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자관
목차
[숨기기]Definition
정자관은 4면을 말총으로 연접하여 엮은 높이가 다른 두층의 내장과 외장으로 이루어진 2층관 형상이다. 외장은 내장보다 낮으나 좌우로 더욱 벌어진 모양새를 하고 있다. 연접된 4면의 경계면과 가장자리는 말총을 여러 줄 대어 징금수로 구획을 하고, 내장과 외장을 모은 관의 아래 둘레는 검은 면포로 3㎜ 정도의 전을 두른다. 관모의 윗부분은 터져 있어 착용하지 않을 때에는 납작하게 접을 수 있다. 내장과 외장의 상부는 기복이 심한 곡선모양이고 좌우는 크게 벌어져 있다. 조선 말기의 유품 중에는 3층관 형상의 정자관도 있다. 정자관은 주로 조선 말엽의 기록과 회화자료 및 사진에서 확인됨으로써, 다른 관모들에 비해 비교적 후대에 착용하기 시작한 관모인 것으로 추정된다.[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note |
---|---|---|---|---|---|---|---|---|---|---|
정자관 | Clothing | 복식 | 쓰개 | 정자관(程子冠) | 정자관 | 程子冠 | Jeongjagwan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정자관 | ![]() |
2022:김현승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정자관 | 3D-정자관 | isShownBy | ||
3D-정자관 | 정자관 | hasReferenceNote |
재현물 제작 정보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image |
---|---|---|---|---|
국립민속박물관 > 소장품 ☞ 정자관 (소장품번호 민속001774) | 3D-정자관 | references | 크기(㎝): 가로 35, 높이 20 소재: 말총(말꼬리 털) 말총으로 엮어 2층 구조로 만든 쓰개 |
![]() ![]() |
국립민속박물관 > 소장품 ☞ 부부 초상화(소장품번호 민속078854) | 3D-정자관 | references | 채용신(1850-1941) 부부의 초상화 중 채용신 모습. 정자관을 착용하고 있다. | ![]() |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 이동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632쪽.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