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재궁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Definition== 조선시대 국장의 발인 행렬에 사용되는 말 모양의 흉의장(凶儀仗)이다. 싸리나무와 마른풀, 가마니 등을 엮어서 만든 의장용...)
 
(Definition)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Definition==  
 
==Definition==  
  
조선시대 국장의 발인 행렬에 사용되는 말 모양의 흉의장(凶儀仗)이다. 싸리나무와 마른풀, 가마니 등을 엮어서 만든 의장용 말로, 등에 안장이 없는 죽산마(竹散馬)와 안장이 있는 죽안마(竹鞍馬)가 짝이 되어 사용되었다.
+
외재궁여外梓宮轝는 국장國葬에 사용하는 외재궁外梓宮을 능으로 옮길 때 사용하는 가마이다. 1758년(영조 34)에 편찬된 『국조상례보편國朝喪禮補編』의 ‘도설圖說’조에 외재궁여의 그림이 수록되어 있다. 『국조상례보편』은 1752년(영조 28)본과 1758년 본 두 종류가 있다. 1752년 본 『국조상례보편』는 기존의 전례서에서 변화되거나 추가된 것을 중심으로 기록한 반면 1758년 본은 변하지 않은 내용도 포함시킨 국장에 관한 종합적인 전례서이다. 그리고 1752년의 것과 달리 도설만을 별도의 책으로 묶어 이용하는 데에 편리하도록 하였다. 순의 그림은 『국조오례서례』 등 이전 전례서에는 실려 있지 않으며 1758년 본 『국조상례보편』에 처음으로 나온다. 
죽산마는 검은색으로 칠을 하고, 죽안마는 다양한 색으로 칠해졌다.
+
1758년(영조 34) 『국조상례보편國朝喪禮補編』의 ‘도설圖說’조에 있는 외재궁여의 그림은 외재궁여의 내부의 모습을 보여주기 위해 가마 4면의 장막을 생략하였다. 외재궁여는 재궁을 들어 올리는 지지대 부분의 하단부와 재궁을 가리는 몸체, 그리고 덮개의 지붕으로 나눌 수 있다. 하단부는 긴 강목杠木 2개와 가로 강목 17개로 이루어져 있다. 긴 강목은 길이가 42척 9촌인데 가운데의 두께가 5촌 6푼이고 끝으로 갈수록 줄어드는 모양이다. 긴 강목 아래 등철鐙鐵을 대어 길이 10척짜리 강목 17개를 설치한다. 다시 강목 사이에 횡목 4개를 설치하고 좌판座板을 얹으면 가마의 바닥이 된다. 그리고 좌판 주변의 강목 위에 지대방목地臺防木을 설치하고 좌우의 방목 가운데에 척주隻柱를 세운다. 또한 지대방목의 모퉁이에 기둥을 설치하고 차목叉木으로 고정시킨다. 그림에서 X자형으로 가로지른 나무가 차목이다. 기둥 위에는 전후와 좌우에 배방목排方木을 설치하고 지붕을 얹는다. 지붕은 가운데가 활처럼 솟아난 궁륭穹窿의 형태를 취하였다. 지붕의 겉은 죽망竹網을 깔고 아청색鴉靑色의 면포를 씌웠다. 그리고 지붕 전후의 가운데에 독룡禿龍의 머리를, 네 모서리에는 봉두鳳頭를 설치하였다. 봉두의 입에는 석환을 물로 홍사紅絲를 늘어뜨렸다. 그림에서 생략된 가마 4면의 장막은 청면포靑綿布를 사용하여 만들었고, 위쪽에 홍면포紅綿布로 만든 대를 달았다. 외재궁여는 다른 가마와 달리 가마 집 앞 뒤로 촉롱기燭籠機를 설치하였는데 여기에 홍저紅苧로 된 촉롱을 각각 1쌍씩 달았다.
발인 행렬에서 작은 가마인 채여(彩輿)의 좌우에 위치하였으며 수레에 실려 운반되었다.
+
외재궁은 장생전에서 만들어 발인發靷 전에 능소에 옮겨 재궁梓宮이 도착하기를 기다렸다가 현궁에 내린다. 조선 전기에는 외재궁을 옮길 때 바퀴가 있는 수레를 이용하였다. 그런데 조선 후기 인조의 국장 때 오랜 비로 인하여 도로가 험하여지자 수레 대신에 가마를 사용하였다.<ref>[http://e-kyujanggak.snu.ac.kr/dohae/sub/schDetail.jsp?no=D0900&category=A&sWord=외재궁여 외재궁여外梓宮轝, 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ref>
왕은 죽산마 2필, 죽안마 10필이 사용되었고, 왕비는 죽산마 2필, 죽안마 4필이 사용되었다. 즉위 전에 훙서한 왕세자·왕세자빈·왕세손 등도 죽산마 2필, 죽안마 4필이 사용되었다.
 
발인 의식이 끝나면 죽산마와 죽안마, 청수안마, 자수안마 등은 정결한 장소에서 불태웠다.<ref>[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죽산마 죽산마, 한국 기록유산 Encyves]</ref>
 
  
 
==Semantic Data==  
 
==Semantic Data==  
25번째 줄: 23번째 줄: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 [[덕수궁국장화첩]] || [[고종_국장_죽산마_사진]] || [[hasPart]] || ||  
+
| [[외재궁여]] || [[가마]] || [[Type]] || ||  
 
|-
 
|-
| [[고종_국장_행렬_사진]] || [[앨버트_테일러]] || [[creator]] || ||  
+
| [[외재궁여]] || [[외재궁]] || [[goesWith]] || ||  
 
|-
 
|-
| [[고종_국장_행렬_사진]] || [[고종_국장_죽산마_사진]] || [[hasPart]] || ||
+
| [[외재궁여]] || [[국장]] || [[isRelatedTo]] || ||  
|-
 
| [[고종_국장_행렬_사진]] || [[인산행렬의_죽산마_사진]] || [[hasPart]] || ||
 
|-
 
| [[인산행렬의_죽산마_사진]] || [[죽산마]] || [[depicts]] || ||
 
|-
 
| [[고종_국장_죽산마_사진]] || [[죽산마]] || [[depicts]] || ||
 
|-
 
| [[죽산마]] || [[죽안마]] || [[isRelatedTo]] || ||
 
|-
 
| [[죽산마]] || [[고종황제의_마지막_길]] || [[isRelatedTo]] || ||  
 
 
|-
 
|-
 
|}
 
|}
50번째 줄: 38번째 줄: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 해설 || 한국 기록유산 Encyves || 죽산마 ||  ||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죽산마
+
| 해설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 || 외재궁여外梓宮轝 ||  || http://e-kyujanggak.snu.ac.kr/dohae/sub/schDetail.jsp?no=D0900&category=A&sWord=외재궁여
|-
 
| 해설 || 국립중앙박물관 > 외규장각 의궤 || 죽산마(竹散馬) ||  || https://www.museum.go.kr/uigwe/dosul/dosulView?imginfo=uig_di_284_0153_1.jpg&id=uig_di_284_0153_1.jpg&hl=content@%E7%AB%B9%E6%95%A3%E9%A6%AC%5E%EC%A3%BD%EC%82%B0%EB%A7%88$title@%EC%A3%BD%EC%82%B0%EB%A7%88$ktitle@%E7%AB%B9%E6%95%A3%E9%A6%AC%5E%E7%AB%B9%E7%B9%96%E9%A6%AC$tablename@_BANCHA%5E_CONTENT%5E_DOSUL%5E_HAEJE%5Ebanchaxy%5Euig%5Euig_bancha%5Euig_banchaxy%5Euig_content%5Euig_dosul%5Euig_haeje$level2_content@%E7%AB%B9%E6%95%A3%E9%A6%AC$dosulname@%E7%AB%B9%E6%95%A3%E9%A6%AC%5E%EC%A3%BD%EC%82%B0%EB%A7%88
 
|-
 
| 해설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 || 죽산마(竹散馬) ||  || http://kyujanggak.snu.ac.kr/dohae/sub/schDetail.jsp?no=D1278&category=A&sWord=죽산마
 
|-
 
| 참고 || 문화체육관광부 해외문화홍보원 > 알림 뉴스 > 코리아넷뉴스 (2019-03-20) || 독립선언을 세계에 알린 앨버트 W. 테일러 || 앨버트 테일러가 촬영한 고종의 국장 모습 사진 수록 || https://www.kocis.go.kr/koreanet/view.do?seq=1012341
 
|-
 
| 참고 || 서울역사박물관 > 서울역사아카이브 > 근현대서울사진 || 죽산마 || 죽산마 검색 결과 20건 || https://museum.seoul.go.kr/www/search/NR_search.do?q_collection=&query=%EC%A3%BD%EC%82%B0%EB%A7%88&org_query=%EC%A3%BD%EC%82%B0%EB%A7%88&sort=&sfield=&museum=&dateterm=&sdate=&edate=&exc_query=
 
|-
 
| 참고 || 서울역사박물관 > 서울역사아카이브 > 근현대서울사진 > 수록도서 > 1910년대 > 德壽宮國葬畵帖 덕수궁국장화첩 || 인산행렬의 방상씨와 죽산마 || 명칭 인산행렬의 방상씨와 죽산마 / 아카이브번호 <81802> 유물번호 <서16123> 시기1919 / 자료출처『德壽宮國葬畵帖』(京城日報社, 1919) / 내용 고종황제(高宗皇帝) 인산행렬에 참가한 방상씨(方相氏)와 죽산마(竹散馬)의 모습을 포착한 사진자료이다. 오른쪽 위가 방상씨 사진이고, 왼쪽 아래가 죽산마 사진이다. || https://museum.seoul.go.kr/archive/archiveView.do?type=D&arcvGroupNo=2899&arcvMetaSeq=30671&arcvNo=81802
 
 
|-
 
|-
| 참고 || 서울역사박물관 > 서울역사아카이브 > 근현대서울사진 > 수록도서 > 1910년대 > 德壽宮國葬畵帖 덕수궁국장화첩 || 인산행렬에 참석한 죽산마 || 명칭 인산행렬에 참석한 죽산마 / 아카이브번호 <75780> 유물번호 <서16123> 시기1919 / 자료출처『德壽宮國葬畵帖』(京城日報社, 1919) / 내용 인산행렬에 참석한 죽산마(竹散馬)의 모습이다. || https://museum.seoul.go.kr/archive/archiveView.do?type=D&arcvGroupNo=2899&arcvMetaSeq=26165&arcvNo=75780
+
| 참고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위키 || 외재궁(外梓宮) ||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외재궁(外梓宮)
|-
 
| 참고 || 서울역사박물관 > 서울역사아카이브 > 근현대서울사진 > 컬렉션 > 정치외교 > 황실 || 이태왕(고종) 장의 광경 12 || 명칭 이태왕(고종) 장의 광경 12 / 아카이브번호 <103507> / 자료출처 고종장례 / 내용 1919년 3월 3일에 거행된 고종 국장 당시 장의 행렬의 광경을 담은 시리즈엽서(16매)의 하나이다. 사진은 장제장(葬祭場, 영결식장)인 훈련원(訓鍊院, 황금정 6정목 18번지 일대)에서 출발하여 장지인 금곡 홍릉(金谷 洪陵) 이동하는 행로 중 죽산마(竹散馬, 안장이 없는 것)와 죽안마(竹鞍馬, 안장이 있는 것)가 지나고 있는 장면이다. 앞쪽에는 수레에 얹은 방상씨(方相氏)가 보이고, 채여(彩轝)가 뒤를 따르고 있다. 조선식 인산행렬은 덕수궁 영성문(永成門)에서 따로 출발하여 종로(鐘路)를 경유하여 동대문에 대기하였다가 훈련원 쪽에서 나오는 대여행렬과 합류하였다. || https://museum.seoul.go.kr/archive/archiveView.do?type=D&arcvGroupNo=4334&arcvMetaSeq=39356&arcvNo=103507
 
|-
 
| 참고 || 국립중앙박물관 내 한국박물관협회 > MUSEUMNEWS || 서울역사박물관, 3월 3일 고종 인산일 맞아 <고종황제의 마지막 길>展 개최 (2017-03-13) ||  || https://museumnews.kr/17533seoulgj/
 
|-
 
| 참고 || 중앙선데이 || 고종황제 마지막 가는 날 종로거리는 … (2009-10-08, 김경진 기자) || UPA 한국 특파원이던 앨버트 테일러가 1919년 3월 3일 촬영한 고종 황제의 국장 장례 행렬. 대나무를 엮어 종이를 붙여 만든 죽안마(竹鞍馬)는 장례행렬을 이끄는 의장품으로 왕과 왕비의 국장 행렬에만 사용된다. [서울역사박물관 제공] || https://www.joongang.co.kr/article/3812300
 
|-
 
| 참고 || 해찬솔의 역사와 문화유산 || 고종황제 마지막 길 (2017-02-23, 다음 블로그) ||  || https://blog.daum.net/chally624/12884879
 
|-
 
| 사진 || Doopedia || 덕수궁 국장화첩 || 사진 설명 2015년 5월 22일 서울역사박물관을 다녀왔다. 집에서 이렇게 가까운 박물관을 이제야 찾다니 만시지탄을 금할 수 없었다.이날은 '가리봉 오거리' 특별전시가 열리고 있었고 로비에 전시되어 있는 역대 서울특별시장 선물전도 흥미로웠다. 18세기 수도방위 체계지도 등 다양한 서울관련 사료들이 전시되 있다. / 키워드 서울역사박물관,덕수궁 국장화첩 || https://www.doopedia.co.kr/photobox/comm/community.do?_method=view&GAL_IDX=150614000939897#hedaer
 
 
|-
 
|-
 
|}
 
|}
83번째 줄: 51번째 줄: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 논문 || 이현진, 「정조 초 영조의 국장 절차와 의미」, 『태동고전연구』제27호,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1. || KISS || https://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189350
+
| 논문 || 안희재, 「조선후기 발인반차(發靷班次)의 변화와 의미」, 『한국학논총』 34,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0.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477548
|-
 
| 논문 || 자오성웨이·리샤오위(엮은이), 이성현(옮긴이), 「주르날 제국주의 : 프랑스 화보가 본 중국 그리고 아시아」, 『현실문화』, 현실문화연구, 2019. || RISS || http://www.riss.kr/link?id=M15094903
 
|-
 
| 논문 || 나애리, 「1907년 프랑스 신문에 나타난 한국과 한국인들의 이미지」, 『프랑스문화연구』 11,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05. || KISS / 네이버 학술정보 > 학술논문 || https://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378058 / https://academic.naver.com/article.naver?doc_id=442305152
 
|-
 
| 단행본 || 이현진, 『조선왕실의 상장례』, 신구문화사, 2017. || KISS || https://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189350
 
 
|-
 
|-
| 단행본 || 이현진, 『왕의 죽음, 정조의 국장』, 글항아리, 2015. || KISS || https://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189350
+
| 논문 || 이현진, 「정조 초 영조의 국장 절차와 의미」, 『태동고전연구』 27,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1.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625835
 
|-
 
|-
| 단행본 || 고연희·김동준·정민 외, 『한국학, 그림을 그리다 : 우리 시대 인문학자 32인의 그림 읽기, 문화 그리기』, 태학사, 2013. || RISS || http://www.riss.kr/link?id=M13326174
+
| 단행본 || 이현진, 『조선왕실의 상장례』, 신구문화사, 2017. || ||  
 
|-
 
|-
| 단행본 || 정민·김동준 외, 『한국학 그림과 만나다』, 태학사, 2016. || RISS || http://www.riss.kr/link?id=M12316603
+
| 단행본 || 이현진, 『왕의 죽음, 정조의 국장』, 글항아리, 2015. || ||  
 
|-
 
|-
| 단행본 || 국립중앙박물관, 『19세기 말~20세기 초 서양인이 본 한국』(국립중앙박물관 역사자료총서 17), 2017. || 국립중앙박물관 누리집(http://www.museum.go.kr) > 학술 > 역사학 > 연구보고서 || https://www.museum.go.kr/site/main/archive/report/article_13768
+
| 단행본 || 국립문화재연구소, 『국역 국조상례보편』, 민속원, 2008. || ||  
 
|-
 
|-
 
|}
 
|}

2021년 10월 25일 (월) 06:39 기준 최신판

Definition

외재궁여外梓宮轝는 국장國葬에 사용하는 외재궁外梓宮을 능으로 옮길 때 사용하는 가마이다. 1758년(영조 34)에 편찬된 『국조상례보편國朝喪禮補編』의 ‘도설圖說’조에 외재궁여의 그림이 수록되어 있다. 『국조상례보편』은 1752년(영조 28)본과 1758년 본 두 종류가 있다. 1752년 본 『국조상례보편』는 기존의 전례서에서 변화되거나 추가된 것을 중심으로 기록한 반면 1758년 본은 변하지 않은 내용도 포함시킨 국장에 관한 종합적인 전례서이다. 그리고 1752년의 것과 달리 도설만을 별도의 책으로 묶어 이용하는 데에 편리하도록 하였다. 순의 그림은 『국조오례서례』 등 이전 전례서에는 실려 있지 않으며 1758년 본 『국조상례보편』에 처음으로 나온다. 1758년(영조 34) 『국조상례보편國朝喪禮補編』의 ‘도설圖說’조에 있는 외재궁여의 그림은 외재궁여의 내부의 모습을 보여주기 위해 가마 4면의 장막을 생략하였다. 외재궁여는 재궁을 들어 올리는 지지대 부분의 하단부와 재궁을 가리는 몸체, 그리고 덮개의 지붕으로 나눌 수 있다. 하단부는 긴 강목杠木 2개와 가로 강목 17개로 이루어져 있다. 긴 강목은 길이가 42척 9촌인데 가운데의 두께가 5촌 6푼이고 끝으로 갈수록 줄어드는 모양이다. 긴 강목 아래 등철鐙鐵을 대어 길이 10척짜리 강목 17개를 설치한다. 다시 강목 사이에 횡목 4개를 설치하고 좌판座板을 얹으면 가마의 바닥이 된다. 그리고 좌판 주변의 강목 위에 지대방목地臺防木을 설치하고 좌우의 방목 가운데에 척주隻柱를 세운다. 또한 지대방목의 모퉁이에 기둥을 설치하고 차목叉木으로 고정시킨다. 그림에서 X자형으로 가로지른 나무가 차목이다. 기둥 위에는 전후와 좌우에 배방목排方木을 설치하고 지붕을 얹는다. 지붕은 가운데가 활처럼 솟아난 궁륭穹窿의 형태를 취하였다. 지붕의 겉은 죽망竹網을 깔고 아청색鴉靑色의 면포를 씌웠다. 그리고 지붕 전후의 가운데에 독룡禿龍의 머리를, 네 모서리에는 봉두鳳頭를 설치하였다. 봉두의 입에는 석환을 물로 홍사紅絲를 늘어뜨렸다. 그림에서 생략된 가마 4면의 장막은 청면포靑綿布를 사용하여 만들었고, 위쪽에 홍면포紅綿布로 만든 대를 달았다. 외재궁여는 다른 가마와 달리 가마 집 앞 뒤로 촉롱기燭籠機를 설치하였는데 여기에 홍저紅苧로 된 촉롱을 각각 1쌍씩 달았다. 외재궁은 장생전에서 만들어 발인發靷 전에 능소에 옮겨 재궁梓宮이 도착하기를 기다렸다가 현궁에 내린다. 조선 전기에는 외재궁을 옮길 때 바퀴가 있는 수레를 이용하였다. 그런데 조선 후기 인조의 국장 때 오랜 비로 인하여 도로가 험하여지자 수레 대신에 가마를 사용하였다.[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외재궁여 Object 물품 외재궁여(外梓宮輿) 외재궁여 外梓宮輿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외재궁여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외재궁여 가마 Type
외재궁여 외재궁 goesWith
외재궁여 국장 isRelatedTo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 외재궁여外梓宮轝 http://e-kyujanggak.snu.ac.kr/dohae/sub/schDetail.jsp?no=D0900&category=A&sWord=외재궁여
참고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위키 외재궁(外梓宮)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외재궁(外梓宮)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논문 안희재, 「조선후기 발인반차(發靷班次)의 변화와 의미」, 『한국학논총』 34,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0.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477548
논문 이현진, 「정조 초 영조의 국장 절차와 의미」, 『태동고전연구』 27,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1.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625835
단행본 이현진, 『조선왕실의 상장례』, 신구문화사, 2017.
단행본 이현진, 『왕의 죽음, 정조의 국장』, 글항아리, 2015.
단행본 국립문화재연구소, 『국역 국조상례보편』, 민속원, 2008.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