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우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Bibliography)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Definition==  
 
==Definition==  
  
조선시대 국장에서 발인 행렬에 사용되는 흉의장(凶儀仗)이다. 방상씨는 『주례(周禮)』 하관(夏官)에 나오는 관직 이름이다. 나쁜 귀신이나 역질 등을 물리치는 의식을 담당하였다.
+
반우거返虞車는 국장國葬 때 능에서 만든 우주虞主를 실고 돌아올 때 사용하는 수레이다. 『國朝五禮序例』에 수록되어 있다. 『세종실록오례의世宗實錄五禮儀』에도 반우거의 그림이 있다. 국장에서 재궁을 능에 안장하면 능 곁의 길유궁吉帷宮에서 미리 준비한 우주목에 선왕 또는 선비의 시호와 묘호를 적어 우주를 만든다. 그리고 이 우주를 반우거라는 수레에 실고 궁으로 돌아온다. 반우거는 혼백거魂帛車와 동일한 것으로 상황에 따라 달리 이름을 붙였다. 발인 때에는 빈전에 모셔두었던 혼백을 수레에 실고 능으로 가는데 이때에는 혼백거라고 하였다. 혼백거에는 혼백을 앞쪽에 두고 우주궤虞主櫃를 그 뒤에 둔다. 반면 우주를 만들어 돌아올 때에는 우주를 앞에 두고 혼백함을 뒤에 둔다. 반우거는 유거柳車와 같이 바퀴가 있어 끌고 가는 수레이다. 수레 위에 장자障子를 둘러 벽을 만들고 그 위에 지붕을 씌운 모양이다. 지붕의 처마 부분에는 운두雲頭를 내고 아청색鵝靑色의 저사紵絲로 덮었다. 그리고 홍색, 녹색. 흑색의 저사로 발과 낙영落纓을 만들어 드리웠다. 사면四面 중 앞쪽에 문을 달았으며 사방 외벽에 모란꽃이 그려진 주렴朱簾을 드리우고 난간闌干을 설치하였다. 조선 초기에는 바퀴가 달리 수레를 사용하였지만 곧바로 가마로 변경되었다. 그리하여 혼백거와 반우거는 가마꾼이 어깨에 메는 혼백연魂帛輦과 반우연返虞輦으로 바뀐다. 반우 때 반우거나 반우연은 유문帷門이나 궁궐 문 밖에서 사용하고 문 안쪽에서는 반우여返虞輿를 사용하였다.<ref>[http://e-kyujanggak.snu.ac.kr/dohae/sub/schDetail.jsp?no=D0457&category=A&sWord=반우거返虞車 반우거返虞車, 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ref>
장례에서는 사람이 분장하여 부정을 막는 방상씨 역할을 하였다. 머리에 4개의 황금색 눈을 단 붉은 가면을 쓰고, 검은색 상의와 붉은색 하의를 입고 곰가죽을 둘러썼다. 오른손에는 삼지창, 왼손에는 방패를 들었다.
 
행렬의 좌우로 2명씩 총 4명의 방상씨가 수레에 앉아 이동하며, 장지에 도착하면 현궁(玄宮)에 삼지창을 휘둘러 사특한 기운을 물리쳤다.<ref>[http://e-kyujanggak.snu.ac.kr/dohae/sub/schDetail.jsp?no=D0457&category=A&sWord=반우거返虞車 반우거返虞車, 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ref>
 
  
 
==Semantic Data==  
 
==Semantic Data==  
23번째 줄: 21번째 줄: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 [[고종_국장_행렬_사진]] || [[고종_국장_행렬_삽화]] || [[isRelatedTo]] || ||  
+
| [[반우거]] || [[거-車]] || [[Type]] || ||  
 
|-
 
|-
| [[방상씨거]] || [[방상씨]] || [[hasPart]] || ||  
+
| [[반우거]] || [[발인]] || [[isRelatedTo]] || ||  
 
|-
 
|-
| [[방상씨거]] || [[거_車]] || [[hasPart]] || ||  
+
| [[반우거]] || [[혼백거]] || [[isSameAs]] || ||  
 
|-
 
|-
| [[어장의사진첩]] || [[방상씨]] || [[isRelatedTo]] || ||  
+
| [[반우거]] || [[우주]] || [[goesWith]] || ||  
 
|-
 
|-
| [[어장의사진첩]] || [[죽안마]] || [[isRelatedTo]] || ||
+
| [[혼백거]] || [[혼백]] || [[goesWith]] || ||  
|-
 
| [[덕수궁국장화첩]] || [[고종_국장_죽안마_사진]] || [[isPostedIn]] ||  ||
 
|-
 
| [[고종_국장_행렬_삽화]] || [[죽안마]] || [[depicts]] || ||
 
|-
 
| [[고종_국장_죽안마_사진]] || [[앨버트_테일러]] || [[creator]] || ||
 
|-
 
| [[고종_국장_행렬_사진]] || [[앨버트_테일러]] || [[creator]] || ||
 
|-
 
| [[고종_국장_행렬_사진]] || [[고종_국장_죽안마_사진]] || [[hasPart]] || ||
 
|-
 
| [[고종_국장_행렬_사진]] || [[인산행렬의_방상씨_사진]] || [[hasPart]] || ||
 
|-
 
| [[고종_국장_행렬_사진]] || [[인산행렬의_죽산마_사진]] || [[hasPart]] || ||
 
|-
 
| [[고종_국장_방상씨_사진]] || [[방상씨]] || [[depicts]] || ||
 
|-
 
| [[순종_국장_방상씨_사진]] || [[방상씨]] || [[depicts]] || ||
 
|-
 
| [[방상씨]] || [[고종황제의_마지막_길]] || [[isRelatedTo]] || ||  
 
 
|-
 
|-
 
|}
 
|}
62번째 줄: 40번째 줄: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 해설 || 네이버 지식백과 > 문화원형백과 > 한국콘텐츠진흥원 || 무부교의(無趺交椅) ||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49381&docId=1751849&categoryId=49381
+
| 해설 || 네이버 지식백과 > 한국고전용어사전 || 반우거(返虞車) ||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41826&docId=91211&categoryId=41826
 
|-
 
|-
 
| 해설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 || 반우거返虞車 ||  || http://e-kyujanggak.snu.ac.kr/dohae/sub/schDetail.jsp?no=D0457&category=A&sWord=반우거返虞車
 
| 해설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 || 반우거返虞車 ||  || http://e-kyujanggak.snu.ac.kr/dohae/sub/schDetail.jsp?no=D0457&category=A&sWord=반우거返虞車
 
|-
 
|-
| 참고 || 한국 기록유산 Encyves || 염습제구 목록 || 교의 ||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염습제구_목록
+
| 참고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위키 || 반우거(返虞車) ||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반우거(返虞車)
|-
 
| 참고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위키 || 대가노부(大駕鹵簿) || 대가노부에서는 왕의 승용 기구로 대연(大輦)에 부연과 소여(小輿)를 갖추었고, 어마와 장마 16필을 동원하였다. 이외에도 의자인 교의(交椅)가 포함되었다.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대가노부(大駕鹵簿)
 
 
|-
 
|-
 
|}
 
|}
79번째 줄: 55번째 줄: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 논문 || 강춘애, 「儺禮와 方相氏의 考察 : 특히 그 職能과 造形의 遺風을 중심으로」, 『演劇學報』 26, 東國大學校演劇映畵學科, 1998. || 국회전자도서관 || https://dl.nanet.go.kr/search/searchInnerDetail.do?searchType=INNER_SEARCH&resultType=INNER_SEARCH_DETAIL&searchMehtod=L&searchClass=S&controlNo=KINX1998047954&queryText=&zone=&fieldText=&prevQueryText=%EB%B0%A9%EC%83%81%EC%94%A8%3AALL_NI_TOC%3AAND&prevPubYearFieldText=&languageCode=&synonymYn=&refineSearchYn=&pageNum=&pageSize=&orderBy=&topMainMenuCode=&topSubMenuCode=&totalSize=3&totalSizeByMenu=3&seqNo=&hanjaYn=Y&knowPub=&isdb=&isdbsvc=&tt1=&down=&checkedDbIdList=&baseDbId=&selectedDbIndexIdList=&caller=&selZone=ALL_NI_TOC&searchQuery=+%EB%B0%A9%EC%83%81%EC%94%A8
+
| 논문 || 안희재, 「조선후기 발인반차(發靷班次)의 변화와 의미」, 『한국학논총』 34,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0.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477548
|-
 
| 논문 || 이현진, 「정조 초 영조의 국장 절차와 의미」, 『태동고전연구』제27호,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1. || KISS || https://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189350
 
|-
 
| 논문 || 자오성웨이·리샤오위(엮은이), 이성현(옮긴이), 「주르날 제국주의 : 프랑스 화보가 본 중국 그리고 아시아」, 『현실문화』, 현실문화연구, 2019. || RISS || http://www.riss.kr/link?id=M15094903
 
|-
 
| 논문 || 나애리, 「1907년 프랑스 신문에 나타난 한국과 한국인들의 이미지」, 『프랑스문화연구』 11,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05. || KISS / 네이버 학술정보 > 학술논문 || https://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378058 / https://academic.naver.com/article.naver?doc_id=442305152
 
|-
 
| 단행본 || 이현진, 『조선왕실의 상장례』, 신구문화사, 2017. || KISS || https://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189350
 
|-
 
| 단행본 || 이현진, 『왕의 죽음, 정조의 국장』, 글항아리, 2015. || KISS || https://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189350
 
|-
 
| 단행본 || 고연희·김동준·정민 외, 『한국학, 그림을 그리다 : 우리 시대 인문학자 32인의 그림 읽기, 문화 그리기』, 태학사, 2013. || RISS || http://www.riss.kr/link?id=M13326174
 
 
|-
 
|-
| 단행본 || 정민·김동준 외, 『한국학 그림과 만나다』, 태학사, 2016. || RISS || http://www.riss.kr/link?id=M12316603
+
| 단행본 || 이현진, 『조선왕실의 상장례』, 신구문화사, 2017. || ||  
 
|-
 
|-
| 단행본 || 국립중앙박물관, 『19세기 말~20세기 초 서양인이 본 한국』(국립중앙박물관 역사자료총서 17), 2017. || 국립중앙박물관 누리집(http://www.museum.go.kr) > 학술 > 역사학 > 연구보고서 || https://www.museum.go.kr/site/main/archive/report/article_13768
+
| 단행본 || 국립문화재연구소, 『국역 국조상례보편』, 민속원, 2008. || ||  
 
|-
 
|-
 
|}
 
|}

2021년 10월 19일 (화) 06:57 기준 최신판

Definition

반우거返虞車는 국장國葬 때 능에서 만든 우주虞主를 실고 돌아올 때 사용하는 수레이다. 『國朝五禮序例』에 수록되어 있다. 『세종실록오례의世宗實錄五禮儀』에도 반우거의 그림이 있다. 국장에서 재궁을 능에 안장하면 능 곁의 길유궁吉帷宮에서 미리 준비한 우주목에 선왕 또는 선비의 시호와 묘호를 적어 우주를 만든다. 그리고 이 우주를 반우거라는 수레에 실고 궁으로 돌아온다. 반우거는 혼백거魂帛車와 동일한 것으로 상황에 따라 달리 이름을 붙였다. 발인 때에는 빈전에 모셔두었던 혼백을 수레에 실고 능으로 가는데 이때에는 혼백거라고 하였다. 혼백거에는 혼백을 앞쪽에 두고 우주궤虞主櫃를 그 뒤에 둔다. 반면 우주를 만들어 돌아올 때에는 우주를 앞에 두고 혼백함을 뒤에 둔다. 반우거는 유거柳車와 같이 바퀴가 있어 끌고 가는 수레이다. 수레 위에 장자障子를 둘러 벽을 만들고 그 위에 지붕을 씌운 모양이다. 지붕의 처마 부분에는 운두雲頭를 내고 아청색鵝靑色의 저사紵絲로 덮었다. 그리고 홍색, 녹색. 흑색의 저사로 발과 낙영落纓을 만들어 드리웠다. 사면四面 중 앞쪽에 문을 달았으며 사방 외벽에 모란꽃이 그려진 주렴朱簾을 드리우고 난간闌干을 설치하였다. 조선 초기에는 바퀴가 달리 수레를 사용하였지만 곧바로 가마로 변경되었다. 그리하여 혼백거와 반우거는 가마꾼이 어깨에 메는 혼백연魂帛輦과 반우연返虞輦으로 바뀐다. 반우 때 반우거나 반우연은 유문帷門이나 궁궐 문 밖에서 사용하고 문 안쪽에서는 반우여返虞輿를 사용하였다.[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반우거 Object 물품 반우거(返虞車) 반우거 返虞車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반우거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반우거 거-車 Type
반우거 발인 isRelatedTo
반우거 혼백거 isSameAs
반우거 우주 goesWith
혼백거 혼백 goesWith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네이버 지식백과 > 한국고전용어사전 반우거(返虞車)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41826&docId=91211&categoryId=41826
해설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 반우거返虞車 http://e-kyujanggak.snu.ac.kr/dohae/sub/schDetail.jsp?no=D0457&category=A&sWord=반우거返虞車
참고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위키 반우거(返虞車)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반우거(返虞車)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논문 안희재, 「조선후기 발인반차(發靷班次)의 변화와 의미」, 『한국학논총』 34,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0.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477548
단행본 이현진, 『조선왕실의 상장례』, 신구문화사, 2017.
단행본 국립문화재연구소, 『국역 국조상례보편』, 민속원, 2008.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