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전(啓命殿)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초기 개성부에 설치된 태조진전(太祖眞殿).

개설

조선초기부터 국조인 태조와 연관된 여러 지역에 태조 어용전(御容殿)을 건립하고 태조의 초상을 봉안하였다. 태조가 태어난 옛 집인 영흥과 고려의 옛 중심지인 평양·경주 등에 전각을 세워 초상을 봉안했으며, 전주에도 경주의 어진(御眞)을 모사하여 봉안하였다. 이들은 당초에 어용전이라고 불렸으나 1412년(태종 12) 이래로 태조진전으로 통칭되었다. 계명전(啓命殿)은 외방의 태조진전 중 가장 마지막에 건립된 곳이다.

성립 경위

개성부에 있는 태조의 잠저 때 집터에 태조진전을 건립하는 일은 태종이 계획하였고, 1418년(세종 즉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하였다. 공사의 진척을 보기 위해 세종이 직접 행차하기도 했다(『세종실록』 즉위년 10월 20일). 1419년(세종 1) 4월에 진전이 완공되었다. 이곳에는 어진을 봉안하는 진전뿐 아니라 숭효사(崇孝寺)라는 불당과 승사가 부속되어 있었다(『세종실록』 1년 4월 22일). 1419년 7월에 용흥의 옛 땅에 세운 진전이므로 이곳에서 새로운 왕업을 열었다는 의미를 담아 ‘계명(啓命)’이라고 진전의 명호를 정했다(『세종실록』 1년 7월 12일).

1419년 8월에는 태조 어진을 봉안하는 의절을 마련했다. 이어 길창군(吉昌君) 권규(權跬)로 하여금 태조 어진을 계명전에 옮겨 모시게 하였다. 이때 각 관청에서 시위관 1명씩을 보내어 모화루(慕華樓)까지 배행하게 하였다(『세종실록』 1년 8월 26일).

1420년(세종 2)에 계명전에 왕이 친히 제사 지내는 의절을 마련하였다(『세종실록』 2년 윤1월 28일). 같은 해 2월 세종은 상왕 태종과 개성부에 행행하여 계명전에 직접 제사를 올렸다(『세종실록』 2년 2월 19일). 1422년(세종 4)에는 계명전의 이름이 고려 시조 진전의 이름과 같다고 하여 목청전(穆淸殿)으로 고쳐 부르게 했다.

목청전의 제향은 준원전(濬源殿)과 마찬가지로 유명일(有名日)에 사신을 보내어 지내도록 정했다. 정기적인 제향을 통해 태조의 창업을 기억했을 뿐 아니라, 세종·세조·성종·중종 등 여러 왕이 개성에 행행할 때에는 목청전에 직접 들러 제향을 올리고 국초의 일을 되새겼다.

변천

임진왜란 때 목청전이 전소되었고, 그 안에 봉안되었던 태조 어진도 소실되었다. 광해군대에 영숭전(永崇殿)과 봉선전(奉先殿) 등의 진전을 재건하였으나 목청전의 재건은 시행되지 못하였고 이후 조선후기 내내 목청전은 그 터만 보전되었다.

1899년(광무 3) 고종은 태조를 새로운 황제국의 시조로 추숭하는 일련의 의례를 시행하였다. 우선 태조와 장종·정종·순조·익종을 황제로 추봉하는 의례를 거행했고, 원구단에서 태조 고황제를 하늘에 배향하는 의식을 거행했다. 또 선원전(璿源殿) 제1실에 태조 어진을 봉안하기로 하고, 준원전의 태조 어진을 옮겨와 본떠서 그린 후 봉안하였다(『고종실록』 37년 5월 22일). 몇 달 후 선원전 화재로 불탄 어진들을 다시 본떠서 그리고 봉안하면서, 개성부의 목청전 또한 복구하기로 결정하고 이곳에도 준원전의 영정을 본떠서 그린 후 봉안하였다(『고종실록』 37년 12월 1일).

1907년(융희 1) 향사이정에 관한 칙령에 의해 영희전, 목청전, 화령전(華寧殿), 냉천정(冷泉亭), 평락정(平樂亭), 성일헌(誠一軒) 등 진전과 어진 봉안각에 모셔진 어진들을 선원전으로 옮기고 냉천정을 제외하고 나머지 전각들은 모두 국유화하였다.

참고문헌

  • 『춘관통고(春官通考)』
  • 김지영, 「숙종·영조 대 어진도사와 봉안처소 확대에 대한 고찰」,『규장각』27, 2004.
  • 김지영, 「19세기 진전 및 어진봉안처 운영에 대한 연구」, 『장서각』26, 2011.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