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자(絹子)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명주실로 짠 평직(平織)의 피륙.

개설

비단을 총칭하는 ‘백(帛)’은 은(殷)나라의 갑골문에서부터 보이기 시작하며, 한(漢)나라에서는 ‘증(繒)’이라 하였다. 현재 중국에서는 견직물을 총칭하는 의미로 ‘사주(絲綢)’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우리나라에서는 현재 ‘견(絹)’이라는 용어를 쓰고 있으나 『조선왕조실록』 중의 견자(絹子)는 견직물을 총칭하는 의미가 아니라 견직물의 한 종류에 해당하는 협의의 의미로 사용되었다. 즉 견은 견사로 짠 평직의 견직물을 말하며, 익힘의 여부에 따라 생견(生絹)숙견(熟絹)으로 분리된다.

평견(平絹) 직물은 경사와 위사의 밀도와 실의 굵기 및 꼬임만으로도 가장 단순하면서도 다른 느낌을 줄 수 있다. 고대부터 사용했던 평견 직물은 주(紬)·초(綃)·시(絁)·호(縞)·환(紈)·겸(縑)·사(紗)·곡(縠)·추사(縐絲)·면주(綿紬) 등 다양하다. 중국에서는 주(周)나라와 춘추전국시대에 견이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삼한시대부터 양잠을 했다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이 시기부터 견자를 사용했음을 알 수 있다.

연원 및 변천

『사원(辭源)』에서는 ‘견백증야(絹白繒也)’라 하였고, 『급취편(急就篇)』의 주에서는 ‘대사(大絲)’, 즉 두꺼운 실로 짠 것이 견이라 하였다. 『석명(釋名)』에서는 ‘견견기사견후이소야(絹䋌基絲䋌厚而疏也)’, 즉 두꺼운 실로 짜서 두껍고 조직이 치밀하다고 하여 『급취편』의 주와 같은 의미를 갖고 있다. 『설문(說文)』에도 ‘견증야(絹繒也)’라 했고, 『광아(廣雅)』에는 ‘견초야(絹綃也)’라 했으며, 『신당서(新唐書)』에서는 ‘오견(吳絹)·소견(小絹)·대견(大絹)’ 등의 기록이 있는 것으로 미루어 평견 직물에 실의 굵기와 꼬임, 밀도의 변화를 주어 다양한 느낌의 견을 만들어서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신라시대 중국의 사여 물품과 교역 물품 중에 5~6세기에는 주로 견과 백(帛), 7세기에는 당견(唐絹)이 있었던 것으로 보아 통일신라시대까지는 견이 비교적 많이 사용되며 견직물을 대표하였으나, 8세기 이후부터는 금(錦)·단(段)과 같은 무늬가 있는 견직물이 유입, 제작되면서 견은 가장 일반적인 실크 직물로 취급되었다.

고려시대에는 문라화능(文羅花綾), 즉 꽃무늬가 장식된 고급비단을 금하고 왕족에서 처첩에 이르기까지 흰 저고리에 누런 치마인 백저황상(白苧黃裳)을 착용하였는데, 다만 귀부인의 예장(禮裝)에는 무늬가 있는 비단[文綾]에 생초(生綃)로 안을 댄 넓은 바지를 입고 가을·겨울용 치마에 황견(黃絹) 치마를 입는다 하였다. 여기서 생초와 황견은 모두 평견 직물인 견자이다. 따라서 고려시대에는 견자의 생산 및 사용이 다른 시대와는 달리 적었음을 알 수 있다.

용도

조선시대로 들어와 직조 기술이 발달하면서 다양한 조직과 문양을 나타내는 다채로운 고급의 견직물이 제작되었을 뿐만 아니라, 중국 황실에서 사여 물품으로 들어온 것 중에 화려한 문직류가 많아 왕실 및 귀부인들은 견자보다는 무늬가 있는 견을 선호하였다. 특히 견자 중에서도 생사로 곱게 짠 생초는 여름용으로, 부드럽고 따뜻한 느낌을 주는 주(綢)는 가을·겨울용 옷감으로 선호하였다.

『조선왕조실록』에 나오는 견자가 견직물을 총칭하는 용어가 아닌 협의의 평조직 견직물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는 근거로는, 1416년(태종 16) 왕이 친히 진산부원군(晉山府院君)하륜(河崙)의 빈소에 사제(賜祭)하고 부인 이씨(李氏)에게 국장도감에서 구의(柩衣)·단자(段子)·견자(絹子) 각각 1필과 상복에 쓰는 정포(正布) 17필, 혜피(鞋皮) 2장을 보냈는데 부인이 사양했다는 기록(『태종실록』 16년 12월 8일)과 1422년(세종 4) 2월 태상왕이 조씨(趙氏)를 맞아들이기로 결정하여 가례를 위해 필단(匹段)과 견자를 조뢰(趙賚)의 집에 내렸다는 기록을 들 수 있다(『세종실록』 4년 2월 28일).

참고문헌

  • 『사원(辭源)』
  • 朴南守, 『新羅手工業史』, 新書苑, 1996.
  • 민길자, 『전통옷감』, 대원사, 1997
  • 王莊穆 主編, 『中國絲綢辭典』, 中國科學技術出版社 , 1996.
  • 林巳奈夫 編, 『漢代の文物』, 京都大学人文科学研究所, 1976.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