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서사(江西寺)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황해도 배천군 강호리운달산에 있는 절.

개설

강서사(江西寺)는 예성강의 서쪽에 있기 때문에 이름 붙여진 사찰인데, 절 주변의 경관이 부처를 보는 듯한 경치라 하여 견불사(見佛寺)라고도 하였다. 영운사(靈雲寺) 혹은 영은사(靈隱寺)라고도 한다. 고려시대에는 천태종(天台宗)의 사찰로 유명하였지만, 조선시대에는 불교 탄압으로 쇠락하였다.

내용 및 변천

강서사는 신라말기에 고승 도선(道詵)의 권유를 받은 배천의 양씨(梁氏) 성을 가진 부자가 자신의 집을 절로 삼은 곳으로 전해진다. 고려시대에는 대각 국사의천(義天)의 제자로 경전과 시문(詩文)에 밝았던 혜소(惠素)가 주지로 있어 이름난 문사들이 자주 찾았다. 천태종의 대표적인 사찰인 경기도 개풍군의 국청사(國淸寺)와 깊은 관련이 있었으며, 조선시대에는 세조가 도성 안 원각사에 있던 장육불(丈六佛)을 이 절에 옮겨두었다고 한다.

조선전기의 강서사는 왕실의 기도처로 이용되었다. 세조의 진영을 봉안하는 영전(影殿)의 기능을 하였으며, 부원군 한명회의 원찰이었고 중종과 경빈박씨의 딸인 혜정옹주의 원찰이기도 했다.

하지만 숭유억불 체제가 강화되면서 강서사 역시 그 피해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1551년(명종 6) 강서사의 주지승인 도오(道悟)가 유생 조응규(趙應奎)에게 구타를 당한 일이 있었다. 승정원의 관원은 유생 조응규를 옹호하면서 방면할 것을 간청하였지만, 명종은 조응규가 유생이 아님을 지적하면서 처벌을 내리고 앞으로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경계하라고 하였다(『명종실록』 6년 11월 17일). 이처럼 조선시대에는 승려가 세도가들이나 유학자들로부터 폭행을 당하거나 곤욕을 치르는 일이 자주 발생했다. 그런데 명종대에 이례적으로 왕이 직접 나서 유생의 처벌을 명한 것은 독실한 불교 신자인 문정왕후가 섭정의 위치에 있었기 때문이었다.

강서사는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중창하였고, 1651년(효종 2) 봄에 다시 화재가 발생해 대웅전과 동·서 건물이 또 한 번 불타버렸으나 4년 뒤 중창하였다. 현재는 대웅전과 요사채, 7층석탑, 사적비 등이 남아 있다.

참고문헌

  • 이정 편저, 『한국불교사찰사전』, 불교시대사, 1996.
  • 한우근, 『유교정치와 불교』, 일조각, 1993.
  • 고유섭, 「백마산 강서사의 포경(浦景)」, 『송도의 고적』, 열화당, 2007.
  • 고유섭, 「강서사 7층석탑」, 『조선탑파의 연구(하) -각론편-』, 열화당, 2010.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