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inition
조선의 왕이 군사(軍事)가 있을 때나 능(陵)에 행차하는 등 궁궐 밖으로 나갈 때 입던 복식 일습이다.[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
value
|
id |
왕의_군복
|
대표명칭 |
왕의 군복
|
한자표기 |
王의 軍服
|
이칭/별칭 |
|
분류 |
군복
|
착용신분 |
왕
|
착용성별 |
남성
|
Contextual Relations
Online Reference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
『대전회통(大典會通)』 |
|
|
『만기요람(萬機要覽)』 |
|
|
『순조기축진찬의궤(純祖己丑進饌儀軌)』 |
|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
|
|
『어영청등록(御營廳謄錄)』 |
|
|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 |
|
|
『연행일기(燕行記事)』 |
|
|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
|
|
『훈국등록(訓局謄錄)』 |
|
|
『훈국총요(訓局捴要)』 |
|
강순제 외, |
『한국복식사전』, |
민속원, 2015. |
국립고궁박물관, |
『왕실문화도감』, |
국립고궁박물관, 2013. |
권오선, |
「조선후기 동다리에 관한 연구」, |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
김동욱, |
『한국복식사 연구』, |
아세아문화사, 1973. |
김정자, |
『한국군복의 변천사 연구』, |
민속원, 1998. |
金正子, |
「韓國軍服의 變遷硏究」, 『대한가정학회지』 제24권 4호, |
대한가정학회, 1986. |
金賢舜, |
「軍服에 對한 硏究 -具軍服을 中心으로-」, |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0. |
난사 전통복식문화재 연구소, |
『어진에 옷을 입히다』, |
민속원, 2016.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편, |
『名選(중): 민속·복식』,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04. |
문광희, |
「조선 후기 甲胄 및 具軍服에 관한 연구-부산 忠烈祠 소장 유물을 중심으로-」, 『한복문화』 제7권 1호, |
한복문화학회, 2004. |
문화재청 편, |
『한국의 초상화』, |
눌와, 2007. |
박가영, |
「조선시대의 갑주」, |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
박가영·이은주, |
「정조시대의 군사복식과 제도 개선에 대한 논의」, 『한복문화』 제7권 3호, |
한복문화학회, 2004. |
박성실·김향미, |
「조선시대 기능적 馬上衣類의 실증적 고찰」, 『韓國服飾』 20호,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02. |
염정하, |
「조선 후기 오군영의 군사복식에 관한 연구」, |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
유희경, |
『한국복식사연구』, |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75. |
이민주, |
『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4. |
李成熙, |
「軍服飾의 記號學的 分析-舊韓末 期陸軍服을 中心으로-」, |
상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 |
이훈종, |
『국학도감』, |
일조각, 1968. |
조선미, |
『한국의 초상화-형과 영의 예술』, |
돌베개, 2009. |
Terry Bennett, |
『KOREA』, |
Garnet, 1977. |
}
Notes
-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80쪽.
Semantic Network Graph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