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자(孔夫子)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전기에 사역원의 몽학에서 사용한 몽골어 교재.

개설

『공부자(孔夫子)』는 1430년(세종 12) 상정소(詳定所)의 계문(啓文)(『세종실록』 12년 3월 18일)과 『경국대전』「예전(禮典)」 역과취재(譯科取才)의 몽학(蒙學)조에 몽골어 출제서로 등재되었다. 조선전기에 사용된 몽골어 학습 교재였다. 그러나 현전하는 자료가 없어서 그 내용에 대해서는 자세히 알 수 없다.

편찬/발간 경위

고려후기에 수입하여 몽골어 교재로 편찬한 것이었다. 『통문관지』(권2) 「권장(勸獎)」 과거의 몽학팔책조 기사에 의하면, 『공부자』는 왜란과 호란 이후에도 몽골어 교재로 사용되다가 1737년(청나라 고종 2)부터 몽골어의 당시 발음과 뜻에 맞지 않으므로 폐지되었다고 한다. 따라서 이후에는 몽골어 교재로 사용되지 않았다.

서지 사항

원전이 전하지 않아 알 수 없다.

구성/내용

‘공부자’는 유가(儒家)의 공자(孔子)를 높여 부른 말이었다. 『공부자』는 원전이 전하지 않아 어떤 몽골어 교재인지는 분명하지 않으나 북방민족 사이에 널리 알려진 『공자항탁상문서(孔子項託相問書)』의 전설을 소재로 하여 몽골 아동들에게 교육한 훈몽서(訓蒙書)로 보인다. 『공자항탁상문서』는 중국 돈황(敦煌)에서 출토된 초본(抄本)이 있다. 일찍이 『전국책(戰國策)』의 「진책(秦策)」과 사마천(司馬遷)의 『사기(史記)』(권71)의 「감라전(甘羅傳)」,『회남자(淮南子)』(권17)의 「설림훈(說林訓)」 등에서 『전국책』에 소개된 항탁 설화를 인용하였다.

『공자항탁상문서』는 공자와 7세 소년인 항탁(項託, 項橐)이 서로 지혜를 겨루는 것으로 돈황의 초본에는 공자를 부자(夫子)로 호칭하였다. 두 사람이 지혜를 겨루어 공자가 패한다는 내용은 북방민족 사이에 널리 알려진 설화로서 중국의 유교 문화에 대항하려는 북방민족의 사상 교육과 관련이 없지 않다. 이 설화는 『소아론(小兒論)』이나 『팔세아(八歲兒)』 또는 『칠세아(七歲兒)』라는 책이름으로 여진어와 만주어 교재에서도 사용되었다. 어린이 교육을 위한 교재는 유행하던 설화를 소재로 하여 편찬하는 것이 몽골족을 비롯한 북방민족의 관례로 보인다.

참고문헌

  • 정광, 『역학서 연구』, J&C, 2002.
  • 한우근 외, 『역주 경국대전』(주석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6.
  • 정광, 「淸學書 <小兒論>攷」, 『한일어문학논총』(梅田博之敎授 古稀記念), 태학사,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