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공화-내빈 여관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수공화(首拱花)는 궁중연향에 참석한 백관과 정재(呈才)를 담당하는 여령(女伶)이나 무동(舞童), 악사들의 머리장식용 다양한 종류의 비단꽃이다. 반화(頒花)의식에서 사용하는 수공화의 종류는 신분에 따라 달랐으며, 주로 홍도이지화(紅桃二枝花)나 홍도일지화(紅桃一枝花), 수파련(水波蓮) 등이 쓰였다. 홍도이지화에 내하(內下)한 당가화(唐假花)를 첨가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1887년(고종 24)의 진찬 내용을 기록한 『(고종정해)진찬의궤』에서 '채화(綵花)' 내용에 따르면, 외빈 이하와 문안제신은 홍도이지화, 내빈과 여관(女官)은 홍도이지화와 내하한 당가화 한 가지를 합하여 삼지화를 사용하고, 정재여령은 수파연화에 내하한 당가화 두 가지를 더하여 사용한다고 하였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note
수공화-내빈_여관 Object 수공화(首拱花)-내빈 여관 수공화 首拱花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수공화-내빈_여관 2020:김현승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궁녀의_예복-흑원삼 수공화-내빈_여관 hasPart
궁중연향_외명부의_예복-원삼 수공화-내빈_여관 hasPart
상궁의_예복-녹원삼 수공화-내빈_여관 hasPart
외명부의_예복-노의 수공화-내빈_여관 hasPart
외명부의_예복-당의 수공화-내빈_여관 hasPart
정해년진찬_봉지비자복장 수공화-내빈_여관 hasPart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궁중채화(宮中綵花)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76681
해설 두산백과 궁중채화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31121001420370
참고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국가무형문화재 궁중채화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17,01240000,38&pageNo=1_1_1_0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ISBN:9788991555396 단행본 국립고궁박물관, 『아름다운 궁중채화 : 황수로의 한국채화 이야기』, 수류산방, 2014.
ISBN:9788985764940 단행본 이효지·한복려·정길자, 『고종 정해년 진찬의궤 : 조대비 만경전 팔순잔치』, 한국문화재보호재단, 2009.
KCI:ART002492137 논문 유재빈, 「궁중행사도와 의궤도를 통해 본 조선시대 연향과 채화 -진화의식과 잠화를 중심으로-」, 『미술사학』 38,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9.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492137
RISS:T15650037 논문 김주영, 「조선 18~19세기 궁중 장식 채화 연구」,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0. RISS http://www.riss.kr/link?id=T15650037
RISS:A76381675 논문 김혜자, 「조선시대 궁중 연향 장식된 채화에 관한 연구」, 『한국꽃예술학회지』 13-1, 한국꽃예술학회, 2008. RISS http://www.riss.kr/link?id=A76381675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