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수산(甘遂散)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여러 가지 전간과 부인이 심풍으로 정신이 혼미한 증세를 치료하는 처방이며, 한의학에서 사용하는 이뇨제의 일종.

개설

감수산(甘遂散)은 다양한 간질(癎疾) 증세에 처방하고, 부종병으로 인한 손상으로 어린아이가 전신이 붓고 대소변을 누지 못하는 증상 및 부인이 풍증으로 가슴이 답답한 증세를 치료한다. 강력한 이뇨 작용을 통해 여러 증상을 해소하는 작용을 가진 처방이다.

『의방유취』에는 상한의 통치약으로 감수산을 처방하였고, 코가 막혀 냄새를 맡지 못하는 증상과 삼초(三焦)의 기가 통하지 못하여 가슴과 복부가 부어오르고 잔기침과 더불어 대소변이 어려운 증세에 처방한다고 했다. 또한 소아가 수기의 손상으로 전신이 부어오르고 대소변을 보기 어렵고 기침이 심하여 잠을 이루지 못하는 병증에 감수산을 복용하도록 했다. 18세기 소아과 전문의서 『급유방』「간질」조에는 다섯 가지 종류의 전간(癲癇)과 부인의 심풍(心風)을 치료한다고 했다. 『인제지』에도 이와 동일한 내용이 실려 있다.

제조법

가루를 낸 감수(甘遂) 1돈을 돼지 염통의 피로 반죽하여 돼지 염통 속에 넣고 물에 적신 종이로 싸서 약한 불 속에 묻어 구운 다음, 꺼내어 다시 보드랍게 가루를 낸다. 여기에 주사(朱砂) 가루 1돈을 섞어서 환을 만들어 한 번에 한 알씩 복용한다.

효능

여러 가지 전간과 심풍(心風)으로 인한 혼미한 증세를 치료한다.

생활·민속 관련 사항

『조선왕조실록』에는 경종의 환후(患候)에 대해 담화(痰火)가 상초(上焦)에 꽉 막혔다고 판단한 의관들이 감수산(甘遂散)을 연이어 올렸다는 기록이 있다(『경종실록』 3년 6월 4일). 당시 상황은 『승정원일기』에 자세하게 기록되어 있는데, 경종의 담화와 울체가 상초(上焦)를 불규칙하게 오르내리고, 가슴과 복중이 막힌 듯한 증세를 치료하기 위하여 내의들이 처방에 따라 감수산을 복용하게 하였다고 했다. 다만 감수산은 매우 강한 하리(下利) 작용과 더불어 성질이 강하므로 복용에 주의해야 한다고 건의하였다. 감수산 처방은 경종이 가슴에 담화가 막히고 복중이 답답한 증세를 제거하기 위한 조처였는데, 당시 의관들은 일반적으로 여항의 환자들도 많이 사용하는 약물이라고 권하였다. 약을 복용하고 토하거나 설사를 하자 모두 약효 덕분으로 보고, 경종이 복용한 후 대변 횟수를 자주 체크하면서 처음에는 환약 한 알로 시작하여 점차 복용량을 늘려가도록 처방하기도 했다. 감수산을 복용한 후 경종은 두 차례 소변을 보고 나서 약간 시원한 느낌이 있다고 답하였는데, 내의원에서는 감수산을 너무 자주 복용할 경우 속이 허해질 우려가 있으므로 흰죽[白粥]을 진어하도록 권하였다. 감수산이 설사를 촉진하고 담과 변을 내리게 하지만 장복하면 도리어 비위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고 판단하여 얼마 후 복용을 정지하였다.

참고문헌

  • 『의방유취(醫方類聚)』
  • 『급유방(及幼方)』
  • 『인제지(仁濟志)』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