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연사(覺淵寺)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시대에 불상이 땀을 흘렸다는 이야기가 전하는, 충청북도 괴산군의 사찰.

개설

각연사(覺淵寺)는 신라 법흥왕대에 유일(有一)이 창건하였다고 전한다. 통일신라후기에 조성된 석조비로자나불상, 고려 광종대에 세운 통일대사탑비(通一大師塔碑)가 있다. 그리고 1768년(영조 44)에 새로 수리한 대웅전과 1771년(영조 47)에 금(金)을 새로 입힌 불상 3구가 전한다. 1718년(숙종 44)에는 3구의 불상에서 땀이 흘렀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내용 및 특징

(1) 창건 설화

각연사는 충청북도 괴산군 칠성면 태성리보개산에 소재해 있으며, 신라 법흥왕대에 유일이 창건하였다고 전한다. 창건 설화에 따르면, 유일이 절을 짓기 위해 지금의 칠성면 쌍곡리 근처에 터를 잡고 공사를 시작하였는데, 까마귀 떼가 나타나서 대팻밥과 나무 부스러기를 물고 날아갔다. 유일이 이상하게 여겨 까마귀 떼를 따라가 보니 까마귀들이 물고 온 대팻밥을 연못에 떨어뜨리는 것이었다. 이상하게 여겨 연못 속을 들여다보니 그 안에 석불이 있었다. 이에 유일은 그 연못을 메워 절을 짓고 각연사라고 하였다고 한다. 연못을 보고 깨달은 바가 있었다는 의미에서 사찰의 이름을 각연사라 하였다는 것이다.

(2) 소장 문화재

각연사에는 통일신라후기에 조성된 석조비로자나불좌상(보물 제433호)과 고려초기인 958년(광종 9)에 세워진 통일대사탑비(보물 제1295호)가 전해온다. 통일(通一) 대사(大師)는 중국 유학을 다녀와 각연사에 선문(禪門)을 개창하고 사찰을 중창하였다. 그가 입적하자 광종은 ‘통일 대사’라는 시호를 내리고 당시의 문장가였던 김정언(金廷彦)에게 비문을 짓도록 하였다. 비문은 마모되어 알아보기 힘드나, 뒷면에 비를 세운 이들인 제자 총훈(聰訓)과 삼강(三綱)직 등이 새겨져 있다. 그리고 조선시대 유물로는 1768년에 새로 수리한 대웅전(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26호)과 1771년에 금을 새로 입힌 석가여래좌상·아미타여래좌상·약사여래좌상이 전한다.

이 외에도 석조비로자나불상을 봉안하고 있는 비로전(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25호)과 석조귀부(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12호) 등이 있다. 그리고 작성 시기가 알려져 있지 않은 「각연사관음전중수기」에 따르면, 관음전을 처음 조성한 사람은 선화(禪和)이고, 새로 수리할 때 책임자는 총섭 취한(就閒), 목수는 수열(守悅), 공양주는 원택(圓宅), 기와공은 일산(一山), 화사는 인순(仁淳)과 유신(唯信)이라고 하였다.

(3) 불상이 땀을 흘렸다는 전승

1718년에 각연사 법당의 세 불상이 땀을 흘렸는데, 솜으로 닦으면 닦는 대로 땀이 계속 흘렀다고 한다(『숙종실록』 44년 12월 7일). 『조선왕조실록』에서 불한사(佛汗事), 즉 불상에서 땀이 흐른 사건에 관한 기록은 총 38회 등장한다. 그 목록은 다음과 같다.

○ 1394년(태조 3) 11월 17일, 개성 흥국사 구리부처

○ 1395년(태조 4) 7월 27일, 개성 흥국사 구리부처

○ 1399년(정종 1) 10월 13일, 개성 흥국사 금부처

○ 1399년(정종 1) 10월 19일, 개성 흥국사 금부처

○ 1399년(정종 1) 10월 29일, 개성 흥국사 금부처

○ 1400년(정종 2) 1월 20일, 개성 흥국사 금부처

○ 1401년(태종 1) 5월 13일, 개성 연복사 부처

○ 1403년(태종 3) 12월 21일, 개성 왕륜사와 흥국사 불상

○ 1405년(태종 5) 2월 2일, 봉선사 불상

○ 1407년(태종 7) 6월 28일, 문경 양산사 불상

○ 1409년(태종 9) 7월 26일, 충청도 자복사 석불

○ 1409년(태종 9) 10월 29일, 개성 연복사·흥국사·왕륜사 불상

○ 1409년(태종 9) 11월 15일, 충청도 자복사 석불

○ 1412년(태종 12) 6월 1일, 영흥 보현사·국창사 석불

○ 1412년(태종 12) 6월 7일, 동북면 예원군 관음사 부처

○ 1412년(태종 12) 10월 23일, 충청도 덕은현 관족사 석불

○ 1412년(태종 12) 11월 21일, 완산 임천사 석불

○ 1413년(태종 13) 12월 24일, 전주 임천사 석불

○ 1414년(태종 14) 6월 15일, 영길도 예원 장정사 불상

○ 1415년(태종 15) 7월 28일, 순안 신사 나한·국창사 석불·함주 성사 철불

○ 1415년(태종 15) 8월 24일, 영흥부 보현사 미륵불

○ 1416년(태종 16) 2월 15일, 충청도 목천현 자복사 석불

○ 1416년(태종 16) 2월 29일, 현풍 대견사 관음상

○ 1423년(세종 5) 11월 29일, 현풍 대견사 장륙관음석상

○ 1635년(인조 13) 2월 23일, 보은 속리사 장육불

○ 1659년(효종 10) 3월 28일, 해인사 불상·석탑·대장경판본

○ 1659년(효종 10) 윤3월 3일, 청주 안심사 불상

○ 1659년(효종 10) 윤3월 20일, 전라남도 금성현 쌍계사 불상

○ 1659년(효종 10) 윤3월 27일, 서원현 불상

○ 1659년(효종 10) 윤3월 28일, 보은현 속리사 불상

○ 1662년(현종 3) 1월 4일, 담양 보국사 금불

○ 1678년(숙종 4) 12월 7일, 호남 불상

○ 1679년(숙종 5) 3월 1일, 대구 부인사 토불상

○ 1686년(숙종 12) 2월 12일, 경상도와 전라도 사찰

○ 1695년(숙종 21) 4워 12일, 지평현 용문사 범종

○ 1695년(숙종 21) 6월 30일, 과천 만수암 석불

○ 1718년(숙종 44) 12월 7일, 충청도 연풍현 각연사

○ 1722년(경종 2) 4월 12일, 황해도 천불사 금불상

참고문헌

  • 『한국불교전서(韓國佛敎全書)』
  • 한국문화재보호재단 발굴조사사업단, 『괴산 각연사』, 서울: 한국문화재보호재단,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