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피화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대한제국 황제와 황태자, 조선시대 왕과 왕세자, 왕세손, 백관 등이 평상시 집무를 보거나 군대에 관한 일이 있을 때 단령이나 동다리에 갖추어 신는 목이 긴 신이다.[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흑피화 Clothing 복식 흑피화(黑皮靴) 흑피화 黑皮靴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흑피화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value
id 흑피화
대표명칭 흑피화
한자표기 黑皮靴
이칭별칭 목화(木靴), 흑피화(黑皮靴), 수화자(水靴子)
구분 신발
착용신분 황제, 황태자, 왕, 왕세자, 왕세손, 백관
착용성별 남성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재현물 제작 정보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image

Online Reference

type resource title desctription/caption URL
해설 AKS Encyves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화
해설 위키 실록사전 흑화(黑靴)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흑화(黑靴)
해설 한국민속대백과사전 흑피화(黑皮靴)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7279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화(靴)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64532
해설 한국 복식사전 피화(皮靴) http://www.dic-costumekorea.org/meta/?act=detail&meta_uid=1168
해설 한국 복식사전 흑녹자피화(黑鹿紫皮靴) http://www.dic-costumekorea.org/meta/?act=detail&meta_uid=1178
해설 한국 복식사전 흑사피화(黑斜皮靴) http://www.dic-costumekorea.org/meta/?act=detail&meta_uid=1180
해설 한국 복식사전 흑피화(黑皮靴) http://www.dic-costumekorea.org/meta/?act=detail&meta_uid=1182
해설 조선왕조실록사전 흑화(黑靴)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08033
도해 AKS Encyves 영친왕 목화 http://dh.aks.ac.kr/Encyves/wiki/images/1/16/궁중기록화_복식_화01_영친왕_고궁박물관.jpg
도해 AKS Encyves 조선시대 목화 http://dh.aks.ac.kr/Encyves/wiki/images/9/9b/궁중기록화_복식_화02_민속박물관.jpg
도해 AKS Encyves 조선시대 목화 http://dh.aks.ac.kr/Encyves/wiki/images/e/e1/궁중기록화_복식_화03_민속박물관.jpg
도해 한국민속대백과사전 흑피화(黑皮靴) https://folkency.nfm.go.kr/upload/img/20180823/20180823163042_w_.jpg
도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화(靴) 1800년대 목화 http://encykorea.aks.ac.kr/Contents/GetImage?t=origin&id=53461fe5-de35-4577-a762-ea915b24c5b0&w=878&h=582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title publication edition URL
『經國大典』
『高麗史絶要』
『國朝五禮儀補序例』
『國婚定例』
『樂學軌範』
『寒洲全書』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곽경희·홍나영, 「조선시대 남자용 靴에 관한 연구」, 『服飾』 56권 1호, 한국복식학회, 2006.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김문자·유희경, 『한국복식문화사』, 교문사, 1981.
김영숙, 『한국복식문화사전』, 미술문화, 1998.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名選 中』, 단국대학교 출판부, 2005.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靴·鞋·履』,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04.
유희경, 『한국복식문화사』, 교문사, 2001.
이경자·장숙환·홍나영, 『우리 옷과 장신구』, 열화당, 2003.
이민주, 『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3.
이훈종, 『국학도감』, 일조각, 1968.
조선희, 「東北아시아 신 文化에 關한 硏究 -靴ㆍ鞋ㆍ履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7.
조선희, 「한·몽 신문화에 관한 연구」, 『한복문화』 9권 2호, 한복문화학회, 2006.
조선희, 『화혜장』, 민속원, 2007.
조효순, 「화제(靴制)」, 『한국의 복식』, 한국문화재보호협회, 1982.
최공호·박계리·고우리·진유리·김소정, 『한국인의 신발, 화혜』, 미진사, 2015.
홍나영·신혜성·이은진, 『동아시아 복식의 역사』,

Notes

  1.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235쪽.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