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전(遣奠)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상여를 장지로 떠나보낼 때 지내는 제사.

내용

견전은 발인하기 전 문 앞에서 지내는 제사로 작별 인사와 같다. 상여꾼이 큰 상여를 마당이나 뜰 가운데에 들여놓고 축관이 무릎을 꿇고 지금 영구를 상여로 옮기는 것을 알리는 축을 읽는다. 혹은 관을 상여에 실어 움직이지 않도록 결박을 한 후 상여 앞에 병풍을 치고 제상에 제수를 차려놓은 다음 축을 읽기도 한다. 이 축을 발인축(發引祝) 또는 견전축(遣奠祝), 영결축(永訣祝)이라고 한다. 독축이 끝나면 상주 이하 모두 재배하고 난 뒤 제수를 치우고 장지로 향한다.

국상 때 견전의 예는 사서인(士庶人)의 예와는 달리, 발인 하루 전에 국장도감이 재궁을 운반하는 수레와 신백요여(神帛腰轝), 향정(香亭) 등을 중문 밖에 대령하고, 대여는 외문 밖에 대령하고, 신백을 실을 연(輦) 앞에 길장(吉仗), 대여 앞에 흉장(凶仗)과 명기(明器)를 진열한다. 발인 당일 액정서에서 왕과 대군의 자리를 빈전 밖에 설치하고, 예조 정랑이 애책(哀冊)을 진설한다. 발인하기 전 영좌 앞에 예찬을 진설하고, 그 앞에 향로와 향합, 초를 놓고 축문을 올린다. 문밖에는 술잔 준(尊)을 설치하고 준소에 술잔 3개를 놓는다. 감찰을 비롯해 전의, 찬의, 인의가 먼저 자리에 나아가면 이어 종친과 문무백관, 대군이하 자리를 잡고, 마지막으로 좌통례의 인도로 왕이 상장을 짚고 자리에 나아간다. 왕이 자리를 잡으면 참석자 전원이 꿇어앉아 좌통례의 지시에 따라 곡을 하고 이어 대전관(代奠官)이 세 번 향을 올리고 술을 연달아 석 잔을 올리고 나면 대축(大祝)이 축문을 읽는다. 독축을 마치면 봉책관(捧冊官)이 향안 앞에 책함을 놓고 함을 열고 책을 펴면 독책관(讀冊官)이 책을 읽은 후 책함에 넣어 후 자리로 돌아가면 이어 좌통례가 지극하게 곡을 하며, 곡을 마치면 내시가 축을 태운 후 대여가 장지를 향해 출발한다.

용례

親行遣奠於殯殿梓宮啓靷 上具衰服 乘轎隨靈駕 詣興仁門外路祭 禮畢行哭辭禮 靈駕旣發 還宮[『정조실록』 즉위 7월 26일 1번째기사].

참고문헌

  • 『국조상례보편(國朝喪禮補編)』
  •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 『주자가례(朱子家禮)』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