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기복완요여明器服玩腰輿는 국장의 발인發靷 때 능에 부장하는 명기明器와 복완服玩을 싣고 가는 가마이다. 책보요여의 그림은 1744년에 편찬된 『국조오례서례』의 「흉례凶禮·거여도설車轝圖說」에 수록되어 있다. 「(세종실록)오례의」에도 설명과 함께 나온다. 명기와 복완은 모두 망자를 위해 무덤에 넣는 부장품副葬品이다. 요여는 지붕의 상단, 지붕을 받치고 안쪽을 가리는 중단, 가마를 들고 이동하는 하단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단의 지붕은 거북이의 등 모양으로 가운데가 볼록하게 만들고 외부를 아청색鴉靑色의 면포綿布를 덮어 씌웠다. 몸체는 먼저 사방에 기둥을 세운 다음 기둥 아래쪽에 정판精版을 설치하고, 겉에 수파련水波蓮을 그렸다. 그리고 사방으로 장자障子를 설치하여 가는데 전면은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장자의 겉에는 목단牧丹을 그렸다. 하단에는 가마를 들고 지탱하는 강목杠木이 있다. 그림의 요여는 가마의 앞쪽과 뒤쪽에서 하단의 강목을 손으로 잡고 이동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조선 후기 발인반차도에 나오는 요여는 모두 긴 강목 사이에 가로의 짧은 강목이 있고, 강목과 강목 사이에 끈을 연결하여 어깨에 메고 이동하는 모습이다. 그리고 『국조상례보편』에 나오는 요여는 사방에 장자障子를 설치하지 않고 주유紬帷를 내려 가렸다. 반면 장자에 목단의 무늬를 그린 가마를 채여彩轝라고 불렀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