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여머리-상궁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2020 3D모델-복식

Definition

어여머리는 부인들의 예장용 머리 모양으로, 대한제국의 황후, 황태자비와 조선의 왕비, 왕세자빈, 왕세손빈, 내명부, 외명부 등이 의례를 행하기 위해 하던 머리 모양이다.[1] 어여머리는 쪽머리를 하고 정수리에 어염족두리를 얹고 그 위에 어염다래를 얹어 만든다. '에우미'는 어여머리의 또 다른 표기이다.[2] 1904~1907년 경 촬영된 순헌황귀비 엄씨와 의친왕비, 궁녀 3인, 일본 여인 4명, 남녀 소인 2명 등이 함께 찍은 사진[3]을 보면, 어여머리에는 신분에 따라 장식에 차이를 둔 것을 볼 수 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note
어여머리-상궁 Clothing 복식 수식 어여머리-상궁 어여머리-상궁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어여머리-상궁 2020:김현승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value
id 어여머리-상궁
대표명칭 어여머리
한자표기
이칭/별칭 에우미
구분 머리모양
착용신분 궁녀, 부인
착용성별 여성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어여머리-상궁 어여머리 type
어여미 어여머리-상궁 hasPart
정재여령복장 어여머리-상궁 hasPart
3d-어여머리-상궁 어여머리-상궁 hasReferenceNote
어여머리-상궁 3d-어여머리-상궁 isShownBy

재현물 제작 정보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image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 조선왕실복식』, 국립고궁박물관, 2013, 240쪽. 3d-어여머리-상궁 references

쪽머리에서 정수리에 어염족두리를 올린 후, 땋은머리 가체를 둘러 완성한 머리모양이다.

국립고궁박물관 > 소장품 ☞ 순정효황후 사진(유물번호 창덕27449) 3d-어여머리-상궁 references

자료사진에서 보이는 떨잠 3개를 제외하고 3D로 제작한다.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어여머리(於由味)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6030
해설 한국민속대백과사전 어여머리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7108
해설 AKS Encyves 어여머리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어여머리
참고 국립고궁박물관 > 소장품 순정효황후 사진(유물번호 창덕27449) https://www.gogung.go.kr/gogung/pgm/psgudMng/view.do?psgudSn=367934&menuNo=800065
참고 국립고궁박물관 > 소장품 순헌황귀비 외 10인 사진(유물번호 창덕27506) https://www.gogung.go.kr/gogung/pgm/psgudMng/view.do?psgudSn=359370&menuNo=800065
참고 국립고궁박물관 > 소장품 > 왕실문화도감 일러스트 > 왕실복식 왕실 여성의 머리모양 https://www.gogung.go.kr/gogung/pgm/psgudMng/view.do?psgudSn=369758&&menuNo=800070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ISBN9788984118119 단행본 이민주, 『조선왕실의 미용과 치장』, 세창출판사, 2019.
ISBN:9788928511556 단행본 김소현, 『조선왕실 여인들의 복식』, 민속원, 2017.
ISBN:9788963259857 단행본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 조선왕실복식』, 국립고궁박물관, 2013.
ISBN:9788993748390 단행본 가현문화재단·한미사진미술관, 『대한제국 황실의 초상: 1880~1989』, 가현문화재단·한미사진미술관, 2012.
김용숙:1989:한국여속사 단행본 김용숙, 『한국여속사』, 민음사, 1989.
KCI:ART001623100 논문 김소현, 「조선시대 궁녀의 직무와 복식에 관한 연구」, 『복식』 61-10, 한국복식학회, 2011.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623100
RISS:T11204809 논문 김지연, 「조선시대 여성 예관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RISS http://www.riss.kr/link?id=T11204809

Notes

  1. 강순제 외,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513쪽.
  2. 김소현, 『조선왕실 여인들의 복식』, 민속원, 2017, 86-89쪽.
  3. “순헌황귀비 외 10인 사진(유물번호 창덕27506)”, 『국립고궁박물관』online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