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전립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2020 3D모델-복식

Definition

조선시대 궁중연향의 정재(呈才) 중 ‘검기무(劍器舞)’에서 여령(女伶)은 전립(戰笠)을 쓰고, 전복(戰服)을 걸치고, 허리에는 전대(戰帶)를 묶고서 양 손에는 검기무에 사용되는 검(劍器)을 들고 춤을 췄다. 이 때 전립의 재료는 1848년 『(헌종무신)진찬의궤』 ‘악기풍물’에 기록되어 있다. 이때부터 검기무에 붉은색 전립이 사용되었는데 홍색 전립에 남색 운문단을 안감으로 받치고 흑삼승(黑三升)으로 내선을 둘러서 사용하였다. [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note
홍전립 Clothing 복식 쓰개 홍전립(紅戰笠) 홍전립 紅戰笠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홍전립 2020:김현승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정해년진찬_정재여령복장-검기무 홍전립 hasPart
3d-홍전립 홍전립 hasReferenceNote
홍전립 3d-홍전립 isShownBy

재현물 제작 정보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image
디지털 장서각 ☞ 『(헌종무신)진찬의궤』 (청구기호 K2-2874) 3d-홍전립 references 정재여령의 검기무 복식 중 전립의 그림이다. 형태를 참고한다.
3D 홍전립 제작 사이즈(㎝): 지름 37, 높이 11, 갓끈 길이 72
국립중앙박물관 > 소장품 ☞ 무신년의 궁중 잔치(유물번호:덕수1663) 3d-홍전립 references 정재여령이 검기무 복식을 착용한 모습이다. 전립의 형태를 참고한다.
문화유산 지식e음 > 미술 > 국외소재 한국문화유산 > 국외문화유산 검색 ☞ 전립(독일 라이프치히그라시민속박물관 유물번호 OAs2910) 3d-홍전립 references 전립의 모정에는 도금한 정자를 달고, 파란색 깃털과 공작깃, 붉은색 상모를 연결하여 단다.
진덕순·이은주, 「『의궤』를 통해 본 궁중 검기무 복식」, 『국악원논문집』 37, 국립국악원, 2018, 370쪽. 3d-홍전립 references 모자와 챙이 연결되는 부위에 징두리를 두르고 리본으로 매듭짓는다. 징두리 좌·우에는 조밀화 장식을 하나씩 얹는다.
진덕순·이은주, 「『의궤』를 통해 본 궁중 검기무 복식」, 『국악원논문집』 37, 국립국악원, 2018, 370쪽. 3d-홍전립 references 홍전립 색상과 밀화장식 참고
국립문화재연구소, 『독일 라이프치히그라시 민속박물관소장 한국문화재』, 국립문화재연구소, 2013, 242쪽. 3d-홍전립 references 양태 안쪽은 남색 운문단으로 덧댄다.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참고 디지털 장서각 『(헌종무신)진찬의궤』 (청구기호 K2-2874) https://jsg.aks.ac.kr/dir/view?catePath=&dataId=JSG_K2-2874
참고 국립중앙박물관 > 소장품 무신년의 궁중 잔치 (유물번호 덕수1663) 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8693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RISS:T8929007 논문 남미화, 「조선후기 기록화에 나타난 검기무 복식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RISS http://www.riss.kr/link?id=T8929007
RISS:A3002090 논문 남후선, 「검기무복식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5-3, 복식문화학회, 1997. RISS http://www.riss.kr/link?id=A3002090
KCI:ART002365518 논문 진덕순·이은주, 「『의궤』를 통해 본 궁중 검기무 복식」, 『국악원논문집』 37, 국립국악원, 2018.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365518
RISS:T12088986 논문 최윤희, 「조선시대 궁중검기무복식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RISS http://www.riss.kr/link?id=T12088986
RISS:T16819815 논문 최윤희, 「조선후기 여령정재 복식과 무구 연구」, 안동대학교 한국문화산업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3. RISS http://www.riss.kr/link?id=T16819815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1. 진덕순·이은주, 「『의궤』를 통해 본 궁중 검기무 복식」, 『국악원논문집』 37, 국립국악원, 2018, 370쪽.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