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운(廣韻)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중국 송대(宋代) 관(官)에서 편수된 최초의 운서(韻書).

개설

『광운(廣韻)』은 중국 언어학사에서 한어 음운을 연구하는 중요한 운서(韻書) 가운데 하나이다. 송대(宋代)의 관(官)에서 편수된 최초의 운서로, 본래 명칭은 『대송중수광운(大宋重修廣韻)』이다.

송(宋)나라 때 운서(韻書)는 육법언과 손면 등을 계승하여 지어졌으므로, 그들의 이름을 이어서 사용하였다. ‘광운(廣韻)’이란 명칭은 육법언의 ‘절운(切韻)’에 의거하여, 더 확충하였다는 의미이다. 그러므로 고음(古音) 연구 상 『광운(廣韻)』은 한결같이 매우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였으며, ‘육씨절운(陸氏切韻)’이 193운으로 나뉘었는데 반해, ‘광운(廣韻)’은 206운으로 증가되어 13운이 더 많아졌으나, 오히려 이것은 분운(分韻)의 관용과 엄격의 문제이며, 결코 계통상 다른 부분이 있는 것은 아니었다.

[편찬/발간 경위] 『광운(廣韻)』은 송대 진팽년(陳彭年), 구옹(邱雍) 등이 경덕(景德) 4년(1008)에 왕명을 받아, 전대(前代)의 운서에 근거하여 수정한 것이다.

이 책의 제목에 대해 손면(孫面)은 『당운唐韻)』에서 ‘절운(切韻)’, ‘광절운(廣切韻)’이라고 하였고, 혹은 간단히 ‘광운(廣韻)’이라 하였다고 한다. 왕국유(王國維)는 『서장씨장당사본당운후(書蔣氏藏唐寫本唐韻後)』에서 말하기를, “손면의 『당운(唐韻)』은 원래 육법언(陸法言)의 『절운(切韻)』 혹은 『광운(廣韻)』이라 약칭하기도 하였는데, 그의 자서에 의거해 확실하게 『광운(唐韻)』이라 불리게 되었다.”고 하였다.

서지 사항

5권 5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영인본이다.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구성/내용

『광운』의 체재는 5권으로 되어 있고, 수록자(收錄字)의 성조(聲調)에 따라서, 상평성(上平聲)ㆍ하평성(下平聲)ㆍ상성(上聲)ㆍ거성(去聲)ㆍ입성(入聲)으로 나뉘어 있다. 다만 평성은 글자 수가 많아서 상ㆍ하 두 권으로 나눈 것으로, 서성조의 구별과는 관계가 없다.

절운계 운서는 모두 사성(四聲)에 의거하여 권을 나누고 있다. 다만 평성(平聲)이 상(上)ㆍ하(下)로 나뉘어 있어, 실제로는 4권이 아닌 5권으로 되어 있다. 이것은 평성의 글자가 많아, 책을 꾸미는데, 분권이 필요하여 상(上)ㆍ하(下)로 나누었기 때문이다. 중고(中古) 시대의 평운(平聲)이 마치 중원음운(中原音韻) 이후의 ‘음평(陰平)’, ‘양평(陽平)’의 구별이 있었던 것과 같은 의미는 아니다. 다만 우연히 근대의 음평(陰平)에 ‘상평성(上平聲)’의 명칭이 있게 되었고, 양평(陽平)에 ‘하평성(下平聲)’의 명칭이 있게 되어, 많은 사람들이 그들과 광운의 ‘상평(上平)’ ‘하평(下平)’을 혼동하여 말하는 것이다. 주덕청(周德淸)은 처음으로 평성을 음평(陰陽)으로 나누어 말한 사람인데, 그는 『중원음운서(中原音韻書)』에서 “상평성(上平聲; 陰去)은 1동(東)에서 28산(山)까지 가리켜 말한 것이 아니고, 하평성(下平聲; 陽平)은 1선(先)에서 27함(咸)까지 가리켜 말한 것이 아니다. 앞선 선배들은 광운이 평성자가 많아서, 상ㆍ하권으로 나눈 것이고, 그 음을 나눈 것은 아니다.”라고 하였다.

각 권의 구성은 운별(韻別)로 되어 있는데, 각 권을 통산(通算)한 운의 총수는 206이다.(원본 『절운』은 193운) 운이 같은 글자들 중에서 한 글자를 뽑아 그 운의 이름 곧 운목(韻目)으로 삼는데, 운을 세우는 방식은 성조 별로 평행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가령 -uŋ平ㆍ-ĭuŋ平을 한데 묶은 동운(東韻)이 평성에 있으면, 상성에는 –uŋ上ㆍ-ĭuŋ上을 한데 묶은 동운(董韻)을, 거성에는 -uŋ去ㆍ-ĭuŋ去을 한데 묶은 송운(送韻)을 세우고, 입성으로는 -ukㆍ-ĭuk을 한데 묶은 옥운(屋韻)을 세운다. 이것을 사성상배(四聲相配)라고 한다. 그리고 입성운(入聲韻)은 비음운미(鼻音韻尾)로 끝나는 운하고만 상배(相配)한다. 또 『광운』에는 각 권수(卷首)의 운목표에 동용(同用)이라 하여, 다른 운과 압운(押韻)상 통용되는 것을 밝히고 있다. 그 운의 내부에서만 압운이 허용되는 것은 독용(獨用)이라고 했다. 한자음(漢字音)은 반절(反切)로 표시되어 있는데, 이 반절이 표시하는 『광운』의 성모수는 40ㆍ41ㆍ51 등 여러 가지로 측정되고 있다.

참고문헌

  • 김태경, 「『광운』의 반절음과 『전운옥편』ㆍ『삼운성휘』의 한자음 비교」, 『중국어문학논집』 제19호, 중국어문학연구회, 2002.
  • 羅凡晸, 「廣韻數位化及其相關數位應用初探-從《廣韻》一東韻談起」, 國立臺北大學人文學院, 2008.
  • 문선규, 『한어언어학』, 민음사, 1990.
  • 濮之珍, 김현철 외 역, 『중국언어학사』, 신아사, 1997.
  • 정일, 「『광운』의 방언자료」, 『중국학연구』 제2집, 중국학연구회, 19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