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두미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거두미(巨頭美)는 조선시대 왕실여성과 대한제국기 황실여성의 예장용 머리모양이다. 쪽머리에 어염족두리를 얹고 다래를 두른 어여머리 위에 큰머리 체발을 얹었다. 궁녀나 외명부는 나무가체를 얹지만 왕실 및 황실여성은 체발을 땋아 만든 큰머리를 얹었다. 『고종실록』 기록에 따르면, 큰머리 체발의 모양은 익선관과 같다[1]고 하였으므로 현전하는 나무가체 유물처럼 좌우로 둥근 날개 형상임을 추정할 수 있다. 큰머리 체발을 얹는 거두미와 나무가체를 얹는 어여미는 구조적으로 크게 다르지 않으나 신분에 따라 차이를 두고 용어를 구분한 것으로 보인다.[2]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note
거두미 Clothing 복식 수식 거두미(巨頭美) 거두미 巨頭美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거두미 2023:김현승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value
id 거두미
대표명칭 거두미
한자표기 巨頭美
이칭/별칭 큰머리
구분 머리모양
착용신분 황후, 황태자비, 왕비, 왕세자빈, 왕세손빈, 후궁
착용성별 여성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왕비의_소례복-원삼 거두미 hasPart
왕세자빈의_소례복-원삼 거두미 hasPart
황태자비의_소례복-원삼 거두미 hasPart
황후의_소례복-원삼 거두미 hasPart
거두미 어여머리-왕실여성 hasPart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머리 모양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18097
해설 AKS Encyves 큰머리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큰머리
원문 조선왕조실록 『고종실록』, 고종 10년 8월 29일:《오례편고》의 도표를 개정하게 하다 http://sillok.history.go.kr/id/kza_11008029_001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ISBN9788984118119 단행본 이민주, 『조선왕실의 미용과 치장』, 세창출판사, 2019.
ISBN:9788928511556 단행본 김소현, 『조선왕실 여인들의 복식』, 민속원, 2017.
ISBN:9788963259857 단행본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 조선왕실복식』, 국립고궁박물관, 2013.
ISBN:9788993748390 단행본 가현문화재단·한미사진미술관, 『대한제국 황실의 초상: 1880~1989』, 가현문화재단·한미사진미술관, 2012.
김용숙:1989:한국여속사 단행본 김용숙, 『한국여속사』, 민음사, 1989.
RISS:T11204809 논문 김지연, 「조선시대 여성 예관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RISS http://www.riss.kr/link?id=T11204809
RISS:T11217936 논문 오선희, 「조선시대 여자비녀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RISS http://www.riss.kr/link?id=T11217936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1. 『고종실록』 고종 10년 8월 29일. “大髢、圍髢兩飾, 難便於模寫, 只錄其名於圖序, 而蓋如外殿之翼善冠。 若具圓衫則必加是飾也。”
  2. 김소현, 『조선왕실 여인들의 복식』, 민속원, 2017, 89-90쪽.

Semantic Network Graph