言大藏經)을 소장하였고, 풍광이 뛰어나 많은 문인이 절을 찾아 시문(詩文)을 남겼다. 19세기 말까지 앞바다를 지키는 군사적 요충지였기 때문에 국가에서는 이 절에 승장(僧將)과 승병(僧兵)을 두어 방비하였다.

내용 및 변천

(1) 조선전기

신라 진지왕(眞智王) 때 창건하였다고 전하나, 절에 관한 기록은 조선초기 이후에 등장한다. 1423년(세종 5) 절의 진언대장경과 영통사(靈通寺)의 『화엄경』 경판, 운암사(雲巖寺)의 금자삼본(金字三本) 화엄경 1부와 금자단본(金字單本) 화엄경 1부 등을 배로 운송하라는 명이 있었다(『세종실록』 5년 10월 25일). 1449년(세종 31)에는 『육경합부(六經合部)』를 간행하였다. 조선초기에 널리 독송되던 『금강반야바라밀경』·『대방광불화엄경입부사의해탈경계보현행원품』·『대불정수능엄신주』·『불설아미타경』·『관세음보살예문』·『묘법연화경관세음보살보문품』 등 여섯 가지 경전을 한 책으로 간행한 것이다. 현재는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남국선원에 소장되어 있다.

절은 풍광이 빼어난 고찰이었으므로 이이(李珥), 양사언(楊士彦), 허균(許筠), 홍양호(洪良浩) 등 많은 문인이 즐겨 찾아 시를 남겼다.

(2) 조선후기

1710년(숙종 36)에는 절 앞에 둑을 쌓아 외적의 출몰에 대비하였다. 당시 서해에 소속 불명의 외국 선박인 황당선(荒唐船)이 자주 나타나자 절의 승려 가운데 승대장(僧大將)을 정하여 감시하도록 하였다. 또한 전방선(戰防船)을 만들어 주었으며, 감영(監營)에서 절 앞의 포구에 진보(鎭堡)의 모양과 같이 둑을 쌓게 하였는데, 그 길이가 40리나 되었다. 이때 생긴 전답이 천섬지기 정도인데 일부는 절의 몫으로 하고 나머지는 민간에 불하한 후 세곡을 징수하여 군량미로 충당하자는 건의가 있었다(『영조실록』 5년 9월 25일).

1733년(영조 9)에는 절의 제방을 수축(修築)하였다. 절의 해안 방비 임무는 상당히 효과적이었다. 1763년(영조 39)에는 황당선을 물리치는 일을 그 지역의 백성들에게 맡기면 민폐가 되지만 금사사의 경우처럼 승려들에게 맡기면 효율적이라는 건의가 있었다. 실제로 황해도 강령(康翎)의 등산(登山)에 10여 칸의 승사(僧舍)를 창건하고, 10여명의 승려를 모집하였다. 이들에게는 잡역을 면제하고 약간의 곡물을 주었으며 절 앞의 빈 황무지를 논으로 경작하게 하였다. 그러자 점차 찾아오는 승려들이 늘어났다고 한다.

1768년(영조 44) 조선후기의 실학자 이덕무(李德懋)가 절의 방문기를 썼다. 『서해여언(西海旅言)』에 실린 방문기에 따르면, 당시 절에는 4채의 불전(佛殿)과 8채의 승방(僧房)이 있는데 대웅전에는 석가여래좌상을 중심으로 가섭(迦葉)과 아난(阿難)이 협시하고 주위에는 18아라한(阿羅漢)이 있었다. 사천왕문(四天王門)에는 사천왕을 모두 갖추었다. 당시 나이 여든이 넘은 승려 혜심(譓諶)이 지은 상량문과 중수기가 있었다. 절의 승장이 승병 200명을 거느리고 번갈아 해안을 방비하였다고 한다.

1868년(고종 5) 절은 황해도 수군의 관할 하에 있었지만 한 명의 승장이 있을 뿐이고, 군량과 무기는 전혀 갖추지 못하였다. 이에 앞으로는 금사진별장(金沙鎭別將)이라는 자리를 만들어 군사를 충당하겠다는 계획이 있었다(『고종실록』 5년 6월 16일). 언제인지 모르나 폐사되어 지금은 절터만 남아 있다.

참고문헌

  • 『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
  • 『서해려언(西海旅言)』
  • 『비변사등록(備邊司謄錄)』
  • 대한불교조계종 민족공동체추진본부, 『북한의 전통사찰』, 양사재, 2011.
  • 대한불교진흥원 편, 『북한의 사찰: 북한의 불교와 사찰, 그 과거와 현재』, 대한불교진흥원, 2009.
  • 양은용·김덕수 편, 『임진왜란과 불교의 승군』, 경서원, 1992.
  • 한우근, 『유교정치와 불교: 여말선초 대불교시책』, 일조각,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