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세기 공주의 홍장삼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2022 3D모델링-복식

Definition

장삼(長衫)은 다중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 글자 자체가 지닌 (수정) '길이가 긴 소매 옷' 으로 풀이할 수도 있고, 조선시대 여성의 예복으로 볼 수도 있다. (삭제)복식연구자 이은주에 의하면 장삼은 대략 7종으로 구분할 수 있다. ①왕실여성과 문무백관 부인의 최복용 장삼, ②왕실여성의 습용 장삼과 복완용 장삼, ③세자빈과 군부인의 예복용 장삼, ④여기(女妓)의 장삼, ⑤상궁 이하 내인의 성복용 장삼, ⑥반가부인의 예복용 장삼, ⑦승려용 장삼이다.[1] 본 글에서 장삼은 ②에 해당한다.

복완은 생시에 사용하던 물건을 사용하거나 그것을 축소하여 사용하는 것이었고, 습의 역시 평상시 착용하던 옷을 사용하는 것이 원칙이었기에 복완과 습의에 사용된 홍장삼은 왕실여성이 평상시 입는 관복임을 알 수 있다.[2]

의궤(어떤 의궤인지 적기)의 도상에 따르면 복완용 홍장삼의 형태는 동정이 달린 곧은 깃의 교임형 포이고, 소매는 주로 직배래의 통수 형태를 보이고 있다. 길의 좌우에는 트임이 있으며 간혹 안으로 접어넣은 무가 있는 것처럼 묘사되어 있다.[3] 왕실 가례에 사용된 홍장삼은 복완용 홍장삼의 형태와 유사할 것으로 추정된다.[4]

19세기 공주의 홍장삼은 현전하는 유물 중 '복온공주 활옷'으로 그 모습을 볼 수 있다. 복온공주(福溫公主, 1818-1832)는 순조와 순원왕후의 차녀로, 1830년(순조 30) 창녕위 김병주(昌寧尉 金炳疇, 1818-1853)와 혼인하였다. 이 때 복온공주가 입었던 활옷은 후손들의 혼례복으로 착용되었고, 그 과정에서 수선되었다.[5]

'복온공주 활옷'은 후손들이 혼례복으로 착용하면서 붙여진 명칭으로 짐작되며, 애초의 명칭은 '복온공주 홍장삼'이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된 '덕온공주의 홍장삼 자수본'이 있어 그런 추정이 가능하며, 공주의 홍장삼이 자수로 장식된 옷이라는 것도 알 수 있다. 조선후기에 홍장삼은 빈(후궁) 이하 공주·옹주의 가례 때 입었으며, 대군과 왕자군의 부인도 가례시 동뢰연 때 입었다.[6]

+ 장삼과 활옷의 명칭에 대해 더 자세히 적기. 이민주 선생님 책 참고.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note
19세기_공주의_홍장삼 Clothing 복식 19세기 공주의 홍장삼(紅長衫) 19세기 공주의 홍장삼 紅長衫 19th Century Princess Hong-jangsam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19세기_공주의_홍장삼 2022:김현승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19세기_공주의_홍장삼 3D-19세기_공주의_홍장삼 isShownBy
3D-19세기_공주의_홍장삼 19세기_공주의_홍장삼 hasReferenceNote

재현물 제작 정보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image
이은주 외, 「복온공주 활옷의 자수편과 문양 분석을 통한 연대 추정」, 『고궁문화』 14, 국립고궁박물관, 2021. 3D-19세기_공주의_홍장삼 references 복온공주(1818-1823) 활옷[홍장삼] 앞모습, 뒷모습

복온공주(1818-1823)의 홍장삼은 후손들에 의해 5대에 걸쳐 혼례복으로 사용되었고, 그 과정에서 훼손됨에 따라 20세기 전기에 수선되었다고 한다. 이에 복식학자 이은주와 연구팀이 이 옷에 활용된 자수편의 재구성을 통해 홍장삼의 본래 모습을 유추해보았고, 본 고증워크시트에는 그 연구결과 내용과 국내외에 남은 활옷 유물 및 원삼 유물들을 근거로 하여 작성하였다. 따라서 유물사진이 아닌, 다음장의 도식화와 설명들을 참고하여 3D를 제작한다.

재료: 비단(Silk)
색상: 겉감 다홍색, 안감 파란색, 색동 노란색-파란색-다홍색, 한삼·동정 흰색
착장자 성별: 성인 여성


김현승 일러스트: 공주의 홍장삼 ver.1 3D-19세기_공주의_홍장삼 references 홍장삼 도식화(ver.1): 자수와 금원문을 배치한 모습

김현승 일러스트: 공주의 홍장삼 ver.2 3D-19세기_공주의_홍장삼 references 홍장삼 도식화(ver.2): 금원문 없이 자수로만 장식한 모습

국립고궁박물관, 『안녕 모란』, 국립고궁박물관, 2021. 3D-19세기_공주의_홍장삼 references 복온공주(1818-1823) 활옷[홍장삼] 펼친모습
유물사진은 변색된 부분들이 있다. 형태 참고 자료로 본다.
김현승 일러스트: 홍장삼 도식화 및 사이즈 표기 3D-19세기_공주의_홍장삼 references 상세 사이즈(㎝): 뒷길이 140, 앞길이 123, 화장 127 (소매 87 + 색동 7+6+6 + 한삼 21), 품 39, 진동 25, 소매너비 72.5, 수구 72.5, 고대 14.5, 깃 너비 3.5, 동정 너비 2, 어깨통수스란 87×38, 소매아래 65×33.5, 앞길스란 (상단 너비) 39 / (하단 너비) 42 / (높이) 33.5, 뒷길스란 (상단 너비) 38.5 / (하단 너비) 42 / (높이) 30, 금원문 8x8,
※화장: 몸 중심에서 소매끝까지 길이
※진동: 어깨에서 겨드랑이까지 길이
※수구: 소매에서 손이 나오는 부분. 수구 아래로는 막혀있다.
※고대: 어깨와 목의 경계점 좌우 길이

앞이 짧고 뒤가 길며, 앞은 겹쳐 여미는 부분 없이 중심선에서 여민다. 본래 앞여밈은 단추를 사용하나, 3D에서는 단추 없이 앞이 여며진 모양새로 제작한다. 진동점 아래부터 옆선이 트여 있다. 소매는 폭이 넓고, 소매 끝에 노란색·파란색·다홍색의 색동과 백색 한삼이 달려 있다. 도식화에서 분홍색으로 표시된 부분은 자수로 장식되는 곳이다. 원단에는 전체적으로 ‘도류불수문’이라는 석류무늬가 들어간다. 자수는 다홍색 공단에 수를 놓은 것으로, 자수 부분의 원단에는 무늬가 없다. 자수는 어깨와 소매 하단, 앞길과 뒷길의 하단에 있다. 자수 무늬는 보통 좌우 대칭을 이룬다.


한국전통지식포탈 > 문화적창조기술 > 전통문양 ☞ 석류와 석류꽃무늬-치마 3D-19세기_공주의_홍장삼 references 석류무늬 일러스트

옷감 전체에는 ‘도류불수문’이라는 석류무늬가 들어간다. 자수 부분의 원단은 무늬가 없는 공단이다.
김현승 일러스트: 홍장삼 도식화 3D-19세기_공주의_홍장삼 references 자수 부분 명칭: 어깨통수스란, 앞길스란, 뒷길스란, 소매아래

이은주 외, 「복온공주 활옷의 자수편과 문양 분석을 통한 연대 추정」, 『고궁문화』 14, 국립고궁박물관, 2021. 3D-19세기_공주의_홍장삼 references ① 어깨통수스란: 가운데 중심을 가로로 접어 앞길에서 뒷길로 넘긴다. 가운데 직사각형으로 파인 부분에 옷깃이 위치한다.
② 소매아래
③ 앞길스란
④ 뒷길스란






김현승 일러스트: 금원문 3D-19세기_공주의_홍장삼 references ‘금원문’은 원형 테두리 안에 원앙이 마주보고 있는 문양을 금박으로 찍은 것이다. 금색으로 표현한다.
국립고궁박물관 > 소장품 ☞ 원앙문 목판 3D-19세기_공주의_홍장삼 references 원앙문 목판, 탁본

이은주 외, 「복온공주 활옷의 자수편과 문양 분석을 통한 연대 추정」, 『고궁문화』 14, 국립고궁박물관, 2021. 3D-19세기_공주의_홍장삼 references 깃 형태(유물 사진)

깃은 따로 재단하지 않고 몸판 부분에 둥근 깃 모양을 내고, 뒷고대 부분만 작은 조각으로 창구멍을 막은 뒤 다시 그 위를 흰색 동정으로 덧달았다.


김현승 일러스트: 깃 형태 3D-19세기_공주의_홍장삼 references 깃 형태(일러스트)

트위터 ☞ "HanbokPantry(2020.11.30.) 3D-19세기_공주의_홍장삼 references 앞에서 제시한 사이즈 및 구성과 똑같지는 않으나, ‘복온공주의 활옷[홍장삼]’ 유물을 모티브로 하여 제작한 화보사진들이다. 실루엣 참고용으로 첨부한다.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1. 이은주, 「조선전기 여성용 장삼의 형태와 용도에 관한 시론」, 『국학연구』 38, 한국국학진흥원, 2019, 187-188쪽.
  2. 이은주(2019), 앞의 논문, 214쪽.
  3. 이은주(2019), 앞의 논문, 196쪽.
  4. 이은주(2019), 앞의 논문, 198쪽.
  5. 이은주·서지혜·손진, 「복온공주 활옷의 자수편과 문양 분석을 통한 연대 추정」, 『고궁문화』 14, 국립고궁박물관, 2021, 92쪽.
  6. 이은주 외(2021), 앞의 논문, 91쪽.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