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몽요결(擊蒙要訣)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이 책은 1577년(선조 10) 율곡 이이(李珥)가 일반 학도들에게 도학(道學)의 입문을 지시하기 위해서 저술한 유학서다.

개설

이 책은 일상생활의 윤리 등에 관하여 자세히 분류하여 가르치고자, 한 일종의 어린이용 교과서이다. 이 책의 편차(編次)와 내용은, 입지(立志)·혁구습(革舊習)·지신(持身)·독서(讀書)·사친(事親)·상제(喪制)·제례(祭禮)·거가(居家)·접인(接人)·처세(處世)의 10장으로 나누어 서술하였다. 그리고 책 끝에 사당도(祠堂圖)·시제도(時祭圖)·설찬도(設饌圖)와 제의(祭儀)에서의 출입의(出入儀)·참례의(參禮儀)·천헌의(薦獻儀)·고사의(古事儀)·시제의(時祭儀)·기제의(忌祭儀)·묘제의(墓祭儀)·상복중행제의(喪服中行祭儀) 등을 붙였다. 조선시대 중기 이후 전국적인 필독의 교재로 쓰였다.

편찬/발간 경위

이 책은 서문에 의하면, 저자가 해주의 은병정사(隱屛精舍)에서 제자들을 가르칠 때, 초학(初學)의 향방을 정하지 못하여, 굳은 뜻이 없는 제자들에게 뜻을 세우고, 몸을 삼가하며, 부모를 봉양하고, 남을 접대하는 방법을 가르치기 위해 이 책을 지었다고 하였다.

저술 당시부터 현대에 이르도록 여러 형태로 간행되었다. 예를 들어 1629년(인조 7)에는 황해감사가 수백 권을 인쇄하여, 조정에 바쳐 반포하게 하였으며, 다음 해에는 예조에서 『소학(小學)』「오륜가(五倫歌)」와 함께 간행하였다. 『율곡전서(栗谷全書)』에도 실려 있다. 해주에서 학도들을 가르친 경험을 바탕으로 기초교육에 대해 정리한 것으로서, 저자가 국왕의 학문을 위해 저술한 『성학집요(聖學輯要)』와 관학(官學) 교육을 위해, 저술한 『학교모범(學校模範)』에 대응하는 책이다.

앞머리에 저자의 서문이 있고, 10개 장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장마다 여러 항목이 나열되어 있다. 학문이란 특별한 것이 아니라, 인간이 인간답게 살아가기 위하여, 일상생활을 마땅하게 해나가는 것일 따름이라는 입장에서 저술되었다. 물론 이 때의 일상생활은 아버지는 자애롭고, 자식은 효성스러워야 하며, 신하는 충성되고, 부부는 유별해야 하고, 형제간에는 우애가 있고, 어린 자는 나이가 많은 자를 공경해야 하고, 붕우(朋友)된 자는 신의가 있어야 한다는 유교이념을 구현하는 것이었다.

그 방법은 글을 읽고 이치를 연구하여 마땅히 행하여야 할 길을 밝힌 다음에 깊은 경지로 들어가 올바름을 얻고, 밟아 실천하여 지나치거나 모자람이 없는 중도(中道)에 도달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따라서 이 책의 목적은 학도에게 뜻을 세우고, 몸을 삼가며, 부모를 모시고, 남을 대하는 방법을 가르쳐, 바로 마음을 닦고 도를 향하는 기초를 세우도록 노력하게 만든다는 데 있으며, 동시에 저자로서도 스스로를 경계하고 반성하는 자료로 삼고자 하였다.

서지 사항

2권 1책으로 구성되어 있고, 필사본(규장각본)이다. 사주단변(四周單邊)이고, 반엽광곽(半葉匡郭)은 17.9×15.6cm이다. 9행 15자의 유계(有界)이고, 판심(版心)은 상하화문어미(上下花紋魚尾)를 갖추고 있다. 크기는 26.4×20cm이며, 오죽헌시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구성/내용

제1장, ‘입지’에서 처음 배우는 이가 먼저 뜻을 세워서 스스로 성인이 될 것을 기약하고, 스스로 작게 여겨 물러가려는 생각을 일으키지 말 것을 강조했다.

제2장, ‘혁구습’에서는 사람이 학문에 뜻을 두어, 열심히 노력하여도 성취하지 못하는 것은 구습이 있기 때문임을 밝히고, 구습의 종류로서 ‘뜻을 게으른 데 둔 것’ 등 여덟 가지를 들고 있다.

제3장, ‘지신’에서는 9용(九容)으로 몸과 마음을 지키고, 9사(九思)로써 학문을 진취시키는 뜻을 세울 것을 강조하였다.

제4장, ‘독서’에서는 이치를 연구하기 위해 먼저 독서를 해야 하며, 독서를 하되 반드시 책 한 권을 선택한 후 충분히 뜻을 헤아리며 읽어 통달한 뒤 다른 책으로 바꿔 읽을 것과 다독에 빠져서 쓸데없이 힘을 소모하는 것을 경계하였다.

책을 읽는 순서에 있어서는 먼저 『소학』을 읽고, 그 다음에는 『대학(大學)』 및 『혹문(或問)』을 읽어서 마음을 바르게 하고, 몸을 닦는 이치와 사람을 다스리는 도리를 배우며, 『논어(論語)』를 읽어서 인(仁)을 구하고, 자신을 위한 학문의 본원(本原)을 함양하는 공부를 익히며, 다음에는 『맹자(孟子)』를 읽어서 의리를 밝게 분별하여, 인욕을 막고, 천리(天理)를 보존하는 설(說)을 밝게 살피며, 『중용(中庸)』을 읽고, 그 다음에는 『시경(詩經)』을 읽으며, 다음에 『예경(禮經)』, 『서경(書經)』, 『주역(周易)』과 『춘추(春秋)』를 읽어 심신을 함양하고, 학문을 도타이 할 것을 가르쳤다. 이 밖에도 선현들이 지은 『근사록(近思錄)』 등의 책을 정독할 것을 강조하였다.

제5장, ‘사친’에서는 효도의 당위성을 강조하여, 잠시도 효를 잊지 말 것을 밝혔다.

제6장, ‘상제’에서는 상례를 주희(朱熹)의 『가례』에 따를 것 등을 밝히고 있다.

제7장, ‘제례’에서는 가례에 의해서 사당을 세우고, 조상의 신주를 모시며, 제전(祭田)을 두고 제기를 갖출 것과 사당에 대한 예의 등을 밝혔다.

제8장, ‘거가’에서는 부부간의 예의를 중심으로 집안 다스리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제9장, ‘접인’에서는 부드럽고 공경하는 마음으로 사람을 접대할 것과 학문을 믿고, 스스로 교만해지는 것을 경계하라고 가르쳤다.

제10장, ‘처세’에서는 벼슬을 위해 학문하지 말 것과 도를 행할 수 없으면 벼슬에서 물러날 것을 깨우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책은 덕행과 지식의 함양을 위한 초등과정의 교재로 근세에 이르기까지 여러 번 간행되었을 뿐만 아니라, 초학자들에게 『천자문(千字文)』·『동몽선습(童蒙先習)』·『훈몽자회(訓蒙字會)』에 이어 널리 읽혀졌다.

이 책의 구성과 내용은 학문에 뜻을 두는 것으로부터 시작하여, 자기 몸을 바로 세우고 사회에 나가 활동하도록 하는 성리학의 근본이념을 일상생활에 구체적으로 적용한 것이다. 자연과 사회를 파악하는 데 이기철학이 바탕이 되며, 부모 자식 간의 효가 사회질서의 근본이념을 이루고, 향촌 지주로서의 경제적 기반을 바탕으로 한 사족(士族)들이 사회를 주도하던 조선시대에는 가장 기본적인 교과서였다. 그러나 사회 운영의 철학과 질서가 크게 바뀐 현대에는 그 내용들을 그대로 학문과 사회생활에 적용하기 어렵다.

참고문헌

  • 손인수, 『栗谷의 敎育思想』, 박영사, 1976.
  • 손인수, 『擊蒙要訣, 敎育名著解題』, 한국능력개발사, 1979.
  • 손인수, 『율곡 사상의 이해』, 교육과학사, 1995.
  • 윤종을, 「栗谷의 ‘擊蒙要訣’에 타나난 교육사상에 대한 현대적 의미 연구」, 강릉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 황준연, 『율곡 철학의 이해』, 서광사,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