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산역(전라도)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시대 전라도 지역의 역도 중 하나인 삼례도에 속한 역.

개설

거산역(居山驛)은 고려 성종대에 전국의 525개 역을 22개 역도(驛道)로 편성하는 과정에서 전공주도(全公州道)에 소속되었다. 이후 조선시대에는 세조 연간에 역제를 41역도-543속역 체제로 개편하면서 삼례도(蔘禮道)의 속역으로 편성되었다. 전라도 태인에 위치하였으며, 찰방(察訪)이 파견되어 역무를 관할하였다.

설립 경위 및 목적

『고려사(高麗史)』 참역 조에 따르면, 거산역은 고려시대부터 전라도 태인 지역에 설치되어 있었다. 설치 시기는 명확하지 않으나, 고려의 역제가 22역도-525속역 체제로 정비된 995년(고려 성종 14)에서 1067년(고려 문종 21) 사이에 전공주도에 소속된 21개 속역 중 하나로 설치된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 접어들어서는 반석역(半石驛)·조원역(烏原驛)·갈담역(葛覃驛)·소안역(蘇安驛)·촌곡역(材谷驛) 등과 함께 삼례도에 소속되었다.

조직 및 역할

1872년(고종 9)에 편찬된 『호남읍지(湖南邑誌)』에 따르면, 거산역에는 역리(驛吏) 11명, 역노(驛奴) 3명, 역비(驛婢) 2명, 역보(驛保) 52명, 솔정(率丁) 26명, 일수(日守) 3명, 번인(番人) 10명이 배속되어 있었다. 역마의 경우 1872년의 『호남읍지』에는 마필(馬匹)과 마호(馬戶)가 각각 11필과 11호로 기록되어 있으며, 1895년(고종 32)의 『호남읍지』에는 9필과 9호로 나타나 있다. 마호 1호당 1필의 역마를 사육한 것으로 보인다.

변천

『조선왕조실록』에 거산역이 처음으로 언급되는 것은, 1415년(태종 15)에 관찰사박습(朴習)계문(啓聞)에 따라 태인현의 치소를 거산역으로 옮겼다는 기사를 통해서이다(『태종실록』 15년 8월 10일). 『세종실록』「지리지」에 따르면, 거산역은 앵곡도(鶯谷道)의 속역으로 편성되었다. 이후 1462년(세조 8)에 전라도의 역도를 재편하는 과정에서 앵곡도가 삼례도에 통합되면서 삼례도의 13개 속역 중 하나로 편제되었다.

참고문헌

  • 『고려사(高麗史)』
  • 『호남읍지(湖南邑誌)』
  • 조병로, 『韓國近世 驛制史硏究』, 국학자료원, 2005.
  • 정요근, 「高麗前期 驛制의 整備와 22驛道」, 『한국사론』45, 2001.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