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종 태실지 편집하기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6번째 줄: 26번째 줄:
 
|이안 연월일=1929 <small>추정</small>
 
|이안 연월일=1929 <small>추정</small>
 
|이안지=고양시 덕양구 대자동 서삼릉 내
 
|이안지=고양시 덕양구 대자동 서삼릉 내
|이안지 좌표(위도)=37°66'45.61"N,
+
|이안지 좌표(위도)=37°39'52.9"N
|이안지 좌표(경도)=126°86'06.29"E
+
|이안지 좌표(경도)=126°51'38.0"E
 
|지문=道光七年丁亥,七月十八日生,憲宗成皇帝胎,道光七年丁亥,十一月,藏于禮山郡德山面,昭和四年月,日移藏
 
|지문=道光七年丁亥,七月十八日生,憲宗成皇帝胎,道光七年丁亥,十一月,藏于禮山郡德山面,昭和四年月,日移藏
 
|지문 찬자=이왕직 예식과(李王職 禮式課)
 
|지문 찬자=이왕직 예식과(李王職 禮式課)
39번째 줄: 39번째 줄:
 
}}
 
}}
  
=='''내용'''==
+
=='''정의'''==
조선 제24대 국왕 헌종의 태실이다.
+
조선의 추존 황제 문조 익황제(文祖 翼皇帝)와 추존 황후 신정익황후(神貞翼皇后) 조씨(趙氏)의 장남인 조선 24대 왕·대한제국 추존황제 헌종의 안태지(安胎地).
 
 
1827년(순조 27) 11월 이지연을 안태사로 삼아 덕산현 가야산 명월봉에 태를 봉안하였다. 이 때 고례에 따라 옹석(甕石)·개석(蓋石)·내지석(內識石)·표석(標石) 등을 세워야 하지만 순조 태실의 전례를 따라 옹석과 개석만 쓰기로 하였다. 이 때 화소는 200보로 정하였고 화소 안에 위치한 백성들의 전답은 값을 치루었다.
 
 
 
헌종은 즉위 초 자신의 태실을 가봉하기에 앞서 아버지 익종의 태실을 가봉하였다. 이후 헌종의 태실의 가봉 논의가 시작되는 시점은 1846년(헌종 12)이다. 이 때 헌종 태실의 제도는 앞서 이루어진 다른 태실과 같이 영조 태실을 모범으로 삼았다. 이후 가봉의 내용은 《헌종태실가봉석난간조배의궤(憲宗胎室加封石欄干造排儀軌)》(규 13973)에 정리되었다.
 
 
 
헌종 태실은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훼손 된 후 그대로 방치된 것으로 보인다. 현재 태실지에는 귀부와 중동석과 개첨석 등이 남아있을 뿐 난간석이나 비신은 사라진 상태이다. 다만 헌종 가봉비는 2015년 태실지 인근의 옥계저수지에서 발견되었다. 또한 2017년에는 역시 옥계저수지에서 사방석이 발견되었다. 저수지에서 복수의 석물이 발견되는 것으로 미루어 이 지역 지표조사 및 수중 조사가 필요한 실정이다.
 
  
 
=='''관련 기록'''==
 
=='''관련 기록'''==
230번째 줄: 224번째 줄:
 
令曰, 安胎使先退, 仍令退, 承史以次退出。|출처=『승정원일기』 2223책 (탈초본 113책) 순조 27년(1827) 11월 15일 병진(丙辰) 24/24 기사}}
 
令曰, 安胎使先退, 仍令退, 承史以次退出。|출처=『승정원일기』 2223책 (탈초본 113책) 순조 27년(1827) 11월 15일 병진(丙辰) 24/24 기사}}
  
====『승정원일기』 2223책 (탈초본 113책) 순조 27년(1827) 11월 16일 정사(丁巳) 27/28 기사====
+
====『승정원일기』 2220책 (탈초본 113책) 순조 27년(1827) 11월 16일 정사(丁巳) 27/28 기사====
 
{{Blockquote|丁亥十一月十六日辰時, 王世子座重熙堂。  
 
{{Blockquote|丁亥十一月十六日辰時, 王世子座重熙堂。  
  
237번째 줄: 231번째 줄:
 
令曰, 公事奏之。  
 
令曰, 公事奏之。  
  
圭祊曰, 臣吏房代房, 而有公事矣, 讀奏公忠監司徐俊輔狀達胎封完役後還營事及忠州牧使李謙秀到任事。 竝達下。|출처=『승정원일기』 2223책 (탈초본 113책) 순조 27년(1827) 11월 16일 정사(丁巳) 27/28 기사}}
+
圭祊曰, 臣吏房代房, 而有公事矣, 讀奏公忠監司徐俊輔狀達胎封完役後還營事及忠州牧使李謙秀到任事。 竝達下。|출처=『승정원일기』 2220책 (탈초본 113책) 순조 27년(1827) 11월 16일 정사(丁巳) 27/28 기사}}
  
 
====『승정원일기』 2223책 (탈초본 113책) 순조 27년(1827) 11월 17일 무오(戊午) 16/37 기사====
 
====『승정원일기』 2223책 (탈초본 113책) 순조 27년(1827) 11월 17일 무오(戊午) 16/37 기사====
252번째 줄: 246번째 줄:
 
=='''시각자료'''==
 
=='''시각자료'''==
 
===파노라마===
 
===파노라마===
<html>
 
<iframe width="100%" height="800" src="http://dh.aks.ac.kr/~ssn/pavilion/Field_PC/PC019/PC019.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스틸샷 갤러리===
 
===스틸샷 갤러리===
 
<gallery>
 
<gallery>
File:SSNPC_Heonjong01.JPG|서삼릉 태실 집안지 헌종 태실 전면
+
File:SSNPC_Heonjong01.JPG|서삼릉 태실 헌종 성황제 태실 전경
File:SSNPC_Heonjong02.JPG|서삼릉 태실 집안지 헌종 태실 후면
+
File:SSNPC_Heonjong02.JPG|서삼릉 태실 헌종 성황제 태실 후면
File:OGPC_Heonjong_entry_board.JPG|예산 옥계리 헌종 태실 초안지 입구 안내판  
+
File:OGPC_Heonjong_entry_board.JPG|예산 옥계리 헌종 태실 입구 안내판  
File:OGPC_Heonjong_board.JPG|예산 옥계리 헌종 태실 초안지 안내판  
+
File:OGPC_Heonjong_board.JPG|예산 옥계리 헌종 태실 경내 안내판
File:OGPC_Heonjong_Taeshil_pano01.JPG|예산 옥계리 헌종 태실 초안지 전경
+
File:OGPC_Heonjong_Taeshil_pano01.JPG|예산 옥계리 헌종 태실 측면
File:OGPC_Heonjong_Gabongbi_turtle_base_Front.JPG|예산 옥계리 헌종 가봉태실 귀부 전면
+
File:OGPC_Heonjong_Taeshil_pano02.JPG|예산 옥계리 헌종 태실 전면
File:OGPC_Heonjong_Gabongbi_turtle_base_back.JPG|예산 옥계리 헌종 가봉태실 귀부 후면
+
File:OGPC_Heonjong_Gabongbi_turtle_base_Front.JPG|예산 옥계리 헌종 귀부(龜趺) 전면
File:OGPC_Heonjong_Gabongbi_turtle_base_bisin.JPG|예산 옥계리 헌종 가봉태실 비신
+
File:OGPC_Heonjong_Gabongbi_turtle_base_Face.JPG|예산 옥계리 헌종 귀부 면석(面石)
File:OGPC_Heonjong_Taeshil_pano05.JPG|예산 옥계리 헌종 가봉태실 중앙태석
+
File:OGPC_Heonjong_Gabongbi_turtle_base_left.JPG|예산 옥계리 헌종 귀부 좌측
File:OGPC_Heonjong_Sabangseok01.JPG|예산군청 헌종 가봉태실 사방석-1
+
File:OGPC_Heonjong_Gabongbi_turtle_base_right.JPG|예산 옥계리 헌종 귀부 우측
File:OGPC_Heonjong_Sabangseok02.JPG|예산군청 헌종 가봉태실 사방석-2
+
File:OGPC_Heonjong_Gabongbi_turtle_base_back.JPG|예산 옥계리 헌종 귀부 후면
File:OGPC_Heonjong_biseok.jpg|예산군청 헌종 가봉태실 비신 전면
+
File:OGPC_Heonjong_Gabongbi_turtle_base_bisin.JPG|예산 옥계리 헌종 귀부 비신(碑身) 터
 +
File:OGPC_Heonjong_Taeshil_pano05.JPG|예산 옥계리 헌종 개첨석(蓋簷石) 및 중동석(中童石) 일습 ①
 +
File:OGPC_Heonjong_Taeshil_pano06.JPG|예산 옥계리 헌종 개첨석 및 중동석 일습 ②
 +
File:OGPC_Heonjong_Taeshil_pano07.JPG|예산 옥계리 헌종 개첨석 및 중동석 일습 ③
 +
File:OGPC_Heonjong_Taeshil_pano08.JPG|예산 옥계리 헌종 개첨석 및 중동석 일습 ④
 +
File:OGPC_Heonjong_Taeshil_pano09.JPG|예산 옥계리 헌종 개첨석 및 중동석 일습 ⑤
 +
File:OGPC_Heonjong_Sabangseok01.JPG|예산군청 소재 헌종 태실 사방석(四方石) ①
 +
File:OGPC_Heonjong_Sabangseok02.JPG|예산군청 소재 헌종 태실 사방석
 +
File:OGPC_Heonjong_biseok.jpg|예산군청 소재 파손된 헌종 태실 가봉비(加封碑) 「...下胎室」
 
</gallery>
 
</gallery>
 +
<!--
 +
===가상현실===
 +
====현재의 묘역====
 +
*가상현실 예시 : 충주 억정사지
 +
<html>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dh.aks.ac.kr/Encyves/Pavilions/D037/Eokjeongsaji.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gallery mode="slideshow">
+
====초장 추정지====
File:SSNPC_Heonjong01.JPG|서삼릉 태실 집안지 헌종 태실 전면
+
*가상현실 예시 : 용인 서봉사지
File:SSNPC_Heonjong02.JPG|서삼릉 태실 집안지 헌종 태실 후면
+
<html>
File:OGPC_Heonjong_entry_board.JPG|예산 옥계리 헌종 태실 초안지 입구 안내판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dh.aks.ac.kr/Encyves/Pavilions/D016/Sebongsaji.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File:OGPC_Heonjong_board.JPG|예산 옥계리 헌종 태실 초안지 안내판
+
</html>
File:OGPC_Heonjong_Taeshil_pano01.JPG|예산 옥계리 헌종 태실 초안지 전경
+
-->
File:OGPC_Heonjong_Gabongbi_turtle_base_Front.JPG|예산 옥계리 헌종 가봉태실 귀부 전면
 
File:OGPC_Heonjong_Gabongbi_turtle_base_back.JPG|예산 옥계리 헌종 가봉태실 귀부 후면
 
File:OGPC_Heonjong_Gabongbi_turtle_base_bisin.JPG|예산 옥계리 헌종 가봉태실 비신
 
File:OGPC_Heonjong_Taeshil_pano05.JPG|예산 옥계리 헌종 가봉태실 중앙태석
 
File:OGPC_Heonjong_Sabangseok01.JPG|예산군청 헌종 가봉태실 사방석-1
 
File:OGPC_Heonjong_Sabangseok02.JPG|예산군청 헌종 가봉태실 사방석-2
 
File:OGPC_Heonjong_biseok.jpg|예산군청 헌종 가봉태실 비신 전면
 
</gallery>
 
  
 
=='''전자지도'''==
 
=='''전자지도'''==
310번째 줄: 307번째 줄:
 
     mapOption = {  
 
     mapOption = {  
 
         center: new daum.maps.LatLng(36.706620, 126.653872), // 지도의 중심좌표
 
         center: new daum.maps.LatLng(36.706620, 126.653872), // 지도의 중심좌표
         level: 4// 지도의 확대 레벨
+
         level: 12// 지도의 확대 레벨
 
     };
 
     };
  
357번째 줄: 354번째 줄:
 
// 커스텀 오버레이에 표출될 내용으로 HTML 문자열이나 document element가 가능합니다
 
// 커스텀 오버레이에 표출될 내용으로 HTML 문자열이나 document element가 가능합니다
 
var content = '<div class="customoverlay">' +
 
var content = '<div class="customoverlay">' +
     '  <a href="http://dh.aks.ac.kr/~ssn/pavilion/Field_PC/PC019/PC019.htm" target="_blank">' +
+
     '  <a href="http://dh.aks.ac.kr/Encyves/Pavilions/D016/Sebongsaji.htm" target="_blank">' +
     '    <span class="title">헌종 태실 초안지</span>' +
+
     '    <span class="title">헌종태실 안태지</span>' +
 
     '  </a>' +
 
     '  </a>' +
 
     '</div>';
 
     '</div>';
391번째 줄: 388번째 줄:
 
*윤진영, 김호, 이귀영, 홍대한, 김문식 공저, 『조선왕실의 태실 의궤와 장태 문화』, 한국학중앙연구원, 2018.
 
*윤진영, 김호, 이귀영, 홍대한, 김문식 공저, 『조선왕실의 태실 의궤와 장태 문화』, 한국학중앙연구원, 2018.
 
*전주이씨대동종약원, 『조선의 태실』, 전주이씨대동종약원, 1999.
 
*전주이씨대동종약원, 『조선의 태실』, 전주이씨대동종약원, 1999.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예산군 태실조사 용역』, 예산군, 2016.
 
  
 
3.논문
 
3.논문

SeosamneungWiki.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프로젝트: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