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성

DH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 유형: 기관
▶ 정의: 메이지시대에 창립된 정부관청의 하나.
▶ 내용: 1870년 민부성(民部省)의 일부가 독립하는 형태로 창립되었다. 일본의 식산흥업(殖産興業)을 추진하였고, 철도, 조선(造船), 광산(鑛山), 제철(製鐵), 전신(電信) 등을 정비하였다. 1873년에 설치된 초대 공부경(工部卿)은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이다. 1877년 공부성의 산하기관으로 철도, 광산, 등대, 전신, 공작(工作), 영선(營繕), 서기(書記), 회계(會計), 검사, 금고(金庫)를 담당하는 10국(局)이 설치되었다. 1876년 제1차 수신사가 이곳을 견학하였는데, 이때 김기수(金綺秀)는 “공부성에서는 병기ㆍ농기와 각종 기계를 만드는데 잠시 동안 보아 넘겨서 이루 다 기억할 수가 없다. 이른바 전선(電線)이란 것은 자세히 살펴보아도 형용할 수가 없다”라고 하였다. 1881년 5월 13일 일본을 방문한 조사시찰단(朝士視察團)의 일원이 이곳을 방문하였을 때 공부경 야마오 요조(山尾庸三), 대보(大輔) 요시나미 토모사네(吉竝友實), 대서기관(大書記官) 오토리 게이스케(大鳥圭介), 후쿠다 시게다카(福田重固) 등과 만나 대화를 나누었다. 이때 수행원은 시나가와초자제조소(品川硝子製造所), 미이케탄광(三池炭鑛), 후카가와(深川) 시멘트 공장, 요코스카조선소(橫須賀造船所), 공부대학교(工部大學校) 등을 시찰하였는데, 모두 공부성에서 관할하였다. 1885년 12월 내각제도의 창립에 따라 폐지되어 체신성(遞信省)과 농상무성(農商務省)에 분할 · 통합되었다.
▶ 용례:
▶ 참고 자료: 金綺秀,『日東記游』; 李憲永,『日槎集略』; 허동현,『近代韓日關係史硏究: 朝士視察團의 日本觀과 國家構想』, 국학자료원, 2000.
▶ 참고 사이트: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DB (http://db.itkc.or.kr/itkcdb/mainIndexIframe.jsp)
▶ 관련 키워드: 야마오 요조(山尾庸三), 요시나미 토모사네(吉竝友實), 오토리 게이스케(大鳥圭介), 후쿠다 시게다카(福田重固),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 시나가와초자제조소(品川硝子製造所), 미에케탄광(三池炭鑛), 후카가와 시멘트 공장, 요코스카조선소(橫須賀造船所), 고부대학교(工部大學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