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사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Web Resource)
(Node Description)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Definition==  
 
==Definition==  
가뭄이 계속될 때 하늘에 비를 빌어 풍년이 들도록 기원하던 제단으로 서울특별시 흥인문 밖 동교(東郊)에 있었다고 하나 지금 그 장소는 분명하지 않다.  
+
가뭄이 계속될 때 하늘에 비를 빌어 풍년이 들도록 기원하던 제단이다. 『세종실록』「지리지」 경도한성부(京都漢城府) 조에 의하면, 우사단은 흥인문(興仁門) 평촌(坪村)에 있었다고 하나 지금의 그 장소는 분명하지 않으나, 오늘날의 행정구역으로 따지면 서울시 강동구 강일동에 해당한다. 『국조오례의』 서례에 수록된 단의 형태는 풍운뇌우단(風雲雷雨壇)과 동일한 네모진 형태로, 사방에 섬돌[陛]이 있고, 단의 주위에는 담장인 유(壝)가 이중으로 쌓여져 있으며, 사방에 문이 있다. 단의 규모는 사방이 4장이고, 높이는 2자 7치이며, 구망(句芒), 욕수(蓐收), 현명(玄冥), 축융(祝融), 후토(后土), 후직(后稷) 등의 여섯 개의 신위를 설치하였다. 가뭄이 심할 경우에는 종묘, 사직, 북교(北郊: 현 창의문 밖 근교), 풍운뇌우단, 산천단, 성황단 등의 여러 제단에서 기우제를 설행하였다.
 
 
  
 
==Semantic Data==  
 
==Semantic Data==  
10번째 줄: 9번째 줄: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 [[우사단]] || Place || 제단 || 제사유적 || 우사단 || 우사단 || 雩祀壇 ||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우사단 ||  <html><img src="http://dh.aks.ac.kr/hanyang2/icon/place3.png"/></html>  
+
| [[우사단]] || Place || 제단 || 제사유적 || 우사단(雩祀壇) || 우사단 || 雩祀壇 ||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우사단 ||  <html><img src="http://dh.aks.ac.kr/hanyang2/icon/place3.png"/></html>  
 
|-
 
|-
 
|}
 
|}
23번째 줄: 22번째 줄:
 
| [[우사단]] || [[ 제단 ]] ||  [[ type ]]  ||    ||
 
| [[우사단]] || [[ 제단 ]] ||  [[ type ]]  ||    ||
 
|-
 
|-
| [[우사단]] || [[ ]] || [[ ]]  ||    ||
+
| [[기우제]] || [[우사단]] || [[ isPerformedAt ]]  ||    ||
 
|-
 
|-
| [[우사단]] || [[ ]] ||  [[  ]]  ||    ||
+
| [[우사단]] || [[ 흥인문 ]] ||  [[ isNear ]] ||    ||
 +
|-
 +
| [[국조오례의]] || [[우사단]] || [[ mentions ]]  ||    ||
 
|-
 
|-
 
|}
 
|}
39번째 줄: 40번째 줄:
 
|-
 
|-
 
| 해설 || 위키실록사전 || 우사단(雩祀壇) ||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우사단(雩祀壇)
 
| 해설 || 위키실록사전 || 우사단(雩祀壇) ||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우사단(雩祀壇)
|-
 
| 해설 || 위키백과 ||  ||  ||
 
|-
 
| 해설 || 두산백과 ||  ||  ||
 
|-
 
| 참고 ||  ||  ||  ||
 
|-
 
| 동영상 ||  ||  ||  ||
 
 
|-
 
|-
 
|}
 
|}
57번째 줄: 50번째 줄:
 
| 논문 || 김태우, 「조선시대 한강 유역 국행 의례 제장(祭場)에 대한 연구- 문헌과 현장 조사를 통한 지리적 위치 고증에 대한 시도 -」, 서울학연구소, 『서울학연구』(73), 2018.11, pp.37~79.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404963
 
| 논문 || 김태우, 「조선시대 한강 유역 국행 의례 제장(祭場)에 대한 연구- 문헌과 현장 조사를 통한 지리적 위치 고증에 대한 시도 -」, 서울학연구소, 『서울학연구』(73), 2018.11, pp.37~79.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404963
 
|-
 
|-
| 단행본 ||  || ||  
+
| 논문 || 이진교, 「1899년, 가뭄과 기우제 그리고 전차 폭동」, 실천민속학회, 『실천민속학연구』 제26호, 2015.08.31, pp.223-249. || 국회전자도서관 || https://dl.nanet.go.kr/search/searchInnerDetail.do?searchType=INNER_SEARCH&resultType=INNER_SEARCH_DETAIL&searchMehtod=L&searchClass=S&controlNo=KINX2015215898
 
|-
 
|-
 
|}
 
|}

2021년 12월 4일 (토) 11:46 기준 최신판

Definition

가뭄이 계속될 때 하늘에 비를 빌어 풍년이 들도록 기원하던 제단이다. 『세종실록』「지리지」 경도한성부(京都漢城府) 조에 의하면, 우사단은 흥인문(興仁門) 밖 평촌(坪村)에 있었다고 하나 지금의 그 장소는 분명하지 않으나, 오늘날의 행정구역으로 따지면 서울시 강동구 강일동에 해당한다. 『국조오례의』 서례에 수록된 단의 형태는 풍운뇌우단(風雲雷雨壇)과 동일한 네모진 형태로, 사방에 섬돌[陛]이 있고, 단의 주위에는 담장인 유(壝)가 이중으로 쌓여져 있으며, 사방에 문이 있다. 단의 규모는 사방이 4장이고, 높이는 2자 7치이며, 구망(句芒), 욕수(蓐收), 현명(玄冥), 축융(祝融), 후토(后土), 후직(后稷) 등의 여섯 개의 신위를 설치하였다. 가뭄이 심할 경우에는 종묘, 사직, 북교(北郊: 현 창의문 밖 근교), 풍운뇌우단, 산천단, 성황단 등의 여러 제단에서 기우제를 설행하였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우사단 Place 제단 제사유적 우사단(雩祀壇) 우사단 雩祀壇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우사단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우사단 제단 type
기우제 우사단 isPerformedAt
우사단 흥인문 isNear
국조오례의 우사단 mentions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우사단(雩祀壇)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9934
해설 위키실록사전 우사단(雩祀壇)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우사단(雩祀壇)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논문 김태우, 「조선시대 한강 유역 국행 의례 제장(祭場)에 대한 연구- 문헌과 현장 조사를 통한 지리적 위치 고증에 대한 시도 -」, 서울학연구소, 『서울학연구』(73), 2018.11, pp.37~79.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404963
논문 이진교, 「1899년, 가뭄과 기우제 그리고 전차 폭동」, 실천민속학회, 『실천민속학연구』 제26호, 2015.08.31, pp.223-249. 국회전자도서관 https://dl.nanet.go.kr/search/searchInnerDetail.do?searchType=INNER_SEARCH&resultType=INNER_SEARCH_DETAIL&searchMehtod=L&searchClass=S&controlNo=KINX2015215898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